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네모바지 스폰지밥)] [include(틀:네모바지 스폰지밥)] [목차] == 개요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OST를 정리한 문서. 본편 삽입곡, 극장판의 삽입곡은 방영 순으로 정렬되어 있다. == 오프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ey8rFdvq6M)] }}} || ||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된 27개국의 오프닝'''[* 모두 각자 사용하던 원본 방영분이 아닌 원판 영상에 음성만 덮어 씌웠다.] || === 원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9L4AseD-aA)] }}} || ||<-2> '''SpongeBob Squarepants OP''' || || '''가수''' || 패트릭 핀니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Are you ready kids? 준비 됐나, 꼬마들? "Aye[* "네"라는 뜻의 뱃사람들(해군, 해병, 무역선 선원, 해적 등)의 언어이다.] Aye! Captain!" 네, 선장님! I can't hear you! 잘 안들린다! "AYE AYE! CAPTAIN!" 네! 선장님! Ooooohhhh! 오오오오오오! Who lives in a pineapple under the sea? 바닷속 파인애플에 누가 살까? "Spongebob Squarepants"[* 시즌 5의 스페셜 에피소드 [[스폰지밥이 누구에요?|"스폰지밥이 누구에요?"]]에서는 "Whobob Whatpants"이다.] 네모바지 스폰지밥 Absorbant and yellow and porous is he! 흡착력 좋고 노랗고 구멍이 많은 녀석!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If nautical nonsense be something you wish 바다 관련 농담을 원한다면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Then drop on the deck and flop like a fish! 그러면 갑판 위로 떨어진 물고기처럼 팔딱거려봐!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Ready? 준비됐나?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SPONGEBOB SQUAREPANTS! 네모바지 스폰지밥! AH AHH AHH AHAHAHAHAHAHAHHH. }}} || 초기부터 계속 사용 중인 오프닝. 초창기의 오프닝을 HD로 리마스터링하여 현재까지도 사용 중이다. === EBS(네모네모 스펀지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Rvw3kGqGuY)]}}} || ||<-2> '''네모네모 스펀지송 오프닝''' || || '''가수''' || 보물섬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다들 준비됐나 네 선장님! 안 들린다~ 네 선장님!! 오~~~~ 집은 저 바닷속 파인애플 네모네모 스펀지송! 네모난 몸매에 구멍 송송 네모네모 스펀지송! 물도 즐거움도 모두 쏙쏙 네모네모 스펀지송! 사람도 고기도 모두 하하 네모네모 스펀지송! 네모네모 스펀지송! 네모네모 스펀지송! 네모네모 스펀지송! 네모네모~ 스펀지송! }}} || === 재능방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RmAPxPiOc)]}}} || ||<-2> '''재능방송, 니켈로디언 코리아 초기, 투니버스 초기, 비디오 오프닝''' || || '''가수''' || [[하성용]][* 과거 [[EBS]]판에서 엑스트라 역을 맡은 적이 있다.]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모두 잠수 준비 네 선장님! 잘 안 들려↗요~ 네 선장님! 우~ 와우~ 깊은 저 바닷속 파인애플 보글보글 스폰지밥 네모난 얼굴에 동그란 눈 네모바지 스폰지밥 문어도 인어도 모두 친구 보글보글 스폰지밥 사랑과 희망이 보글보글 네모바지 스폰지밥 출발! 네모바지 스폰지밥 바다친구 스폰지밥 보글보글 스폰지밥 스폰지밥~ 내 친구~ }}} || 어린 시절부터 한 번쯤 스폰지밥을 보던 세대들은 대체로 재능방송 버전의 2002년판 오프닝을 가장 많이 떠오르는 편이다. 니켈로디언 코리아 방영 초기(2005~2009), 투니버스(2007~2008, 2012~2014), 스크린에듀케이션에서 발매한 비디오판에서도 사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 많은 작품답게 유튜브 밈으로 합성할 때도 많이 사용된다. === 니켈로디언 코리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FWj_6cHdxc)]}}} || ||<-2> '''오프닝'''[* [[https://youtu.be/ebLOFRGFnnA|당시 홍보 영상]], [[https://youtu.be/h73bdxETHPM?si=VpqkaeU6FNKqqtMk|삽입된 영상]]] || || '''가수''' || [[은지원]] || || '''사용 기간''' || [[2009년]] 8월~ [[2017년]] [[7월 20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ZFXPwOY6dE)]}}} || ||<-2> '''오프닝''' || || '''가수''' || [[유세윤]] || || '''사용 기간''' || [[2017년]] [[7월 21일]]~[[2022년]] [[6월 30일]]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준비됐나! 네 선장님! 잘 안 들려! 네 선장님! 깊은 저 바닷속 파인애플 네모바지 스폰지밥 네모난 얼굴에 동그란 눈 우리 친구 스폰지밥 문어도 인어도 모두 친구 네모바지 스폰지밥 사랑과 희망이 보글보글 우리 친구 스폰지밥 네모바지 스폰지밥 바다 친구 스폰지밥 우리 친구 스폰지밥 스폰지밥~ 내 친구~ }}} || 방영 초기에는 재능방송판 오프닝을 그대로 쓰다 2009년 8월부터 [[은지원]]이 부른 곡이 첫 선을 보인 후 2010년경부터 2017년까지 클레이 애니메이션 버전으로 사용되었다. 기본적으로 재능방송에서 제작한 가사를 계승했다.[* 물론 소소한 차이점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보글보글 스폰지밥'이라는 이름을 완전히 없애버렸다.] 2017년 7월 21일부터는 [[유세윤]]이 부르는 버전과 해적 선장 얼굴에 유세윤 얼굴을 합성한 버전으로 바뀌었고 그림체도 미국 기준 시즌 9 200화에서 리마스터된 오프닝으로 변경되었다. '문어도 인어도 모두 친구' 부분의 한글 텍스트가 사라졌다. 그리고 스폰지밥이 코로 피리를 부는 장면과 소리가 싱크가 안 맞는다. === 투니버스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UWMAA1bF4I, start=301, width=100%)]}}} || ||<-2> '''오프닝''' || || '''가수''' || [[유세윤]] || || '''사용 기간''' || [[2022년]] [[8월 1일]]~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준비됐나! 네 선장님! 잘 안 들려! 네 선장님! 깊은 저 바닷속 파인애플 네모바지 스폰지밥 네모난 얼굴에 동그란 눈 우리 친구 스폰지밥 문어도 인어도 모두 친구 네모바지 스폰지밥 사랑과 희망이 보글보글 우리 친구 스폰지밥 네모바지 스폰지밥 바다 친구 스폰지밥 우리 친구 스폰지밥 스폰지밥~ 내 친구~ }}} ||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한글화한 오프닝이 아니라 원판의 오프닝에 음성을 덧씌웠다. == 엔딩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WjixLoZopU)]}}} || ||<-2> '''엔딩'''[* 참고로 첫 시즌 1화인 직원 모집에서 쓰인 엔딩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ojE3s6HKSc|파일럿 버전]] 역시 이와 거의 동일하나 마지막에 나오는 유나이티드 플랑크톤 픽처스 로고 대신 스폰지밥 그림과 함께 스티븐 힐렌버그의 이름이 나온다.] || [[https://youtu.be/MLP8FOs4U2Y?si=HPB2f_ldag95HOSj|풀버전]] 한국에서도 EBS나 [[https://youtu.be/rWaCYQbYC0o?si=vHWGRdd9eQnJcvcC|재능방송~닉 코리아 초기 시절]]만 하더라도 이 엔딩 곡이 쓰였으나 닉 코리아에서 2009년에 프로그램 전개 방식이 바뀐 이후에는 엔딩에 오프닝곡을 짤막하게 들려주는 걸로 대체되고 2017년부터 자체 엔딩곡을 사용하면서 들을 수 없게 되었다. 더군다나 버전 2마저[* 실제 엔딩 크레딧에 사용된 버전 1은 잃어버린 이름을 찾아서편까지 사용되었다.] 시즌 6 [[스폰지밥 냉동고 탈출작전]] 에피소드 이후로 BGM으로 쓰이는 일도 없어지면서 한국에선 더더욱 이 곡을 들을 일이 없어졌다. 이후 2022년 8월 1일 투니버스로 스폰지밥의 방영권이 이관되어 2009년 이후로 13년만에 이 OST를 [[https://www.youtube.com/watch?v=wvsOXUIN1cE|다시 들을 수 있게 되었다.]] 평가 자체는 좋지만 인상이 꽤나 갈리는 OST로, 그냥 좋게 들은 사람도 있는 반면 우스꽝스러운 기타 선율이 오히려 기괴하고 초현실적으로 느껴져서 어렸을 적에 듣기 무서웠다는 사람들도 꽤나 존재한다. 특히 엔딩 배경이 스폰지밥의 평소 색감과는 이질적인 물 빠진 듯한 칙칙한 색감이라 여기서 공포감을 느끼는 경우도 존재했다. === 한국 한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qF8VI3O5A)]}}} || ||<-2> '''엔딩 버전 1''' || || '''가수''' || [[유세윤]] || || '''사용 기간''' || [[2017년]] 6월~ [[2017년]] [[7월 20일]]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뚱이 스폰지밥 웃겨요 게살버거 먹고 싶어요 딱 10분만 10분만 10분만 10분만 스폰지밥 볼래요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sF5a-M6-G8,start=1)]}}} || ||<-2> '''엔딩 버전 2''' || || '''가수''' || [[유세윤]] || || '''사용 기간''' || [[2017년]] [[7월 21일]]~[[2022년]] [[6월 30일]] || ||<-2> {{{#!folding 가사 [ 펼치기 · 접기 ]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옛날 얘기 하나 해 줄까? (싫어) 스폰지밥 얘기 해 줄까? (좋아) 깊은 바닷속에 파인애플 집에 사는 네모 얼굴에 둥그란 눈, 노란 스폰지 네 웃음소리를 들려줘 네 최고의 친구가 되어줘 스폰지 스폰지 스폰지밥 빠리빠리밥빠빠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스폰지 밥밥밥밥 밥빠바 }}} || 2017년 6월부터 한국 한정으로 [[유세윤]]의 [[https://youtu.be/6sYnZteMVpQ|딱 10분만요]]를 짧게 개사한 곡으로 자체 엔딩을 사용했고, 7월 21일부터 버전 2를 사용하고 있었다. 가수는 오프닝과 마찬가지로 유세윤이며, 두 버전 모두 평가는 딱히 좋지 않은 편. === 일본 한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0EKASNi-e0)]}}} || ||<-2> '''スポンジ・ボブのテーマ''' (시즌 1~시즌 10) [[https://youtu.be/KWxdtrPe6j8?si=awbE5-1vYCJLrkHa|풀버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YxNpAU-zbE)]}}} || ||<-2> '''One Way''' (시즌 11~) [[https://youtu.be/qLJR1s4xdeE?si=zM_EvQb0DeoJgy3z|풀버전]] || == 음악 == === 삽입곡 === [[https://www.apmmusic.com/|APM Music]]에 등록된 음악을 사용하며 계약 만료로 APM에서 제거된 일부 음악은 재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 [[https://www.apmmusic.com/albums/SEL_SELLPS_0175|Hawaii South Pacific]] ==== ===== Hawaiian Train ===== [youtube(5SgPFVZPMiA)] '''시즌 1 첫화''' '직원 모집(Help Wanted)'부터 등장한 유서깊은 곡이며, 대부분의 올드팬들은 오프닝을 듣고 이 곡을 2번째로 들을 것이다. 올드 시즌에서 총 4번 쓰였으며, 뉴 시즌에서는 총 5번 쓰였다. ==== [[https://www.apmmusic.com/albums/SON_SAS_0050|Original songs And dances from Hawaii And Tonga played And sung by authentic performers. Recorded in Honolulu, Hawaii.]] ==== ===== Moloka'i Nui A ===== [youtube(bGfAcrXICb0)] 뉴 시즌에서 올드 시즌의 분위기를 낼 때 자주 쓰이는 곡. 올드 시즌에서 매우 많이 쓰였으며, 에피소드가 끝날 때에도 꽤 쓰였다. ===== Old Hilo March ===== [youtube(WVTsA6jQnjo)] 처음엔 느긋한 분위기였다가 뒤로 갈수록 흥겨워지는 곡. 시즌 1에서 3번 쓰이고 그 이후로 가끔 쓰인다. ==== [[https://www.apmmusic.com/albums/SON_SCD_0164|A comprehensive series of orchestral drama promos And trailers, all in 30, 25, 20, 15 And 10 second lengths.]] ==== ===== Arnold Is Back ===== [youtube(cPk4uxjQkys)] [youtube(8QICvoadVr8)] 시즌 2 '마술연필(Frankendoodle)'에서부터 쓰인 긴장감 있는 장면에서 주로 쓰이는 곡. 버전 1과 버전 2가 있다. ==== [[https://www.warnerchappellpm.com/album/car111/MTMyMDE5MS1jYjY5MzY|BARREL ORGAN / SQUEEZE BOX]] ==== Brian Peters가 작곡한 음반으로 영국의 [[https://soundcloud.com/cpm_music_ltd?utm_source=clipboard&utm_medium=text&utm_campaign=social_sharing|CPM Music]]에서 발매되었다. 주로 [[집게리아]]의 테마곡으로 사용된다. 음반에는 삽입곡으로 사용된 Full mix버전 말고도 Sting버전[* 곡을 짧게 줄인 버전.]도 존재하나 스폰지밥의 삽입곡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2024년 5월 기준 계약 만료로 APM에서 제거되어 시즌 8을 마지막으로 재사용되지 못하고있다. ===== Keel Row ===== [youtube(pGmjMH4KA_4)] 영국 민요를 편곡한 음악이다. 2024년 5월 기준 시즌 6 '집게 신문(The Krabby Kronicle)' 편을 마지막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 Tripping Upstairs ===== [youtube(mULoOJtU8aY)] 계단을 오르는 듯한 분위기의 지그 음악이다. 바리에이션으로 2016년 12월 23일 기준 시즌 5 '뭘 해도 성공이야!(Krabs à la Mode)' 편에서만 사용된 [[https://youtu.be/VOIV8WF242g?si=2SnUNJga_gJZcrMZ|겨울 버전]]도 있다. 2024년 5월 기준 시즌 8 '오징어 병(Squiditis)' 편을 마지막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 오리지널 스코어 === 삽입곡과는 달리 자체 제작 음악이므로 대부분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 You're Nice ==== [youtube(32haFXCJsXg)] 띵띵대는 느낌의 우쿠렐레가 특징적인 곡. 누구를 도와주거나 즐거운 순간에 쓰이고는 한다. ==== Twelfth Street Rag ==== [youtube(m-MZ9XDK1Us)] 올드 시즌과 스폰지밥을 대표하는 곡들 중 하나이다. 주로 상황이 해결되는 상황이거나 반대로 이상한 상황에 처할 때 이 음악이 나온다. 뉴 시즌에도 간간히 쓰이고 있다. ==== Hawaiian Adventures aka Spongebob Theme ==== [youtube(8OjbRie--VA)] 시즌 1 '면허시험(Boating School)'에서 처음으로 쓰인 흥겨운 분위기의 곡. 다른 곡들과는 다르게 요즘 시즌에는 대부분 Hawaiian Misadventures B로 대체되고 있어 많이 쓰이지 않는다. ===== Hawaiian Misadventures B ===== [youtube(3yj3-8XRswY)] 시즌 4 '마법사 스폰지밥(Hocus Pocus)' 편부터 대체되기 시작한 곡. Hawaiian Adventure aka Spongebob Theme의 확장판 개념이다. ==== Moon Walk ==== [youtube(995PwpslwS8)] 시즌 1의 전설적인 에피소드, '이웃마을 메롱시티(Rock Bottom)'에서 쓰인 곡. 메롱시티에 어울리는 음산하고 으스스한 분위기의 곡이며, 올드 시즌보다 뉴 시즌에 더 많이 쓰였다. ==== Cream Pie ==== [youtube(i72RpvBl9gM)] 시즌 1의 에피소드, '면허 시험(Boating School)'에서 처음으로 쓰인 곡. 스폰지밥을 안 봤아도 들어봤을 법한 곡들 중 하나이며, 크림파이처럼 산뜻한 우쿠렐레 연주가 특징이다. ==== Spongemonger ==== [youtube(9YLDXVJcF2U)] 시즌 2 '이사 간 징징이(Squidville)'에서부터 지금까지 누군가가 위기에 처한 상황이나 누군가에게 쫒기는 장면만 나오면 거의 무조건 등장하는 곡. ==== Another Best Day Ever ==== [youtube(HMOYKvAbojE)] 시즌 7 '내가 무서워하는 건?(One Course Meal)'부터 쓰인 곡이자, 뉴 시즌 스폰지밥을 몇 번 봤다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곡이다. ==== Earl's Revenge ==== [youtube(Uhx3ODNaUEc)] 시즌 2 '폭탄파이(Dying For Pie)'에서부터 쓰인 스폰지밥을 봤다면 어디선가 한번씩 들어봤을 법한 곡. ==== Happy Sponge Chase Vibes ==== [youtube(PTUG-2FXwJw)] 시즌 4부터 쓰이기 시작한 실로폰이 울리는 듯한 음악이 특징인 곡. 주로 타이틀 카드에서 많이 쓰인다. 짧은 버전인 [[https://youtu.be/y9Webj-tNnQ?si=J2Fuuhagh7jx2Vs8|Sponge Chase]]도 있다. ==== Kailua Jubilee ==== [youtube(6YnzQuh9fIM)] 시즌 4부터 쓰이기 시작한 귀에 착착 달라붙는 어쿠스틱 기타를 치는 듯한 음악이 특징인 곡. 시즌 11에서 이 곡을 처음 들은 사람이 꽤 있다. ==== Slide Whistle Stooges ==== [youtube(X28FPaGskgM)] [youtube(_yJ_ysVE3WY)] 시즌 6 '슬라이드 호루라기(Slide Whistle Stooges)'에서 쓰인 꽤 중독성 있는 곡. 이후 여러 에피소드에서 이 곡이 쓰였으며, 슬라이드 호루라기 있는 버전과 슬라이드 호루라기 없는 버전이 있으며, 주로 슬라이드 호루라기 없는 버전이 쓰인다. ==== Clownfish Capers ==== [youtube(xUZ_Mo8_ZTY)] 시즌 4부터 쓰이고 있는 폴 티빗 체제의 느낌이 드러나는 느낌의 곡. 사용 빈도가 높다. ==== Rodeo & Rodeo Daze ==== [youtube(IWewjOPYdw0)] 시즌 7 '로데오는 위험해(Rodeo Daze)'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제목 그대로 '로데오'를 나타내는 곡. ==== Porous Pursuit ==== [youtube(xOUu_6GKuRg)] 시즌 8부터 쓰이기 시작한 곡. 주로 불안한 장면이나 불쾌한 장면들이 나올 때 이 곡이 주로 나오기에, 올드팬들은 이 곡을 좋게만 여기지 않는다. ==== Grass Skirt Chase ==== [youtube(q-QVZTKHfuE)] 시즌 1 찢어진 바지(Ripped Pants)부터 쓰인 유서깊은 곡. 주로 추격전 장면에서 나오며, 긴장감 넘치는 듯 하면서도 맥 빠지는 특유의 분위기 덕분에 밈으로 종종 사용된다. 그래서 스폰지밥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하다. ==== Skipping to School ==== [youtube(SWsLbrpDl_Q)] 시즌 5 '접시 닦기 소동(The Krusty Plates)'부터 쓰인 곡. 사용 빈도는 비규칙적이나, 주로 일상적인 장면에서 사용된다. ===== Skipping To Hillbilly School ===== [youtube(bGAPBDgg8aM)] 시즌 7 '인질 구출 작전(Trenchbillies)'부터 쓰인 Skipping To School의 밴조 버전. 시골이나 촌뜨기와 관련된 장면에선 거의 항상 등장하는 곡이다. ==== Sneaky Panther Pants ==== [youtube(8qSHDWmkvRs)] [youtube(Za3CRNQcKxA)] 어딘가에 잠입하는 장면에서 쓰이는 곡. 버전이 2개이며, 길이가 길고 템포가 좋은 Faster Longer 버전과 길이가 짧고 템포가 낮은 PT 2 버전이 있다. 주로 Faster Longer 버전이 쓰이며 PT 2 버전은 2번밖에 안 쓰였다. == 본편 삽입곡 == === [직원 모집] Livin' in the Sunlight, Lovin' in the Moon Light === [youtube(q_EA4NxwSO8)] 원곡은 Tiny Tim[* 특유의 가성으로 인해 여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남자다.]의 'Livin' in the Sunlight, Lovin' in the Moon Light'[* 곡 자체는 1930년 알 셔먼과 알 루이스가 영화 더 빅 폰드를 위해 쓴 노래가 먼저이고, 스폰지밥에서는 Tiny Tim이 1968년에 리메이크한 버전이 수록되었다.] 아래는 원곡 중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부분이다. >(원곡 버전) >Things that bother you >당신을 괴롭히는 것들이라도 >Never bother me >날 절대 괴롭히지 않아 >I feel happy and fine. >난 행복하고 좋으니까 >A-ha! >아하 >Living in the sunlight >햇빛 속에서 살며 >Loving in the moonlight >달빛 속에서 사랑하며 >Having a wonderful time >멋진 시간을 보내 > >Haven't got a lot >많은 걸 갖고 있지 않아도 >I don't need a lot >나는 많은 게 필요 없어 >Coffee's only a dime >커피는 10센트밖에 안 하니까 >Living in the sunlight >햇빛 속에서 살며 >Loving in the moonlight >달빛 속에서 사랑하며 >Having a wonderful time >멋진 시간을 보내 > >Just take it from me >나한테서 가져가 >I'm just as free as any daughter >나는 어느 누구보다 자유로워 >I do what I like >나는 내가 좋아하는 걸 해 >Just when I like >단지 내가 좋아할 때 >And how I love it >그걸 내가 얼마나 사랑하는데 > >I'm right here to stay >난 지금 여기에 머물러 >when I'm old and gray >내가 늙고 머리가 새도 >I'll be right in my prime >난 바로 전성기일 거야 >Living in the sunlight >햇빛 속에서 살며 >Loving in the moonlight >달빛 속에서 사랑하며 >Having a wonderful time >멋진 시간을 보내 재능판의 자막은 번역이 조금 뜬금없는 부분들이 있다. >(재능방송 버전) >모두가 싫다 해도 >나는 좋아 >나는 너무 행복하고 >아무 걱정 없어요 >햇빛을 받으며 >달빛 속에서 >행복하게 보낸다네 > >없는 것 없이 다 있다네 >커피도 100원이면 충분하고 >햇빛을 받으며 >달빛 속에서 >즐겁게 지낸다네 > >말 그대로 난 누구보다 >자유로워 >원할 땐 무엇이든 >내 방식대로 할 수 있어 > >난 여기가 좋아 >내 차에도 있다면 더 좋겠지 >햇빛을 받으며 >달빛 속에서 >즐겁게 지낸다네 >(EBS버전) >나에게 짜증나는 일이란 없어 모든것이 즐겁고 행복하지 태양 아래서도 달빛 아래서도 늘 멋진 시간을 보낼수 있어 나에게 많은것이 필요치 않아 커피 한잔이면 만족해요 태양 아래서도 달빛 아래서도 늘 멋진 시간을 보낼 수 있어 가진게 없으면 그만큼 자유로운 법 마음 가는 대로 하고 싶은 일을 즐겁게 하면서 살지 내가 있는곳은 언제나 천국 난 늘 행복해 태양 아래서도 달빛 아래서도 늘 멋진 시간을 보낼 수 있어 파라마운트+에서는 재번역되었다. >(파라마운트+ 버전) >모두가 싫대도 >나는 좋아 >나는 행복하고 >아무 걱정 없어 >햇빛 속에서 일하고 >달빛 아래 사랑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지 > >가진 것도 없지만 많은 것도 필요없어 >커피도 100원이면 충분하고 >햇빛 속에서 일하고 >달빛 아래 사랑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지 > >내 말은 믿어도 돼 >난 누구보다 자유로워 >내가 내킬 때 >내가 좋아하는 걸 내 마음대로 하지 > >난 여기 머물래 >내 차에 있을게 >햇빛 속에서 일하고 >달빛 아래 사랑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지 === [[찢어진 바지]] === 항목 참조 === [피자 시키신 분?] 게살피자 === [youtube(jL3tyVOtpiM)] 스폰지밥과 징징이가 게살피자를 배달하면서 부르는 노래다.--그런데 정작 징징이는 안 부른다.--다만 노래라기보단 걍 심심해서 말한 거에 더 가깝다. >(재능판) >맛있는 피자! 게살피자! 배달 공짜~! >게살피자 ㅂ풔풔풔풔풔풮풮 피자 맛있는 피자 게살피자 >두구딱 두구두구두구딱 피자 두구두구두구딱 피자 >맛있는 에에에에에엥 피자 게살피~자~~~~ > > >(EBS판) >버거천국 피자! 피자 중의 피자! 맛있어~! >버거천국 피자 ㅂ풔풔풔풔풔풮풮 피자 버거천국 피자 피자 중의 피자! >두구딱 두구두구두구딱 피자 두구두구두구딱 피자 >버~거천국~ 피자~ 피자 중의~ 피자~ 정말~ 맛있어~~~~! === [[F.U.N = 재미]] === [youtube(HG3UwIDAEb8)] >Fun is when you >재미는 그러니까.... >Fun is it's like, it's kind of, sort of like >재미는 그러니까.... 그러니까.... 그게.... >What is fun? >재미가 뭔데? >Let me spell it for you! >너한테 알려줄게! >(여기부터 노래 파트다) >F is for friends who do stuff together >F는 친구 같이 하는 것 >U is for you and me >U는 너와 나 >N is for 'N'ywhere and 'N'ytime at all >N은 어디든지 언제나 >Down here in the deep blue sea >이 깊고 파란 바다 아래 >F is for fire that burns down the whole town >F는 불, 모든 마을을 불태우지! >U is for uranium bombs >U는 [[우라늄]] 폭탄 >N is for no survivors when you're- >N은 생존자 없음 만일 네가- >Plankton, those things aren't what fun is all about >플랑크톤, 그건 재미가 아니야 >Now, do it like this >자, 날 따라 해봐 >F is for friends who do stuff to- >F는 친구 같이 하는- >Never, that's completely idiotic >절대 안 해, 그건 진짜 유치하다고 >Here, let me help you >자, 내가 도와줄게. >F is for friends who do stuff together >F는 친구 같이 하는 것 >U is for you and me, try it >U는 너와 나, 해봐! >N is for anywhere and anytime at all >N은 어디든지 언제나 >Down here in the deep blue sea >이 깊고 파란 바다 아래 >Wait, I don't understand, I feel all tingly inside >잠깐, 나 이해가 안 돼. 무언가 낯선 게 느껴져. >Should we stop? >우리 그만해야 돼? >No, that's how you're supposed to feel >아니, 그게 네가 느껴야 하는 거야. >Well I like it, lets do it again, (okay) >뭐, 난 좋아, 우리 또 하자 (알겠어) >F is for frolic through all the flowers >F는 장난 꽃밭을 가로지르며 >U is for ukulele >U는 우쿨렐레 >N is for nose picking, sharing gum, and sand licking , here with my best buddy >N은 코 파기, 껌 나눠 먹기, 모래 핥기, 이 절친과 함께 [youtube(_2m3P2UAaL0)] 한국어 버전 (EBS) >그게 뭐냐면요. 어~... >그러니까 그건... 그러니까... 영어로는... FUN이거든요. >제가 FUN이라는 노래를 가르쳐 드릴게요. >F는 Friend '친구'라는 뜻 >U는 You '너'란 뜻 >N은 Near '가까이'란 뜻 >야, 모두 모여 재밌다~ >F는 Fire '불'이란 뜻 모두 태워 버리자 >U는 Ugly '흉측한'이란 뜻 세상을- >[[플랑크톤(네모바지 스폰지밥)|아저씨]]. 그런 건 재밌는 게 아니에요. >자~ 절 한번 따라 해보세요! >F는 Friend 친구라는- >그만두게! 난 그런 거 딱 질색이야. >에이~ 그러지 말고 한번 해보세요! >F는 Friend '친구'라는 뜻 >U는 You '너'란 뜻 해보세요! >N은 Near '가까이'란 뜻 >야, 모두 모여 재밌다~ >잠깐만. 별안간 기분이 이상하군. 가슴이 두근두근하는거 같애. 그만하면 안 될까? >괜찮아요! 재밌으면 그런 느낌이 드는 거예요! >괜찮다고? 좋아, 그럼 또 해보자! >좋아요! >F는 '아름다운 꽃' Flower >U는 '악기 이름' Ukulele >N은 '친한 사이이다' Neighbor >모두 모여 재밌다~ >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하~ [youtube(houyCKaeGBI)] 한국어 버전 (재능TV) >아.... 그게.... 그러니까.... 거시기.... >에.... 뭐냐.... 그.... 재미는 말이야.... 그.... 영어로 하면 말이지~ >우리 친구 할 때 프렌드의 F >U는 바로 너지 >N은 언제나 어디서든 뭐든지 >바닷속은 즐거워 >F는 파이어 마을을 불태우지 >U는 얼간이고 폭탄이야 >N은 아니다의 No야 바닷속- >플랑크톤! 그런 건 재미가 아니야! 자 날 따라 해봐 >우리 친구 할 때 프렌드의 F- >아니야! 그건 말도 안 된다고! >자 내가 도와줄게 >우리 친구 할 때 프렌드의 F >U는 바로 너지 자 해봐 >N은 언제나 어디서든 뭐든지 바닷속은 즐거워 >잠깐 기분이 이상해. 가슴에서 무언가가 꿈틀거려..... 그만할까? >무슨~ 원래 그런 거야~ >헤헤.... 좋은데? 다시 한번 해보자구! >친구와 함께 뛰어다녀 >너무너무 신나요 >쇼핑을 하고 풍선껌을 불고 >너무너무 재밌죠 >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하하하하하 하하하하 여담으로 시즌 13 271-b회에 스폰지밥이 집게리아 유리 청소할 때 이 노래를 불렀다.[* 다만 번역가가 달라서 예전과 가사가 많이 달라서 팬들은 반가워하면서도 아쉬워하는 중이다.] === 내 고향 텍사스 === [youtube(mUftP9dKS-E)] 파라마운트+에서는 재번역되었다. === [신발끈을 묶어라] Loop De Loop === [youtube(_QSQkZNl2pA)] 미국의 음악 그룹인 윈이 작곡하였다.한국어 버전은 스펀지송 성우인 김승준 성우가 불렀다. >신발끈 묶는 법? >아주 쉬운 일이지 >앉아봐. 내가 한가득 얹어 줄게 >이게 뭐야? >고리야. 고리! >양손에 줄을 잡고 >위아래로 지나가 >고리를 만들어 당기면 >멋진 신발이 되지. >앞으로 뒤로, 왼쪽 오른쪽으로 >고리를 만들어 당겨 묶어 >토끼 귀나 선물 상자처럼 >묶었으면 준비 끝! >고리를 만들어 당기면 >멋진 신발이 되지. >고리를 만들어 당기면 >멋진 신발이 되지. >EBS판 번안 >신발끈을 묶는거 다 같이 배워봐요 >자리에 않아 신발 하나 들고 가볍게 한번 묶어줘요 >이제 고릴 만들어 줄을 묶어 주세요 >그리고 다시 한번 꼭 묶어주세요 >위로 가방매고 오른쪽 왼쪽 고리를 두개 만들어요 >토끼 귀처럼 예쁜 리본처럼 고리를 두개 만들어요 >고릴 두개 만들어 묶어 주면 되지요 >고릴 두갤 만들어 묶어 주면 되지요 파라마운트+에서는 재번역되었다. === [나비야! 나비야!] That's What Friends Do === [youtube(SUy8Rz2SpFk)] 시즌 2편 9화인 나비야! 나비야!(Wormy)에 수록된 노래이다. [[파라마운트+]]에선 재번역 되었다. === [플랑크톤 사장님] This Grill Is Not a Home === [youtube(0v8Oenh0vWA)] >SpongeBob: A stove is a stove, no matter where you go. >스폰지밥: 스토브는 어디에 있든지 스토브야. >Mr. Krabs: A patty is a patty, that's what I say. >집게사장: 햄버거는 어디 가나 다 똑같아. >SpongeBob: A grill is a grill, this is surely so. >스폰지밥: 불판도 마찬가지야 다 똑같아. >Mr. Krabs: And fries should be fries either way! >집게사장: 어찌 됐건 이것도 감자튀김이야! >SpongeBob: But this grill is not a home, this is not the stove I know... >스폰지밥: 하지만 이 불판과 스토브는 내 것이 아냐... >Mr. Krabs: I would trade it all away if you'd come back to stay... >집게사장: 이 모두를 다 줘버릴 수 있어 너만 내게 돌아 온다면... >Mr. Krabs and SpongeBob: This kitchen's not the same without you! >집게사장, 스폰지밥: 우리가 함께 있지 않는 한 부엌이 아냐! >Mr. Krabs: It's just a greasy spoon, >집게사장: 단지 음식 만드는 곳일 뿐이지, >SpongeBob: Just a greasy spoon, >스폰지밥: 단지 음식 만드는 곳일 뿐이지, >Mr. Krabs and SpongeBob: Without you... >집게사장, 스폰지밥: 너 없이는 말야...[* 이 대사는 번역되지 않았다.] >EBS판 번안 >스펀지송:가스레인진 가스레인지 어딜가나 똑같아 >개걸사장:고기는 그저고기 달라질거 없어~~ >스펀지송:후라이팬은 후라이팬 어딜가나 똑같아 >게걸사장:감자튀김은 감자튀김 특별할거 없어~~ >스펀지송:그럼 난 여기 난 선곳 있을곳 아냐 >게걸사장:그대만 올수 있다면 뭐든 다줘도 좋와~~ >동시에:최고의 비법도 멋진 주방도~~ >게걸사장:모든 의미를 잃어 >스펀지송:의미를 잃어..그데 없이.. 시즌 2 34화 "양동이 속 버거"로/플랭크톤 사장님에서 사용된 곡. 여러모로 [[스티븐 힐렌버그]]가 떠난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현재 상황을 대변하기도 한다. [[파라마운트+]]에서는 재번역되었다. === [해파리와 파티를!] Stadium Rave === [youtube(BDWoZ3Gg29w)] Mark Governor와 Glenn Nishida가 1998년에 발표한 트랜스 곡으로 «해파리와 파티를!(Jellyfish Jam)»에피소드에 삽입되었다. === [괴짜 악단] [[Sweet Victor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weet Victory)] === [캠핑은 즐거워!] [[Campfire song son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Campfire song song)] === [생애 최고의 날] The Best Day Ever === [youtube(hZE1Fh1AgWQ)] 첫 극장판 엔딩에도 삽입되었다. >Mr. Sun came up and he smiled at me >Said it's gonna be a good one just wait and see >Jumped out of bed and I ran outside >Feeling so extra ecstatified >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 >I'm so busy got nothing to do >Spent the last two hours just tying my shoe >Every flower, every grain of sand >Is reaching out to shake my hand >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 >Sometimes the little things start closing in on me >When I'm feeling down I wanna lose that frown >I stick my head out the window and I look around > >Those clouds don't scare me, they can't disguise >This magic that's happening right before my eyes >Soon Mr. Moon will be shining bright >So the best day ever can last all night >Yes, the best day ever's gonna last all night now >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It's the best day ever >(Best day ever) > >Best day ever >Best day ever 닉 코리아 더빙판에서는 닉 코리아 초기 시즌답게 원본보다 음정이 약간 높았으나 이후 [[파라마운트+]]에서는 영상 속도를 늦추면서 음정을 낮추었다. === 난 누구? === [youtube(rTJOKYx4aWo)]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기억이 잘 안나. >난 누구? >생각이 안 나~ >머리를 여섯 개 달고서 우울한 노래를 부르는 나. >난 누구? >(알려줘요.) >난 누구? >(아시나요?) >내 이름은 클레멘타인. >아니면 프레디. >내가 누군지 나는 몰라. >나는 누구인가? >(알 수 있을꺼야...) >난 누구? >이젠 알아야만 해. >친구 아니면 적군! >내 안에 사람이 많아. >누군지 모르겠어. >이름도 뭔지 몰라. >얼굴 보면 생각날까?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난 누구? >여보세요... >(여보세요 전화받으시는 분 성함은요?) >나도 날 몰라... == 극장판 삽입곡 == === [[Goofy Goober Roc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oofy Goober Rock)] === [[Thank Gosh It's Monda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ank Gosh It's Monday)] === The Secret Ingredient Is SpongeBob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폰지밥 무비: 핑핑이 구출 대작전)] == 스페셜 에피소드 삽입곡 == === [[[최후의 수호자 스폰지밥]]] 해파리 지역을 지키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후의 수호자 스폰지밥, 앵커=해파리 지역을 지키자)] === [[스폰지밥 크리스마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폰지밥 크리스마스, 앵커=삽입곡)]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네모바지 스폰지밥, version=2438)] [[분류:네모바지 스폰지밥/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