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쾨펜의 기후 구분)] [include(틀:쾨펜의 기후 구분)] [include(틀:냉대기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Dw.png]] [목차] [clearfix] == 개요 == '''Continental Monsoon Climate'''[*Dwa,Dwb Dwa, Dwb 한정.], '''Subarctic Climate'''[*Dwc,Dwd Dwc, Dwd 한정. Dfc, Dfd, Dsc, Dsd도 해당한다.] [[냉대기후]]의 일종으로, [[기호]]는 '''Dw.''' 동[[시베리아]]와 [[만주]], [[몽골]] 북부, [[중국]] 북부 , [[히말라야산맥]] 고산지대 일부와 [[한반도]] 북부 및 중부 등지에서 나타나는 기후이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연교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며 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리지만 겨울과 봄에는 매우 건조해서 눈도 잘 내리지 않는다. 겨울이 굉장히 춥다는것을 빼면 [[사바나 기후]]나 [[온대 하우 기후]]와 같은 기후라고 혼동할 수 있으나, 본디 냉대 기후와 타 기후를 구분짓는 결정적인 기준은 '''최한월(겨울)이 얼마나 춥냐이기 때문에''' 여름 등 타 계절을 바탕으로 오인해서는 안된다.[* 이 기후대의 건조하고 화창한 겨울 풍경과 고온다습한 여름은 [[사바나 기후]]의 건기 우기와 유사하다.] 한국의 경우 남부 해안 지역이 [[온대기후]]에 속하는 것을 제외하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및 [[충청도]], [[경상북도]] 북부 내륙, 그리고 [[강원도]] [[영서]][* 영동 지방의 경우 [[냉대 습윤 기후]]로 분류된다.]를 포함하고 있기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이 기후 아래에서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북 5도도 상당지역이 이 기후이므로, 이북 5도까지 포함해도 마찬가지이다.] 수도권을 비롯한 중부 지방의 경우 -3도 기준을 사용할 경우 온대하우기후로 분류되기에 병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2010년대 이후의 대부분의 학계에서는 0도 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부 지방은 냉대동계건조기후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data2018214|#1]] [[https://en.wikipedia.org/wiki/K%C3%B6ppen_climate_classification|#2]][* 전자의 논문은 네이처 저널 등재 및 피인용수가 1600회를 초과하였으며, 쾨펜 기후 분류 관련 다른 논문은 검색 엔진으로 찾을 수 없고, 최소한 2010년대 이후 쾨펜의 기후 구분 관련 [[피인용수]] 1000회 이상 논문은 이것이 유일하므로 사실상 학계 표준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반도를 제외하면 이 기후에 속한 지역들은 대체로 스텝, 사막과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다. 중국 북부도 바로 위가 몽골 [[고비 사막]]이다. 그나마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충청도]], [[강원도]], [[경상북도|경북]] 북부 내륙의 Dwa 지역은 겨울 강수량이 매월 20mm 내외로 꽤 되는 편이라 상대적으로 조금 나은 편이지만 [[평안도]]와 [[함경도]] 일대, 중국의 [[화북]], [[만주]] 지방은 훨씬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실제로 중국 화북지방의 경우 12월~2월 강수량을 다 합해도 10mm가 채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겨울과 봄에 [[가뭄]]과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또한 악명 높은 [[황사]]와 [[미세먼지]]도 중국 화북지방의 건기가 끝나가는 늦겨울~초봄에 절정을 보인다.[* 한국도 겨울철 습도가 한낮에 최저 2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의 습도는 거의 중국 내륙지역의 사막과 동급인 정도이다.] 이 때문에 한반도는 절대적으로 [[장마]] 기간의 강수량이 중요하다. 당장 한반도에서 장마만 없애도 전체 강수량의 30% 이상이 사라진다. 장마가 있어도 겨울~봄에 가뭄이 들까 말까 하는데 장마가 없어지면 겨울마다 확정적으로 가뭄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2010년대 이후 한반도에서 유의미한 장마가 사라졌음을 [[기상청]] 측에서도 인지한 바, 그나마 랜덤한 집중호우라도 자주 있으니 망정이지 그것마저 아니었으면 한반도는 건조 기후대로 탈바꿈했을 것이다. 또한 한반도 바로 북서쪽이 몽골 사막인 바, 이 지역의 사막화가 심해지면 한반도도 위협받을 수 있다.[* 한반도가 얼마나 사막 지대와 가까이 있는지 체감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는데 과거 [[광개토대왕]] 및 [[장수왕]] 시절의 전성기 [[고구려]]의 영토 서쪽이 딱 몽골 일대의 건조 기후대에 맞닿아 있었다.] 극지방을 제외하면 겨울 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답게 [[온돌]]이나 '캉'(炕)처럼 복사 난방이 발달해 있는 것도 주요 특징이다. 반면 물이 귀한 특성상 [[목욕]] 문화는 근현대에 들어와서야 발전했다. 여름이 덥거나 따뜻한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Dwa, Dwb)에서는 [[쌀]][* 쌀은 열대성 작물이고 재배시 물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원래 [[동남아시아]]가 주산지이며, 그나마 여름이 덥고 습한 한국, 일본, 중국 중남부 등지에서 여름 한철 농사로 재배가 이루어진다.], [[옥수수]], [[밀]] 등의 농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많은 인구와 높은 인구 밀도인 지역이 많지만, 아극 지역으로 분류되는 곳(Dwc, Dwd)은 매우 춥기 때문에 일반적인 식량 작물 농사는 불가능하며, 임업과 유목 등이 주로 나타난다. == 해당 지역의 기후 그래프 == * Dwa, Dwb (대륙성 동계 건조 기후, 최난월 평균 기온이 22℃ 이상이면 Dwa, 미만이면 Dwb.)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a Beijing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a Incheon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a Seoul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a ChuncheonKOR.png|width=100%]]}}} || || [[중국]] [[베이징]]의 기후 그래프[* 한랭 스텝 기후(BSk)와의 점이지대에 있다.]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인천]]의 기후 그래프 [* 온대 하우 기후 (Cwa)와의 점이지대에 있다.]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의 기후 그래프[* -3℃ 기준을 적용하면 온대 하우 기후가 되기 때문에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온대 하우 기후의 대표 그래프로 사용된다. 한국 교육과정에서 -3℃ 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온대기후의 비교 단원에서 런던, 리스본과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교과서에서 런던을 서안 해양성 기후, 리스본을 지중해성 기후라고 서술한다. 특히 서울 그래프에서는 1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데 -3℃보다 높다는 것을 그래프에 표시하지 않은 것이 압권] || [[대한민국]] [[춘천시|춘천]]의 기후 그래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b Irkuts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b Pyeongchang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b Vladivosto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b KhabarovskKOR.png|width=100%]]}}} || || [[러시아]] [[이르쿠츠크]]의 기후 그래프 [* 중학교 교육 과정에서 냉대 동계 건조 기후의 대표 그래프로 소개되었다.] || [[대한민국]] [[평창군|평창]]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하바롭스크]]의 기후 그래프 || * Dwc, Dwd (아극 기후, 평균 기온 10℃ 넘는 달 세 달 미만, Dwd는 최한월 평균 기온 -38℃ 이하[* 아래 자료에서는 -35℃ 이하 기준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c Erdenet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c Chita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d Verkhoyans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wd OymyakonKOR.png|width=100%]]}}} || || [[몽골]] [[에르데네트]]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치타(러시아)|치타]]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베르호얀스크]]의 기후 그래프 [* 세계 최한도시] || [[러시아]] [[오이먀콘]]의 기후 그래프 [* 북반구 영구 거주지 중 비공식 최저 기온 기록] || == 해당 지역 == '''일러두기: 위키백과 등지에서도 최한월 평균기온 [[섭씨]] 0℃ 또는 -3℃ 기준이 혼용된다. 일반적으로 타 위키와 동일하게 0℃ 기준을 사용하고 -3℃ 기준은 따로 언급한다.'''[* -3℃ 기준으로 따지면 동유럽, 중아시아, 서유럽 지역 상당수는 온난 해양성 기후를 띈다.] * [[대한민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거의 전 지역, [[영서|강원도 내륙]] 지역, [[충청도]] 내륙, [[경상북도]] 북부 내륙 지역이 여기에 포함된다.'''[* -3°C 기준에서는 경기북부, 경기동부, 강원영서 지역만이 냉대동계건조기후이다.][*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해안가는 해양성 기후인 [[냉대습윤기후]]나 [[온난습윤기후]]를 띈다.] * [[북한]] 동해 연안 지역[* [[원산시]] 이남까지는 [[온난 습윤 기후]], [[청진시]] 이남까지는 [[냉대 습윤 기후]]에 속한다.]과 황해도 남부 해안[* 옹진군, 강령군]을 제외한 전역[* [[평안도]], [[황해도]] 평야 지역은 Dwa이나, [[함흥시]] 이북 [[함경도]]는 Dwb이고 [[백두산]], [[개마고원]] 등 2000m 이상 산간 지역은 Dwc이다. Dwa는 여름이 더우나 Dwb는 선선하고(평균 기온 19~21℃) , Dwc는 여름이 서늘하고 짧다는 것이 차이점. 10℃ 이상인 날이 100일이 채 안 된다. 5월이나 9월에 남부지방이 30도를 웃돌고 서울도 27도 이상일 때도 [[개마고원]]은 10℃가 채 안 되는 경우도 어느정도 보인다.] * [[중국]] [[화북]] 평야, [[만주]]. 화북 평야나 둥베이 평원은 한국보다 더 한랭건조하고 [[고비 사막]]의 영향으로 [[스텝(지리)|스텝기후]]가 국지적으로 나타난다. * [[몽골]] [[울란바토르]] 이북 중북부. 남부지역은 건조 기후. * [[러시아]][* 같은 [[시베리아]]권이라도 유럽쪽으로 갈수록 Dw보다는 [[냉대 습윤 기후|Df]]에 가까워진다. 물론 동시베리아라도 [[캄차카 지방]]이나 [[사할린 주]] 같은 해안 지역은 [[냉대 습윤 기후|Df]]이며 [[만주]]보다는 해안에 가깝기 때문에 눈도 많이 오는등 Df와의 점이지대이다.] '''[[베르호얀스크]]'''[* 세계에서 가장 추운 [[도시]]라는 타이틀을 가지고있다.], 치타,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등지 * [[미국]] 그레이트플레인즈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다. [[노스다코타]] 주 [[비즈마크]]와 [[네브래스카]] 주 [[https://ko.wikipedia.org/wiki/노스플랫|노스플랫]]이 대표적이다. * [[캐나다]] [[캘거리]] 등 [[앨버타]] 남부 == 같이 보기 == * [[고지 지중해성 기후]] - 이 쪽은 '''여름이 건기'''인 냉대 기후 * [[온대 하우 기후]] [[분류: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