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 {{{+1 內松驛}}} || {{{+1 Naesong Station}}} || ||<-3> {{{+2 '''내송역'''}}} || ||<-3> [[양산 도시철도|[[파일:양산도시철도 로고.png|width=30]]]]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사송역|사 송]][br]← 1.6 ㎞ || [[양산 도시철도|{{{#!html
양산 도시철도}}}]] || [[북정역|{{{#!html
북정 방면}}}]][[양산시청역|양산시청]][br]3.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양산시 동면 사송리 939-6,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esong || || [[한자]] ||<-2> 內松 || || [[간체자]] ||<|2><-2> 内松 || || [[가나(문자)|가나]] || ||<-3> '''주소''' || ||<-3>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사송리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미정 || ||<-3> '''운영 기관''' || || [[양산 도시철도|{{{#ffffff 양산 도시철도}}}]]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양산 도시철도|{{{#ffffff 양산 도시철도}}}]] ||<-2> 2026년 (예정) || ||<-3> '''역사 구조''' || ||<-3> 미정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Naesong Staion.png|width=100%]]|| || 내송역 [[조감도]] || [[양산 도시철도]] 103정거장.[br][[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양산)|동면]] 내송리 소재 예정. == 역 정보 == [[2023년]] [[4월 30일]] 기준으로 토목공사 공정률은 48.96%로, 계획 43.71% 대비 공사가 112%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터널 굴착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http://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construction/prelist.do?menu_no=1001050304|#]] 참조.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동면사무소가 있다. [[양산신도시]] 시가지의 외곽 지역으로, 그다지 역세권이 발달되어 있지 않으나 이 일대가 사송보금자리 주택건설사업 지구([[사송신도시]])로 지정되어 있어 이 노선이 개통할 [[2026년]]경에는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 역과 양산시청역 사이 [[다방동]] 일원에 양산선 유일의 터널 구간과 차량기지가 지어질 예정이다. [[경부고속도로]] [[양산휴게소]]가 이 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내송리를 주 수요처로 할 역이긴 하나 역사는 사송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정식역명이 내송역이 아니게 될 수도 있다. == 승강장 == ||<-4> [[양산시청역|양산시청]]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사송역|사송]] || 승강장 구조는 조감도를 참고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양산 도시철도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양산 도시철도]][[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2026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경상남도의 전철역]][[분류:양산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