[include(틀:KBS의 성우)] ||<-2> '''{{{#fff [[KBS 성우극회|{{{#fff KBS 성우극회}}}]] 13기 성우}}}''' || ||<-2> '''{{{+1 노민}}}[br]盧敏|No M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5121101001211300081441.jpg|width=100%]]}}} || ||<|2> '''출생''' ||[[1948년]] [[7월 2일]] ([age(1948-07-02)]세) || ||[[경상남도]] [[부산부]] (現 [[부산광역시]]) || || '''가족''' ||아내, 슬하 1녀 || || '''신체''' ||162cm, 70kg|[[A형]](Rh+) || || '''소속''' ||前 [[TBC 성우극회]] 6기[br][[KBS 성우극회]] 13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연극 배우: [[1966년]] ~ [[1971년]][br]성우: [[1971년]] ~ 현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1971년 [[TBC 성우극회]] 6기로 입사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성우극회]] 13기로 분류되었다.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주희(성우)|주희]], [[손정아]], [[송도영]], [[이정은(성우)|이정은]], [[임수아]] 등이 선배들이다.[* [[박영남]]은 2살 연상 누나, [[최수민]]은 3세 연상 누나, [[김기현(성우)|김기현]]은 3살 연상 형, [[유강진]]은 6세 연상 형이다.] 선배인 [[최수민]], [[박영남]]과 같이 출연한 작품이 많다. == 특징 == 포스를 뿜어내는 중후하고도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인상적인 성우로, 대표배역으로는 [[판관 포청천]]의 [[포청천]]이 꼽힌다. 하지만 [[날아라 슈퍼보드]]의 [[저팔계(날아라 슈퍼보드)|저팔계]] 같은 [[개그 캐릭터]]도 능숙하게 소화하며, [[카우보이 비밥]]의 광기어린 살인마 [[통푸|동풍]]은 죽기 전에 내뱉는 엄살 연기가 너무나 실제 같아 소름이 돋을 정도다. 주로 맡는 배역은 '''[[중국인]]''' 또는 [[왕서방]] 스타일의 중국인 캐릭터나 [[비만]] 캐릭터이다.[* 대표적으로 삼국지 드라마나 게임 [[진삼국무쌍]]에서 맡은 [[동탁(진삼국무쌍)|동탁]], [[날아라 슈퍼보드]]의 [[저팔계(날아라 슈퍼보드)|저팔계]] 등.] 노인 역할에도 의외로 어울린다. 판타지 장르에서는 [[드워프]] 역할도 잘 어울린다. 한국에서 특촬물 전성기 3대장인 바이오맨, 플래시맨, 마스크맨 그리고 스필반 모두 나왔다. 그만큼 더빙 전성기 시대에서 쩌렁쩌렁하고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레전드이다. 한국 성우계에서 특촬물계의 레전드로 뽑히는 후배 성우 [[김환진]]을 발굴한 선배 성우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막은 [[김환진]] 문서 참조. [[뉴타입(잡지)|뉴타입]] 한국판 인터뷰에서는 딸[* 결혼을 늦게했는데, 늦등이로 득녀했다고 한다.]이 자신에게 "왜 아빤 죄다 배나오고 나쁜 역할만 하는 거야?"라고 하소연한 걸 언급했다. 자신도 러브 스토리나 멜로 장르의 애니메이션에서 연기하고 싶었으나, PD들 사이에서 이미 이런 이미지로 고정돼버렸기 때문에 그런 역이 안 들어온다고 밝힌 바 있다. 1987년 대영비디오에서 극장판 애니메이션 우주여왕[* 바로 [[천년여왕]] 극장판이다보니 상, 하로 나뉘어서 출시했다.]에서는 '''[[꽃미남]]''' 캐릭터를 맡은 바 있는데, 대부분 포청천 목소리로 기억하는 이들은 이 비디오를 보고 훨씬 다른 음색 때문에 낯설어했다. 마찬가지로 꽃미남 캐릭터인 [[초전자머신 볼테스 V]]의 [[프린스 하이넬]] 목소리를 초반부에 맡았는데, 포청천이나 저팔계 목소리를 기억하는 이들은 이걸 보면 꽤 낯설었을 듯하다. 2021년에는 후배 [[홍시호]]가 기획한 [[화산귀환]]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에, [[법정(화산귀환)|법정]] 역으로 참여한다. == 여담 == * [[포청천]], 배우 [[존 굿맨]], [[리처드 애튼버러]] 전담 성우이다. * [[최수민]]과 대영비디오 애니에 자주 나오기도 했다. 최수민이 소년, 남주인공, 아줌마를 죄다 [[1인 다역]]으로 맡았다면, 노민은 악역 및 엑스트라급 아저씨들. 철인 28호에서도 쇼타로를 맡은 최수민과 쇼타로의 아버지를 죽인 프란치를 비롯하여 우주마왕까지 악역과 로비와 같은 아군을 맡기도 했다. * 후배 [[김환진]]과 [[대영팬더]]에서 더빙했던 [[특촬물]]에 가장 많이 출연한 성우이며, 악역 전담으로 '''한 작품도 빠짐없이''' 모두 출연했다. 물론 한 작품에 성우가 많이 투입되지 않았던 당시의 여건상 작품 내에서 여러 악역을 동시에 소화하기도 했는데, 같은 성우란 걸 눈치채기 힘들 정도로 폭 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자랑한다. 한 작품 내 악역들끼리 대화하는 장면도 쉽게 알아채기 힘들 정도. 그야말로 '''천재 성우'''이다.[* 예를 들자면 [[초신성 플래시맨|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의 악역 캐릭터인 [[사 카우라]]와 [[대박사 리 케프렌|리 케프렌]], [[레이 원더]]의 경우 서로 대화하는 장면은 자주 나오는데, 세 명 모두 노민의 배역이다. 게다가 [[마그(초신성 플래시맨)|마그]]까지 맡았는데, 들어보면 말 그대로 '억' 소리가 나올 정도. [[초전자 바이오맨|우주특공대 바이오맨]] 비디오판에서는 [[바이오 헌터 실바|바이오 헌터 실버]] 더빙까지 맡았다. [[광전대 마스크맨|빛의 전사 마스크맨]]의 바라바와 오요브(요프라)도 마찬가지다. 둘이 같이 붙어다니는 일이 많은데 대사를 들어보면 연기톤이 정말 극과 극이다.][* 대신 다른 작품을 떼어놓고 볼 때 [[초신성 플래시맨|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의 [[레이 원더]]와 [[광전대 마스크맨|빛의 전사 마스크맨]]의 [[도적기사 키로스]], [[초수전대 라이브맨|평화의 전사 라이브맨]]의 [[닥터 켄프]](닥터 켄푸)같이 성격이 비슷한 악역들끼리 모아보면 목소리도 비슷비슷하다.] 이후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에서 [[최종 보스]]인 '''[[황제 아쿠도스 길|아크도스 길]]'''로 오랜만에 특촬물에 복귀했다.[* 특촬물에서 맡은 두번째 최종 보스 배역이며, 첫번째는 대영팬더 시절에 맡은 플래시맨의 리 케프렌이다.] * [[대영팬더]]에서 출연하던 시절에는 [[최수민]]과 함께 실력 좋은 후배들을 눈여겨 본 뒤, 제작진에게 추천하거나 녹음실로 데려갔다고 한다.[* 당시 한국 성우계에서는 관행처럼 여겨졌다. 이 때 노민이 추천했던 후배 성우들이 훗날 성우팬들에게 레전드로 불리게되는 [[김환진]], [[정미숙]], [[최덕희]]였다.] 인재를 바로 알아보는 선구안의 소유자라 해도 될 듯 하다. 후배 [[김환진]]의 언급에 따르면 어느 날 노민이 자신을 찾아와 "환진아, 시간있으면 나랑 같이 어디 좀 가자."며 얘기하더니, 데려간 곳이 바로 대영팬더였다고 했다. 노민 자신도 선배 최수민에게 추천을 받았다고 한다. *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저팔계(날아라 슈퍼보드)|저팔계]]를 담당했는데, [[https://twitter.com/suminbahc/status/1268081602749280256?s=19|원작 만화에 있던]][*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1년 전인 1990년 7월 발간한 알라딘문고판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셔"'''라는 말투를 찰지게 연기해 날아라 슈퍼보드의 인기 상승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셔"라는 말투는 저팔계를 대표하는 대사로 자리잡았다.[* 많은 사람들이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성대모사하면 저팔계는 매우 높은 확률로 등장한다.] 날아라 슈퍼보드가 방영되기 전에 [[동양방송]]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작한 라디오 드라마 [[서유기]]에서 저팔계로 출연했었다.[* 이 때 손오공 역으로 출연한 성우는 훗날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손오공(날아라 슈퍼보드)|미스터 손]] 역으로 출연한 [[박영남]]이다.] 덕분에 날아라 슈퍼보드에서도 저팔계를 맡았을 때 어려움 없이 캐릭터에 대한 이해와 연기톤을 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 국내에 방영되는 작품에 등장한 로봇이라면 빠질 수 없는 대사인 '''"삐리비리빗"'''이란 의성어를 처음으로 만든 주인공이다.[* 처음으로 사용한 작품은 [[초신성 플래시맨|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의 [[마그(초신성 플래시맨)|마그]].] * 배역 상 성우 [[신성호(성우)|신성호]]를 아들 또는 부하로 두는 경우가 잦다. *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에서는 노민이 [[황제 아쿠도스 길|아크도스 길]], [[신성호(성우)|신성호]]가 [[총사령관 왈즈 길|왈즈 길]]. * [[판관 포청천]]에서는 노민이 포청천, 신성호가 전조. * 같은 작품은 아니지만 [[삼국(드라마)|삼국]]에서는 노민이 [[동탁]][* 재미있는 것은 게임 [[진삼국무쌍]]의 동탁 더빙도 노민이다.], [[삼국연의(1994)|84부작 삼국지]]에서는 신성호가 [[여포]]를 한 적이 있다. * 성우를 하기 전에는 이종찬이라는 예명으로 [[만화가]]로 활동한 경력도 있는데, 자신이 출연하던 라디오 어린이 드라마의 신문광고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 과거 인터넷 성우 소개란에는 노민은 예명이고 본명은 노상민이라 나오는데, 이후 정확한 정보가 없어 오류로 보인다. 후배 [[유해무]]가 별다른 언급 없이 '노민 형' 이라고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오류가 확실시됐다. 하지만 과거 [[한국성우협회]] 사이트에서는 노상민으로 등록되어 있었다.[* [[http://web.archive.org/web/20040829094249/http://www.kvpa.or.kr:80/member.jsp?CategoryNo=1|#]]] 그리고 한국방송연기자노조 신문에도 본명이 노상민이라 되어있다. * 2012년 1월 17일에 [[1대 100]]에 [[장광]], [[유해무]]와 같이 출연하였다. 장광은 1인, 노민, 유해무는 100명 중에서 각각 31, 32번 번호를 달고 나왔다. * 후덕하고 뚱뚱한 배역을 맡아서 그렇지 사실 젊은 시절에는 호리호리한 체격이었다. 사진 속 왼쪽에서 네번째. [[파일:70년대 KBS 성우들.jpg]] 같이 있는 사람들은 왼쪽부터 [[남궁윤]], [[안정훈(성우)|안정훈]], [[송도순]], [[황원]], [[온영삼]]이다. [[파일:external/www.kbsvoice.net/468091117908201.jpg]] * 쩌렁쩌렁한 목소리를 자랑하는 성우이다. 김환진은 과거 [[초신성 플래시맨|후뢰시맨]]을 더빙할 때 다른 성우들의 뒤쪽에 있었던 노민이 내지른 소리에 순간적으로 귀가 먹어 자신의 차례에서 NG를 냈던 적이 있다고 [[https://youtu.be/8CF_i1u2qbY?t=1362|회고]]했고, [[시영준]]은 [[로도스도 전기/애니메이션#s-4|로도스도 전기 영웅기사전]]을 더빙할 때 노민의 옆에 서있다가 그가 낸 소리에 이틀 동안 귀가 먹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시영준은 [[사자후]]가 실제로 있다는 걸 믿게 되었다고.[* 후에 홍쇼에서 [[홍시호]]가 이를 언급하자 노민은 '''시영준이는 나보다 더하다'''고 응수했다.] * 실제 목소리는 포청천처럼 매우 차분하고 점잖은 톤이다. * 2020년 11월 [[유해무]]와 함께 [[홍시호의 홍SHOW|홍쇼]]에 출연해 오랜만에 근황이 공개되었다. 위 프로필 사진과 달리 다소 야위고 연로한 모습이었지만, 사자후가 건재하다는 걸 몸소 증명했다. '''[[https://youtu.be/c60_mj4W51M?t=12m10s|음주와 목관리 비결이 비례한다]]'''는 우스개소리까지 나올 정도로, 70대 고령에도 불구하고 '''음압 수준'''의 성량은 여전하다. 과거 고등학교에서 연극동아리를 했었는데, 교실에서 발성연습을 하면 옆반에 피해를 주다보니 산에 올라가서 발성연습을 시켰다고 한다. 그 때 발성훈련이 지금까지 이어지는 사자후의 비결이었다고 한다.[* 성우 본인은 담담하고 겸손한 자세로 언급했지만, 기본적인 성량이 타고나지 않는 이상 고령에도 힘찬 발성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 홍쇼를 통해 포청천 더빙에 대한 이야기를 풀었다. 포청천을 맡은 [[김초군]]의 본래 목소리가 무척 여리여리해서 지르는 것이 영 어색하게 보이다보니, 이런 모습은 한국인의 정서에 맞지 않을거라 생각해 쩌렁쩌렁한 목소리를 내며 연기하는 걸로 바꿨다고 한다. 사자후가 압권이었던 포청천 연기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명연기로 회자되고 있다. * 홍쇼에 출연한 노민 본인과 [[유해무]]의 증언[* 홍쇼 [[유해무]] 성우 2편 영상 참고.]을 종합해보면, 본래 전공은 [[국어국문학과]]이고 연극부 출신이라고 한다. 어느 날 대학방송국 경연대회에서 연기상을 수상했는데, 덕분에 특채 성우로 발탁되었다고. 이후 정식으로 [[동양방송|TBC]] 성우 공채시험을 보고 TBC 6기로 입사하였다. * 후배 [[홍시호]]가 그의 열혈한 팬이라고 한다. [[홍쇼]] 노민 X [[유해무]] 성우 1편 영상에 따르면, 홍시호가 노민을 알게 된 작품이 당시 미니시리즈였던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 라고 한다.[* 안타깝게도 세월이 세월인지라 노민 자신 빼고는 누가 나왔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했다. --높은 목소리로 "전혀 기억이 안납니다!! 장담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후에 이 일화를 입사 후에 얘기한 적 있다고. 엔딩크레딧에 나온 '''노민'''이라는 성우에 대해 궁금한 것을 계기로 이후 차근차근 팬심을 키워나갔다고 한다. 현재도 존경하는 성우로는 노민을 꼽으며, 성덕의 팬심을 자신의 유튜브 채널 [[홍쇼]]에서 맘껏 뽐내며 구독자들 앞에서 다시 한 번 언급됐다. == 주요 출연작 == === 애니메이션 === * [[금색의 갓슈!!/애니메이션|갓슈벨]] - [[미스터 골드]] * [[겨울왕국]] - 패비 / 할아버지 * [[고양이의 보은]] - 고양이왕 * [[고쿠센]]([[투니버스]]) - [[후지#s-6]] * [[GEAR전사 덴도|기어 파이터 샤이닝]] - 장관 * [[꼬비꼬비]]([[KBS]]) - 도깨비 대왕, 옹고집 * [[나나카 6/17|나나 6/17]] - 나나 아빠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투니버스]]) - [[가마분타]], [[미토카도 호무라]] * [[날아라 슈퍼보드]]([[KBS]]) - '''[[저팔계(날아라 슈퍼보드)|저팔계]]''', [[꽃돼지(날아라 슈퍼보드)|가짜 저팔계]] * [[날으는 돼지 해적 마테오]] - 스나우트 * [[니모를 찾아서]] - 블로트 * [[더 파이팅]]([[투니버스]]) - [[하마 단키치|홍단길]] * [[더그의 일상]] - [[칼 프레드릭슨]] * [[데스노트]]([[대원방송]]) - [[데스노트/등장인물|오소레다 키이치로]] * [[드래곤 파이터]], 드래곤 파이터 2 / [[우주용사 씽씽캅]], [[슈퍼 씽씽캅]]([[투니버스]], [[KBS]][* 투니판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1기→2기 순. 3기는 더빙되지 않았다. KBS는 반대로 1기가 통째로 삭제되고 3기는 방영이 성사되어 2기→3기 순. 국내 방영은 투니버스가 먼저 했다.]) - '''[[츠루기베 시바라쿠|빅커 / 사부님]]'''[* KBS판, 투니판 모두 맡았다.] * [[디지몬 세이버즈]] - 바로몬 * [[레고 스타워즈]] 요다의 비밀이야기 - [[요다]](제다이의 습격 편) * [[로도스도 전기/애니메이션#s-1|로도스도 전기 OVA]]([[투니버스]]) - [[김(로도스도 전기)|김]] * [[마다가스카]] 극장판 - [[모리스(마다가스카의 펭귄)|모리스]] * [[마스터 키튼]]([[투니버스]]) - 찰리 채프먼 * [[메리다와 마법의 숲]] - 딩월 경 * [[명견 실버]] - 권 포수, 리키, 모스, 무사시, 흑자귀(쿠로자키) * [[명탐정 홈즈]] - 왓슨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투니버스]]) - 장성호(2기 30화), 역내 안내방송(2기 49화), 김용택(4기 33화), 형사 3(4기 35화), 윤동천(5기 11~12화), 임석우(11기 19~20화), 문치열(14기 25화) * [[명탐정 코난: 코난 실종사건 - 사상 최악의 이틀]]([[투니버스]]) - 한만수 * [[모노노케 히메]] - [[나고(모노노케 히메)|나고]], [[모노노케 히메/등장인물#s-5.1|지코보(지코 스님)]] *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투니버스]]) - Dr. 슈만, 가게 주인 * [[뮬란]] - '''야오'''[* 겉으로는 삭아보이지만 [[파 뮬란|뮬란]]과 부대원 동기이므로 연령때는 비슷하고 몇 안되는 청년 배역이나 마찬가지 이다.]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 [[모리스(디즈니 캐릭터)|모리스]] * [[미래소년 코난]]([[KBS]]) - '''[[레프카]]''' * [[바우와우(만화)|바우와우]](KBS, 투니버스) - 장춘삼(이누가미 다이고로) * [[바텐더]] - [[쿠루시마 타이조]]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 '''박사'''[* 일곱 난쟁이 중 가장 앞장서는 그 말더듬이 난쟁이.] * [[초전자머신 볼테스 V|볼트 화이브]] - [[고우 다이지로]], [[프린스 하이넬]](초반) * [[붉은 돼지]] - 맘마 유토 * [[디즈니 만화동산|빙글뱅글]]([[KBS]]) - [[발루(디즈니 캐릭터)|발루]][* 그의 몇 안 되는 주인공 배역이다.] * [[마동왕 그랑조트|슈퍼 그랑죠]]([[SBS]]) - [[아그라먼트]](마왕), V-이마크(이막), 제1구역 거인 * [[스쿠비 두]]([[투니버스]]) - '''[[스쿠비 두]]''' * [[스타워즈]] [[클론전쟁]] - '''[[요다]]''' * [[스페이스 힙합덕]]([[KBS]]) - [[스페이스 힙합덕#s-3.4|푸른수염]] * [[슬레이어즈]] - 골디어스, 디올(스페셜), 수호신(극장판 프리미엄) * 아쿠아 키즈 - 해머 * [[어머! 물고기가 됐어요]] - 상어 * 에디와 내 친구 베어([[대교방송]]) - '''베어''' * [[요랑아 요랑아]] - 표범, [[스핑크스]] * [[요술공주 밍키(1982년 애니메이션)|요술공주 밍키]]([[KBS]]) - 뭉뭉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마오타이([[호이 코우 로우]])''', 마틴 실장(오사카 지로), [[볼프강 박사|이히]], [[블랙 느와르]], 기타 단역(주로 악역) 다수 * [[우주마신 다이켄고]] - [[우주마신 다이켄고/등장인물#s-3|로보레온]] * [[우주에서 온 야구소년]][* 원제는 [[강Q초아 잇키맨]]. 1993년 [[KBS 2TV]]에서 '홈런왕 강속구'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바 있다.](비디오판) - 이감독, 드라크스키, 닥터 프랑켄[* 드라크스키를 연기할 때 [[지구방위대 후뢰시맨]]의 [[레이 원더]] 톤으로 연기한다면, 닥터 프랑켄을 연기할 때는 [[대박사 리 케프렌]] 톤으로 연기한다.], 주심, 기타 단역 * [[우주 흑기사]] - 당칸 * [[우주전사 버즈]]([[KBS]]) - 네뷸라 사령관 *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KBS]], [[투니버스]]) - [[가이몬]][* 루피 일행과의 첫 만남 에피소드(18화)에서는 [[유해무]]가 맡았으나 미국으로 이민 가면서 46화에서 교체 되었다.], 리치(47화), 넬슨(54~60화), 신(189화) * [[원탁의 기사]]([[KBS]]) - 보스만 * [[이누야샤(애니메이션 1기)|이누야샤]]([[대원방송]]) - 저구계(129화) / 촌장(130화) / 연옥귀 / 스님(142화) * [[이토 준지 컬렉션]] - 파피루스 서커스단 단장 * [[질풍 아이언리거]] - [[기로치(아이언리거)|기로치]](로취단장) * [[출동! 바이오 용사]] - [[스캐럽(출동! 바이오 용사)|스캐럽]] * [[카]] - 보안관 * [[카 2]] - 토폴리노 삼촌 ,빅토르 휴고 * [[카우보이 비밥]]([[투니버스]]) - [[통푸|동풍]] *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컴배틀러 V]] - 니시카와 다이사쿠 * [[쿵후보이 친미|쿵후보이]]([[대영팬더]]) - 노스님 * [[태양의 사자 철인 28호]] - 돈 브런치, 우주 마왕, 로비 * 토드와 쿠퍼 - 부머 * [[토리코(TVA)|토리코]]([[카툰네트워크]]) - 태양왕 보석루이 14세, 다닐 칸 * [[트랙시티]] - 세나 * [[바키 시리즈|파이터 바키]]([[대원방송]]) - [[안도 레이치]] * [[극장판 포켓몬스터 XY: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포켓몬스터 극장판 17기: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 - 다몬 * [[하얀마음 백구]]([[SBS]]) - 이사장, 투견광 * 해상왕 장보고([[KBS]]) - 흑룡 * [[헌터×헌터]]([[대원방송]]) - [[통파]] * [[헤라클레스(TV 시리즈)|헤라클레스 TV 시리즈]] - 포세이돈[* 뒤쪽 에피소드는 [[이장원(성우)|이장원]]이 맡았다.] * 봉신방 1976 - [[제신]]역, 천리안 역 === 외화 === * '''[[존 굿맨]]''' 전담 * 귀여운 빌리([[KBS]]) - 해리 브록 *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KBS]]) - [[프레드 플린스톤]] * 바로워스([[KBS]]) - 오시워스 C. 포터 * 비상근무([[KBS]]) - 래리 베버 * [[에반 올마이티]]([[KBS]]) - 척 롱 하원의원 * 킹 랄프([[KBS]]) - 랄프 햄튼 게인스워스 존스 * [[007 골드핑거]]([[KBS]]) - 골드핑거(거트 프로브) * 34번가의 기적([[KBS]]) - 크리스 크링글 / [[산타클로스]]([[리처드 애튼버러]]) * 각종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영상물 - [[헤르만 괴링]] * 갱스터 초치([[KBS]]) - 노숙자(제리 모포켕) * [[경감 메그레]]([[KBS]]) - 로뇽(콜린 매스) * 고백([[KBS]]) - 프랭크(케네스 맥밀란) * 굿바이 만델라([[KBS]]) - 보스먼(마르코 반 데르 콜프) / 폴스무어 교도소장(앙드레 제이콥스) * [[글래디에이터(영화)|글래디에이터]]([[SBS]]) - 프록시모([[올리버 리드]]) * [[그림 형제 - 마르바덴 숲의 전설]]([[KBS]]) - 델러톰브([[조너선 프라이스]]) * 꼬마 용 타발루가([[대교방송]]) - 제임스 * 꼬마유령 캐스퍼([[KBS]]) - 뚱보 * [[나일강의 죽음(1978)|나일 살인사건]]([[KBS]]) - '''[[에르퀼 푸아로]]'''([[피터 유스티노프]]) * 난파선([[KBS]]) - 갑판장(욘 시구르 크리스텐슨) *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KBS]], [[MBC]]) - 파블로([[아킴 타미로프]]) * [[닥터후]]([[KBS]]) - 마사 존스의 아빠(트레버 레어드), [[맥스 캐프리콘]], [[손타란|스탈 장군]], [[우드(닥터후)|원로 우드]], [[윈스턴 처칠]], [[피의 가족]] 중 아버지, 그외 다수 조연 * 닥터 T([[KBS]]) - 엘리오스(앤디 릭터) * [[대부(영화)|대부]]([[KBS]]) - [[피터 클레멘자]](리차드 S. 카텔라노)[* [[SBS]] 방영판에서는 [[문영래]].] * [[댓 씽 유 두]]([[KBS]]) - 팩스턴(빌 코브스) * 더 콘서트([[KBS]]) - 레오니드(발렌틴 테오도시우) * [[리딕 - 헬리온 최후의 빛|리딕]]([[KBS]]) - 이맘(키스 데이비드) / 죄수(요릭 판바헤닝언) * [[델리카트슨 사람들]]([[KBS]]) - 클라펫(장 클로드 드레이퍼스) * 러브 스파이([[KBS]]) - 존스(렌조 리날리) * [[레터스 투 줄리엣]]([[KBS]]) - 바비([[올리버 플랫]]) * [[리썰 웨폰(드라마)|리썰 웨폰 드라마]]([[KBS]]) - 티토(대니 모라, 9화 ,18화) * [[리썰 웨폰 2]]([[MBC]]) - 아르젠 러드(조스 아클랜드) * 리오 그란데([[KBS]]) - 퀸캐넌([[빅터 맥클라글런]]) * 마니([[KBS]]) - 스트러트(마틴 게이벨) * [[멀린(드라마)|마법사 멀린 시즌 1]]([[KBS]]) - 올프릭(케네스 크랜햄) * 더 도어([[KBS]]) - 지기(토마스 티에메) * '''돌아온 [[판관 포청천]]'''([[OBS]]) - '''[[포청천]]'''(금초군) * [[삼총사#s-10.1.4|머스킷티어]]([[KBS]]) - 플랑셰(장 피에르 카스탈디) * 멍키킹([[KBS]]) - 저팔계([[에디 마산]]) * [[뮌헨(영화)|뮌헨]]([[KBS]]) - 파파(미카엘 롱스달) / 와엘 즈와이터(마크람 코우리) / 회계사(오데드 테오미) * 미스터리 알래스카([[KBS]]) - 읍장([[콤 미니]]) * 바다의 정복자([[KBS]]) - 토미(토머스 밋첼)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KBS]])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등장인물#s-2|제랄드 오하라]](토머스 밋첼) * 방세옥([[SBS]]) - 뇌대인(진송용) * [[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배트맨 2|배트맨 리턴즈]]([[KBS]]) - [[제임스 고든]](팻 힝글) * [[배트맨과 로빈]]([[SBS]]) - [[제임스 고든]](팻 힝글) * 법외정([[KBS]]) - 관선생 * [[벤허]](2010년 드라마)([[KBS]]) - 퀸투스 [[아리우스]] 장군([[레이 윈스턴]]) * 블라인드 가이([[KBS]]) - 대니의 아빠(프랭크 게리쉬) * 블룸 형제 사기단([[KBS]]) - 레이터([[로비 콜트레인]]) * 빅 마마 하우스([[SBS]]) - 벤 롤리(칼 라이트) * 사랑과 슬픔의 볼레로(KBS) - 시몽(로베르 오셍) * [[삼국(드라마)|삼국지]]([[KBS]]) - '''[[동탁/기타 창작물#삼국|동탁]]'''(여효화) * 수퍼캅([[SBS]]) - 윌버 월쉬(버드 스펜서) * 수호전지 영웅본색([[SBS]]) - 노지심(서금강) * [[스타워즈]]([[KBS]]) - '''[[요다]]'''([[프랭크 오즈]]), [[누트 건레이]](실라스 카슨, [[스타워즈 1|에피소드 1]] & [[스타워즈 2|2]]), [[클리그 라스]](잭 톰퍼슨, [[스타워즈 2|에피소드 2]]), 시오 비블(올리버 포드 데이비스, [[스타워즈 2|에피소드 2]])[* [[스타워즈 1|에피소드 1]]에서는 [[김규식(성우)|김규식]].], [[켄달 오젤]](마이클 쉐어드, [[스타워즈 5|에피소드 5]]), [[아크바]](팀 로스/에릭 바우어스펠드, [[스타워즈 6|에피소드 6]]) * [[스파이 게임(2001)|스파이 게임]]([[KBS]]) - 해리 덩컨(데이비드 헤밍스) * [[스페이스 잼]]([[SBS]]) - 주황색 외계인(다넬 서틀스) * [[스플래시(영화)|스플래시]]([[KBS]]) - 프레디([[존 캔디]]) * 아란의 사람들([[KBS]]) - 상어잡이(패치 로드) * [[아바타 아앙의 전설(드라마)]] - [[소진(아바타 아앙의 전설)|소진]](히로 카나가와) * 아스테릭스([[KBS]]) - 카이우스(장 피에르 카스탈디) * [[애널라이즈 디스]]([[KBS]]) - 젤리(조 비터렐리)[* [[SBS]] 방영판에서는 [[김정호(성우)|김정호]].]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KBS]]) - 조 가든(찰스 C. 윌슨) * [[어벤저#1998년]]([[SBS]]) - 마더([[짐 브로드벤트]]) * [[어스시 연대기|어스시의 마법사]]([[KBS]]) - 오지언([[대니 글로버]]) * [[에드 우드(영화)|에드 우드]]([[KBS]]) - 토르(조지 스틸) * [[에이리언(영화)|에이리언]]([[SBS]]) - [[데니스 파커]](야펫 코토)[* [[KBS]] 방영판에서는 [[임성표]].] * 엘 시드([[KBS]]) - 고르마즈 백작(앤드류 크룩생크) * [[오멘]] 1, 2([[KBS]]) - 칼 부겐하겐(레오 멕켄) * 올리버 트위스트([[KBS]]) - 그림위그(프레데릭 로이드) * 우정있는 설복([[KBS]]) - 에녹(조엘 플럴런) * 육지금마([[SBS]]) - 황린의 스승(진룡) * [[이레이저]]([[SBS]]) - 쟈니 카스텔로네(로버트 패스토렐리) * [[보디가드(홍콩 영화)|이연걸의 보디가드]]([[KBS]]) - 양경관(정측사) * [[이유 없는 반항]]([[KBS]]) - 짐의 아빠(짐 바쿠) *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인디아나 존스 2: 마궁의 사원]]([[KBS]]) - 몰라 람(암리쉬 푸리) * [[인사이더]]([[KBS]]) - 모들리 변호사(브루스 맥길) / 로웰의 친구(윌리 C. 카펜터) * [[속 황야의 무법자|장고]]([[KBS]]) - 나다니엘(앙헬 알바레스) * [[전쟁과 평화(2016)|전쟁과 평화]](BBC 드라마)([[KBS]]) - [[쿠투조프]] 장군([[브라이언 콕스]]), 티혼(데이비드 퀼리터) * [[쥬라기 공원]]([[KBS]], [[SBS]]) - [[존 해먼드]]([[리처드 애튼버러]])[* [[이안 말콤]]의 성우 [[박기량(성우)|박기량]]과 함께 1, 2편의 KBS와 SBS 버전에 모두 출연했다.] * [[쥬라기 공원 2]]([[KBS]], [[SBS]]) - [[존 해먼드]]([[리처드 애튼버러]]) * 청사([[KBS]]) - 스님(유순) * 청혼([[KBS]]) - 할아버지 * [[칭기즈칸(드라마)|칭기즈 칸]]([[KBS]]) - [[위소왕(금)|위소왕]] * 커맨더 인 치프([[KBS]]) - 폴락 장군(알 브라운) / 대법원장 * 코 끝에 걸린 사나이([[SBS]]) - 반장([[델로이 린도]]) * [[콜드 케이스|콜드 케이스 시즌 1]]([[KBS]]) - 마빈(제임스 매더스, 19화) / 짐(로널드 헌터, 23화) * [[쿵푸허슬]]([[KBS]]) - 화운사신([[양소룡]]) / 킬러(가강희) * 키드([[KBS]]) - 밥(스탠리 앤더슨) * [[터미널(영화)|터미널]]([[KBS]]) - 서먼(배리 샤바가 헨리) * [[투명인간(드라마)|투명인간]]([[KBS]]) - 국장(에디 존스) * [[티파니에서 아침을]]([[KBS]]) - 이웃집 주인([[미키 루니]]) / 셀리(앨런 리드) * '''[[판관 포청천]]'''([[KBS]]) - '''[[포청천]]'''(금초군) * 퍼펙트 크라임([[KBS]]) - 형사(엘리크 빌렌) * [[페노미논|페노메논]]([[KBS]]) - 디토(토니 제나로) * [[포레스트 검프]]([[KBS]]) - 의사(해롤드 허텀) / 군인(아페모 오밀라미) / 벤치에 앉은 남자(빌 로버슨) * [[폭풍의 질주]]([[KBS]]) - 팀 달랜드([[랜디 퀘이드]]) / 의사(제랄드 R. 몰렌) * [[프라이트너]]([[KBS]]) - 경찰서장(존 어스틴) * 프리즈 프레임([[KBS]]) - 숀 시걸(이안 맥네이스) * [[해리 포터 시리즈]]([[워너브라더스]]) - [[피터 페티그루]]([[티모시 스폴]]), [[앨러스터 무디]]([[브렌던 글리슨]]) * [[허드서커 대리인]]([[KBS]]) - 이사회 인원(I. M. 홉슨) / 음식점 직원(존 사이츠) / 해설 * 헌티드([[KBS]]) - FBI 지부장(론 캐나다) * 화성인 마틴([[KBS]]) - 국장 * 허비 - 몬테카를로에 가다([[KBS]]) - 퀸시(로이 키니어) * [[007 살인번호]]([[KBS]]) - 코럴(존 키즈밀러) * [[JFK(영화)|JFK]]([[KBS]]) - 베니스터([[에드워드 애스너]]) * [[Knight Rider]]([[KBS]]) - 카르(C.A.R.R) === 노래 === * 에디와 내 친구 베어 오프닝 (With [[안현서]])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2DEE0A47654601690E84DD0041249FEABAF1&outKey=V125c56801f6439354adc18d00d22679809a4392c192d70b7368718d00d22679809a4&width=544&height=306|듣기]] * 에디와 내 친구 베어 엔딩 (With [[안현서]])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FD270CA4D26B72AEC2785946FA8FD238F078&outKey=V125a8360eccc51e4be61a2ea4505a5913e61d70ca0b82a6498fea2ea4505a5913e61&width=544&height=306|듣기]] === 특촬물 === * [[공룡대전쟁 아이젠보그]] - 마왕 코티스 * [[슈퍼전대 시리즈]] * [[대전대 고글파이브|지구특공대 가글파이브]] - [[혼고 히데키 박사]](송규만 박사), [[데스기라 장군]](데스키라 장군) * [[초전자 바이오맨|우주특공대 바이오맨]] - [[메이슨(초전자 바이오맨)|메이슨]], [[사이곤]], [[멧츄라]][* 초반만 담당했으며 그 다음부터는 [[강구한]]이 맡았다.], [[쥬오]], '''[[바이오 헌터 실바|바이오 헌터 실버]]''', 코우 신이치로(설민환), 야마모리 쇼타(강재준), [[메카클론]] * [[전격전대 체인지맨]] - [[부관 부바]](부관 부마), 예고편 해설 * [[초신성 플래시맨|지구방위대 후뢰시맨]] - [[대박사 리 케프렌]], [[사 카우라]](카우라), [[레이 원더]], [[마그(초신성 플래시맨)|마그]], [[토키무라 박사]](강진영 박사), 석이 아빠, 경수 아빠 * [[광전대 마스크맨|빛의 전사 마스크맨]] - [[지제사령 바라바]], [[지제닌자 오요브]](요프라), [[에너지수 오케란파]](오케랏파), [[아스카 료(광전대 마스크맨)|아스카 료]](X1 마스크), [[도적기사 키로스]] * [[초수전대 라이브맨|평화의 전사 라이브맨]] - [[닥터 켄프]](닥터 켄푸), [[가드노이드 갓슈]], [[기르도 성인 기르도스]] *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 - '''[[황제 아쿠도스 길|아크도스 길]]''' * [[메탈히어로 시리즈]] * [[거수특수 쟈스피온|무적의 자스피온]] - 에진 * [[시공전사 스필반|싸이보그 스필반]] - 닥터 바이오, 기로틴 황제, 배종대 * [[형제권 바이크롯서|형제전사 에이스맨]] - 해설, [[돈 닥터 Q]], 데스타로보, 미즈노 쿄스케, 블랙맨, 다음회 예고 해설 === 게임 === * [[기동전사 건담 해후의 우주]] - [[도즐 자비]] * [[길티기어 시리즈]](젝스 플러스) - [[클리프 언더슨]] * 던전 시즈 2 * [[로스트 오디세이]] - [[세드(로스트 오디세이)|세드]] * [[블레이드 앤 소울]] - 족장 홍돈이 * [[삼국지 천명 2]] - [[장비]] * [[슬라이 쿠퍼]] 3 - 블랙 바론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 쉴레이만 대제 * [[열혈강호]] PC판 - 도제 [[문정후]]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드워프]] NPC(남), [[타락한 밸라스트라즈]], [[니엘라스 아란]], [[브란 브론즈비어드]][* 군단에서도 브란 외에도 여러단역을 맡았다.], [[공작 말체자르]], [[오즈룩]] * [[진삼국무쌍 시리즈]] - '''[[동탁(진삼국무쌍)|동탁]]'''(1, 3, 4), [[여몽(진삼국무쌍)|여몽]](1) * [[진삼국무쌍 시리즈|진삼국무쌍 온라인]] - '''동탁''' * [[창세기전 3: 파트 2]] - '''[[퉁 파오]]''' * [[킹덤 언더 파이어]] - [[리쿠쿠]] * [[하프라이프 2]] - [[그리고리 신부]], [[오데사 커비지]] * [[하스스톤]] - [[브란 브론즈비어드]], 서풍의 신령, [[한여름 밤의 카라잔|아란의 망령]], [[공작 말체자르(하스스톤)|공작 말체자르]] === 오디오 드라마 === * [[화산귀환]](텀블벅) - [[법정(화산귀환)|법정]]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1948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1971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극배우 출신 성우]][[분류:재데뷔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