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노령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35.490087 126.800798,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oryeong || || [[한자]] ||<-2> 蘆嶺 || || [[간체자]] ||<-2> 芦岭 || || [[가나(문자)|가나]] ||<-2> [ruby(蘆嶺, ruby=ノリョン)] || ||<-3> '''주소''' || ||<-3>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입암로 171-18 [br] (舊 등천리 182-5)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3> '''운영 기관''' || || [[호남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호남선|호남선 (구역)]] ||<-2> 1970년 1월 16일 [br]~ 1987년 6월 17일[* 복선화 전 옛 역사] || || [[호남선|호남선 (신역)]] ||<-2> 1987년 6월 18일 || ||<-3> '''{{{#000 승강장 구조}}}''' || ||<-3>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 ||<-3> '''철도거리표''' || || [[대전조차장역|{{{#!html
대전조차장 방면}}}]][[천원역|천 원]][br]← 4.2 ㎞ || '''[[호남선]]'''[br]노 령 || [[목포역|{{{#!html
목포 방면}}}]][[백양사역|백양사]][br]7.0 ㎞ → || {{{+1 蘆嶺驛 / Noryeong Statio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노령역.jpg|width=100%]]}}} || || {{{#000 '''현 역사(1987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sc_0722_invisibleone.jpg|width=100%]]}}} || || {{{#000 '''구 역사(1970년 준공, 1987년 철거)'''}}}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남선]]의 [[철도역]]. [[전라북도]] [[정읍시]] 입암면 입암로 171-18 (舊 등천리 182-5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개업 때에는 신호장이었다가 [[1971년]] [[3월 20일]]부터 여객취급을 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533124#4|철도청고시 제14호]]] 수요 부족으로 [[1977년]]에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가 [[1984년]] [[6월 1일]]부터 여객취급을 다시 했다. [[1987년]] [[6월 18일]]에 [[호남선]] 복선화로 인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신축하였다. [[1988년]] [[1월 25일]]에는 신호장에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206486#5|철도청고시 제3호]].] 동년 [[11월 6일]]부터는 화물취급도 하게 된다. 인근에 [[내장산]]을 넘는 [[고개]]인 [[노령#s-2|갈재(蘆嶺)]]가 있다고 해서 갈재를 한자화한 [[노령]]이 역명이 되었다. 노령산맥 할 때 그 노령 맞다. 이 역을 기준으로 철로를 남쪽으로 따라가면 보이는 노령터널을 사이에 두고 [[전라북도]]와 [[전라남도]]가 갈라진다. 양 도의 경계점에 있기도 하고 재를 뜻하는 嶺이 붙어있는 것처럼 옛날에는 산을 올라야 해서 이 역에서 쉬어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꽤나 이용객이 있었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1991년]] [[11월 14일]]에는 운전피제어역으로 지정되었다. 제어역은 [[천원역]]. 나중에 복선전철화 후에는 경사와 곡선이 모두 완화되어 쉬어갈 필요가 없으니 [[2004년]] [[12월 10일]]부터 무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2008년]] 1월 1일부터 모든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면서 사실상 화물 취급만 하는 중. == 기타 == 근처에 자갈 채석장이 있기 때문에 폐역되지 않고 자갈 화물을 취급한다. 하지만 그 양은 한 해 1만톤 정도로 적은 편. 인근에 [[다원시스]] 정읍공장이 2020년 2월에 완공되었으며 3월에 가동이 시작되었다. [[천원역]]과 함께 준대형역사의 80년대후반 양식 역명판이 남은 몇 안되는 역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호남선의 역 목록)] [[분류:197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호남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정읍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