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dddddd '''{{{+1 노르웨이의 숲}}}''' (2010)[br]ノルウェイの森}}}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0 노르웨이의 숲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로맨스]] || || '''감독''' ||<|2>[[트란 안 훙]] || || '''각본''' || || '''원작''' ||[[무라카미 하루키]] - 소설 《[[노르웨이의 숲(소설)|노르웨이의 숲]]》 || || '''제작''' ||오가와 신지 || || '''주연''' ||[[마츠야마 켄이치]], [[키쿠치 린코]], [[미즈하라 키코]] || || '''촬영''' ||마크 리 핑빙[* 대만 출신의 촬영 감독으로, [[허우샤오셴]]의 페르소나이다.] || || '''편집''' ||마리오 바티스텔 || || '''음악''' ||[[조니 그린우드]] ||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아스믹 에이스]][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덴츠]][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단샤]][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산케이 신문]][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스미토모 그룹]][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WOWOW]]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도키 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예지림|| || '''개봉일'''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10년 9월 2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0년 12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4월 21일 || || '''화면비''' ||2.35 : 1 || || '''상영 시간''' ||2시간 13분[br]2시간 30분 ,,(확장판),,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19,144,719'''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9,229명''' || || '''상영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소설)|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트란 안 훙]] 감독의 2010년작 로맨스 영화. [[마츠야마 켄이치]], [[키쿠치 린코]], [[미즈하라 키코]]가 주연을 맡았으며, [[제6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았다. 국내에서는 당시 문학사상사에서 출판했던 원작 소설의 번안 제목이자 더 인지도가 있던 제목인 '상실의 시대'로 들여와 개봉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YBgsyBwYso)]}}}|| || {{{#ffffff,#ddddd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사랑을 앓고, 알아가던 스무 살의 그 때…''' > > '''17살.''' > 나, ‘와타나베’(마츠야마 켄이치)는 절친 ‘기즈키’, 그의 연인 ‘나오코’(키쿠치 린코)와 함께 항상 셋이 어울렸다. ‘기즈키’가 홀연히 죽음을 택하고 남겨진 나는 그 곳을 벗어나고 싶었다. > > '''19살.''' > 도쿄의 대학생이 된 나를 ‘나오코’가 찾아온다. 매주 함께 산책을 하면서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나오코’의 스무 살 생일 날 우린 사랑을 나누게 된다. 그 후로 한동안 연락이 없던 ‘나오코’에게 현재 요양원에 있다는 편지를 받게 되고, 그 곳을 찾아가면서 그녀에 대한 내 사랑이 조금씩 확고해져 가는 것만 같다. > > '''20살.''' > 같은 대학에 다니는 ‘미도리’(미즈하라 키코)가 내 삶에 들어온다. 톡톡 튀는 생기발랄한 그녀에게서 ‘나오코’와는 다른 매력이 느껴진다. ‘나오코’의 편지가 점점 뜸해지던 어느 날, ‘나오코’의 병세가 더욱 심해졌다는 소식을 듣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마츠야마 켄이치]] - 와타나베 토오루 역 * [[키쿠치 린코]] - 나오코 역 * [[미즈하라 키코]] - 코바야시 미도리 역 * [[코라 켄고]] - 키즈키 역 * [[타마야마 테츠지]] - 나가사와 선배 역 * 하츠네 에리코 - 하츠미 역 * 키리시마 레이카 - 이시다 레이코 역 * [[이토이 시게사토]] - 교수 역 * [[호소노 하루오미]] - 레코드 가게 주인 역 * [[타카하시 유키히로]] - 경비원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norwegian-wood, critic=58, user=7.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norwegian_wood, tomato=74, popcorn=49)]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70842, user=6.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norwegian-wood, user=3.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47468, presse=3.4, spectateurs=2.7)]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2010/norwegianwood, MYMOVIES=2.50, CRITICA=X.XX, PUBBLICO=3.0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24736, user=6.1)]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36172, user=2.6)]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29856, user=2.9)]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168086, user=6.0)]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挪威的森林-norwegian-wood-3604, user=2.9)]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1b2Qd, user=2.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4481, light=16.6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51508, user=5.0)] [include(틀:평가/CGV, code=39546, egg=XX)] [include(틀:평가/MRQE, code=norwegian-wood-m100093036, user=66)] [include(틀:평가/TMDB, code=57703, user=63)]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naokos-laecheln, user=6.3)]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norwegian-wood-2012, user=3.0)] > Norwegian Wood is a poetic adaptation of the Haruki Murakami novel that uses rapturous visuals to draw viewers in its exploration of young love and lasting death. >---- > '''<노르웨이의 숲>은 젊은 사랑과 영원한 죽음에 대한 탐구로 관객들을 몰아넣기 위해 황홀한 비주얼들을 사용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시적으로 각색한 작품앋.'''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시대의 공기가 사라지니 남는 건 팬시 상품''' >---- > - 김용언 (★★) >'''하루키를 읽지 않고 봤다면 더 나았을까?''' >---- > - 유지나 (★★★) >'''전형적인, 그러나 유통기한 만료된 청춘 애로물''' >---- > - [[황진미]] (★★★) >'''감성을 챙기고 시대를 놓치다''' >---- > - [[박평식]] (★★★) >'''[[카와세 나오미]], [[이와이 슌지]],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했더라면? 때늦은 몽상''' >----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대체로 원작의 이름값에 비해서는 좋지 못한 평가를 들었다. 일단 영상미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호평. 원작의 분위기를 잘 살리면서도 독특한 예술적 풍미가 더해졌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설명이 꽤 불친절하고 휙휙 넘어가는 느낌이 있어서 원작을 읽지 않았다면 내용 이해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영화화를 했다기보다는 영상화한 장면을 나열해놓은 것 같은 느낌. 또 나오코랑 미도리, 특히 나오코 배역이 작중에서 묘사되는 분위기와는 사뭇 달라 미스캐스팅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일본에서는 개봉 후 사흘 동안 약 13만여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한국에서도 2011년 4월에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으로 개봉했다. 관객 수는 19,229명. 원작의 이름값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두 나라 모두에서 흥하진 못했다. == 기타 == * 원작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중 가장 인기있는 소설임에도 23년만에 영화화가 되며 꽤 늦게 영화화가 된 편인데, 하루키가 이 소설을 영화화하는 데 있어서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영화화 진행 중 [[왕가위]]를 비롯해서 수많은 유명 영화 감독들이 오퍼를 넣었으나 모두 거절했고, 하루키가 직접 트란 안 훙이 보내온 각본을 보고 나서 당신의 각색이 가장 마음에 들었으니, 당신이 영화화를 해줬으면 좋겠다고 부탁했다고. * [[도쿄]] [[와세다대학]]과 [[고베대학]], [[효고현]] [[카미카와초(효고)|카미카와초]]에 있는 토노미네 고지와 미네야마 고지, 그리고 [[산인 해안 국립공원]]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 감독이 베트남계 프랑스인인 만큼 전체 참여 스태프 중 일본 스태프와 베트남 스태프가 반반이며 특히 미술, 분장 관련은 대부분 베트남 스태프가 담당했다. 덕분에 일본 배경의 일본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임에도 은연 중에 베트남풍의 복색이나 색채가 느껴지는 영상이 군데군데 엿보인다. * 저작권료가 매우 비싼 비틀즈 노래임에도 엔딩 곡으로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를 삽입했다. * 일본 내 시사회를 2군데에서 했는데, 한 군데는 하루키의 모교이자 소설의 배경이며 실제 촬영지인 [[와세다대학]][* 그런데 또 다른 촬영지인 [[고베대학]]에선 시사회를 안 했다. 고베대학도 일본에서는 알아주는 상위권 대학임을 감안하면 조금 아쉬울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와세다대학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모교라는 상징성이 하나 더 있어서 특별히 시사회까지 한 듯하다.], 다른 한 군데는 '''주일노르웨이대사관'''이었다고 한다. 본토에서 개봉하기도 전에 이미 '''50개국''' 상영 계약이 끝났다고. 기념으로 주일노르웨이대사관 시사회에서는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50개국 국민을 1명씩, 총 50명을 초청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노르웨이의 숲(소설)|노르웨이의 숲]]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노르웨이의 숲(소설), version=362)] [[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일본의 로맨스 영화]][[분류:2010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