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라 존스]]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A0, #0033A0)" '''{{{#fff 노라 존스의 주요 수상 이력}}}'''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그래미 어워드|[[파일:Grammy.svg|width=50]]]] ||<:> '''[[그래미 어워드|{{{#b69858 그래미 어워드}}}]] [br]{{{+2 {{{#b69858 9회 수상}}}}}}''' || ---- ||<-5>
{{{#e5d85c ''' 역대 [[그래미 어워드|{{{#e5d85c 그래미 시상식}}}]]'''}}} [* 제45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Don't Know Why]]"가 올해의 노래상도 탔으나, 작곡가인 제시 해리스만이 수상했다.] || ||<-5> [[파일:Grammy.svg|width=70]] || ||<-5>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2000년~2019년)|{{{#e5d85c '''올해의 앨범상'''}}}]] || || '''제44회[br]([[2002년]])''' || {{{+1 → }}} || '''제45회[br]([[2003년]])''' || {{{+1 → }}} || '''제46회[br]([[2004년]])''' || || "[[O Brother, Where Art Thou?|O Brother, Where Art Thou? Soundtrack]]"[br][[Various Artists]] || {{{+1 → }}} || '''"[[Come Away With Me]]"[br]노라 존스''' || {{{+1 → }}} || "[[Speakerboxxx/The Love Below]]"[br][[아웃캐스트]] || || '''제49회[br]([[2007년]])''' || {{{+1 → }}} || '''제50회[br]([[2008년]])''' || {{{+1 → }}} || '''제51회[br]([[2009년]])''' || || "Taking the Long Way"[br][[더 칙스|딕시 칙스]] || {{{+1 → }}} || ''' ''"River: The Joni Letters"[br][[허비 행콕]] [* 피처링 아티스트로서 수상함]'' ''' || {{{+1 → }}} || "[[Raising Sand]]"[br][[로버트 플랜트]] || ||<-5>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2000년~2019년)|{{{#e5d85c '''올해의 레코드상'''}}}]] || || '''제44회[br]([[2002년]])''' || {{{+1 → }}} || '''제45회[br]([[2003년]])''' || {{{+1 → }}} || '''제46회[br]([[2004년]])''' || || "Walk On"[br][[U2]] || {{{+1 → }}} || '''"[[Don't Know Why]]"[br]노라 존스''' || {{{+1 → }}} || "Clocks"[br][[콜드플레이]] || || '''제46회[br]([[2004년]])''' || {{{+1 → }}} || '''제47회[br]([[2005년]])''' || {{{+1 → }}} || '''제48회[br]([[2006년]])''' || || "Clocks"[br][[콜드플레이]] || {{{+1 → }}} || '''"Here We Go Again"[br][[레이 찰스]] & 노라 존스''' || {{{+1 → }}} || "Boulevard of Broken Dreams"[br][[그린 데이]]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2000년~))]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 }}} || ||<-2>
'''{{{+1 노라 존스}}}[br]Norah Jon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orah Jones Photoshoot.jpg|width=100%]]}}} || || '''본명''' ||Geethali Norah Jones Shankar[br]{{{-1 게탈리 노라 존스 샹카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79년]] [[3월 30일]] {{{-1 ([age(1979-03-30)]세)}}}|| ||[[미국]] [[뉴욕 주]] [[맨해튼]]|| || '''거주''' ||[[미국]] [[텍사스|텍사스 주]] 그레이프바인|| || '''직업''' ||[[싱어송라이터]], [[피아니스트]]|| || '''신체''' ||157cm || || '''부모''' ||아버지 [[라비 샹카르]]|| || '''장르''' ||[[대중음악|팝]], [[재즈]], [[포크송|포크]], [[컨트리]]|| || '''데뷔''' ||[[2002년]] 앨범 '[[Come Away With Me]]'|| || '''활동''' ||[[2001년]] - [[현재]]|| || '''레이블''' ||[[블루 노트 레코드]]|| || '''링크''' ||[[https://norahjone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https://youtube.com/@norahjone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https://www.instagram.com/norahjon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https://www.threads.net/@norahjones|[[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orahjones, 크기=20)]|[[https://www.facebook.com/norahjon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0DCFF4-913C-4C1A-9010-855496E06E19.jpg|width=100%]]}}}|| 노라 존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재즈 아티스트''' 중 한명이자 '''그래미의 여왕'''으로 불린다. == 상세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재즈]]와 [[대중음악|팝]] [[보컬리스트]]. 2000년대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대표곡으로 "[[Don't Know Why]]", "[[Come Away With Me(싱글)|Come Away With Me]]", "Sunrise", "Not Too Late"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도 수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으며, [[2005년]], [[2012년]], 그리고 [[2017년]]에 내한 공연을 가진 바 있다. 그녀의 음악 스타일은 재즈 입문자뿐만 아니라, 재즈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잔잔한 음악에 매료되어 팬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음악 자체가 정통 재즈보다는 [[대중음악|팝]]과 [[컨트리]], [[블루스]]풍의 [[크로스오버]] 스타일이다. 알다시피 유럽과 미국 음악 시장에서도 영향력이 컸던 [[인도]]의 유명 [[시타르]] 연주자인 [[라비 샹카르]]의 [[딸]]로, '''1920년생'''인 [[라비 샹카르]]가 60대에, 그것도 바람피워서 낳은 아이가 노라 존스 씨다.[* 이후 헤어졌고 아버지랑은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뉴델리]]에서 아버지를 다시 만났고, 이때 앨범에 실릴 곡을 썼다고 한다.] 이복동생으로는 아노슈카 샹카르가 있다.[* 참고로 아노슈카의 남편, 노라의 매부는 영화 감독인 [[조 라이트]]이었다. 그러나 2018년 아노슈카가 이혼해 이제는 남남.] 이복동생하고는 사이가 좋은 편인지 노라가 아노슈카 앨범에 가끔 얼굴을 내밀기도 했다. [[비틀즈]]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그녀의 아버지 [[라비 샹카르]]를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무대에서 비틀즈의 [[I've Got A Feeling(비틀즈)|I've Got A Feeling]] 그리고 [[Let It Be(노래)|Let It Be]]와 [[Oh! Darling]], [[Something]]을 공연했으며, [[폴 매카트니]] 헌정 무대에서 [[데이브 그롤]]과 폴 매카트니의 [[Maybe I'm Amazed]]를 공연하기도 했다.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 상을 2003년과 2004년에 수상한 바 있고, 특히 2003년에는 당시 올해의 레코드과 더불어 올해의 앨범, 베스트 팝 보컬앨범, 올해의 여자보컬, 최고신인상 등을 수상하였다. 그래미 수상 전에는 100만 장이었던 판매량이 현재는 전 세계 2,600만 장에 이른다. 그래미가 낳은 최고의 신데렐라. 다만 그래미 수상 전에도 소위 말하는 '듣보잡'은 아니었다. 잔잔한 성향의 음악 탓에 한국에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지 어느 정도 주목은 받은, 라이징 신인 아티스트였다. 이후로 비슷한 스타일의 음악을 보여 주다가 2009년 네 번째 앨범 'The Fall'부터는 루츠, 록 음악적인 성향이 더해져 변신에 성공한다. 많은 사람들이 1집과 더불어 그녀의 작품 중 최고로 꼽기도 한다. 그 후 노라는 컨트리 밴드를 결성하거나 [[그린데이]]의 빌리 조와 콜라보레이션 음반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상업적으로는 점점 판매량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지만, 애초에 이런 잔잔한 음악이 전 세계를 강타한 게 드문 일이다. 영화에도 네 번 출연한 적이 있다. 2008년 개봉한 [[왕가위]] 감독의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에서는 주연으로 출연한 바 있는데, 감독의 요청으로 연기 연습은 일절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발연기]]가~~ 영화는 수작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봐줄 만하다는 평. 노라 외에도 [[주드 로]], [[나탈리 포트만]], [[레이첼 바이스]] 같은 유명 배우가 참여했다. 노라의 음악 같은 잔잔하고 낭만적인 영화다. 깨는 출연으로는 코미디 영화 [[19곰 테드]]에 본인 역할로 까메오 출연한 것. 곰인형 테드와 파티에서 눈 맞아서 옷장에서 격한 섹스를 즐긴 [[섹스 파트너]] 관계였다고 한다(...) 동명(同名)의 소설을 영화화한 오카다 준이치, [[쿠로키 히토미]] 주연의 [[일본]] 영화 《[[도쿄 타워]]》에서 그녀의 노래인 "Sleepless nights"가 ost로 사용된 바 있다. == 수상 목록 == * 2003년 제45회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앨범, 올해의 노래, 베스트 팝 보컬앨범, 올해의 여자보컬, 최고신인상 * 2005년 제47회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 베스트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상, 베스트 팝 공동보컬상 * 2013년 제27회 일본 골드디스크상 올해의 재즈앨범상 == 디스코그래피 == * [[Come Away With Me]] (2002) * Feels Like Home (2004) * Not Too Late (2007) * The Fall (2009) * Little Broken Hearts (2012) * Day Breaks (2016) * Pick Me Up Off The Floo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