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 예정인 동명의 역, rd1=내방역(광주))] {{{+1 內方驛 / Naebang Station}}}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내 방'''}}}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br]← 2.2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35)
}}}]] || [[부평구청역|{{{#!html
부평구청 방면}}}]][[이수역|이 수]][br]1.0 ㎞ → || ||<-3>[include(틀:지도, 장소=내방역, 너비=100%, 높이=105%)]||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Naebang || || [[한자]] ||<-2> 內方 || || [[중국어]] ||<-2> 内方 || || [[일본어]] ||<-2> [ruby(内方, ruby=ネバン)] || ||<-3> '''주소''' || ||<-3>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 ||<-3>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 103 ([[방배동]] 874-16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00년 8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35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 103 ([[방배동]] 874-16번지) 소재. == 역 정보 == 기존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방배역]]이 이미 있으므로, '방배동(方)의 안(內)에 있다'는 의미로 內자를 써서 내방역이라고 하였다. 참고로 [[방배역]]은 이 역 남쪽 800m에 있다. 7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방배역]](?!)이었다 이곳에는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부터 [[신대방삼거리역]]까지를 총괄하는 내방영업관리소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6년 1월 [[이수역]]으로 옮겨서 이수영업관리소로 변경되었다. 이 역까지 운행하는 첫차와 막차가 양방향 모두 한대씩 존재한다.[* 다만 부평구청 방향의 경우 평일에는 도봉산발 열차이고, 주말에는 장암발 열차이다.] 내방역을 출발하면 옆에 유치선이 보인다. 그곳에서 주박. 근데 평일 하행 내방행은 이상하게 내방행 다음으로 '''온수행-부평구청행-온수행-신풍행-종료'''였다. 보통 막차는 종점이 먼 곳부터 끊기는 점을 감안하면 내방행이 맨 뒤에 있어야 할 텐데. 이후 시각표가 수정되어 부평구청행-온수행-온수행-온수행-신풍행-종료로 바뀌었다.[* 이 사례와 같은 5호선은 그대로다. '''방화행-왕십리행-여의도행-강동행-애오개행-왕십리행-종료'''] 6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방향이 반대이다. 좌측통행으로 되어 있는데 처음 와본 사람들은 많이 당황해한다. 이 역에서 [[장암역]]까지의 7호선 역 수는 26개 , [[석남역]]까지의 7호선 역 수도 26개이다. == 역 주변 정보 == 걸어서(도보 남성 기준) 10분이면 [[방배역]]으로 갈 수 있다. 근방의 [[막장환승]] [[고속터미널역]], [[이수역]]을 피하고 싶다면 추천. 역 주변은 주택지역이 밀집해 있으며, 상권형성은 '강남' 이라는 네임밸류에 비해 미진한 편이다. 역 동쪽 오르막길은 야산으로 막혀 있는데, 이 산을 뚫어 서초역으로 통하는 [[서리풀터널]]이 2019년 4월 22일 개통했다. 이 지역은 1970~80년대 강남 개발 당시부터 [[국군정보사령부]]가 위치한 탓에 길이 뚝 끊기고 개발이 꽁꽁 묶여 있던 소위 '강남에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 땅'으로, 터널이 뚫려 댕강 잘린 [[서초대로]]가 연결되면서 거리상으로 가까운 내방역-[[서초역]]을 빙 돌아가야 했던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 것이다. --주변 집값도 더 오를 것이다-- 6번 출구 바로 앞에 반포[[세무서]]가 있다. 반포세무서라면서 [[반포동]]에서 살짝 벗어난 방배동에 위치한 것은 80년대초 신설 당시에는 이곳이 반포동에 속했기 때문. 이후 관할지역 세수 증가로 업무량이 늘어난 탓에 대대적으로 재건축, 2017년 6월 신청사를 완공했다. [[파일:attachment/내방역/himmeloderHölle.jpg]] 개에게 천국 또는 지옥으로 유명한 이 짤방은 내방역 6번 출구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현재는 보신탕집은 사라지고 불고기집이 하나 들어섰다. [[악어아빠김줄스]]가 운영하는 파충류샵 '줄스'가 이 역 1번출구 근방에 위치해 있지만 거리가 멀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 일평균 이용객 == 내방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7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7,507명 || 23,817명 || 25,676명 || 26,468명 || 26,876명 || 27,230명 || 27,580명 || 27,049명 || 27,415명 || 27,289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7,780명 || 28,331명 || 28,180명 || 29,008명 || 29,239명 || 28,998명 || 28,618명 || 28,764명 || 28,658명 || 28,315명 || || 2020년 || || '''22,806명''' ||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비록 [[방배역]]이란 이름은 먼저 지어진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쪽이 선점했지만, [[방배동]] 한복판에 있는 역은 여기이다. 동쪽의 서리풀공원을 제외하면 사방으로 시가지가 이어져 있어 역세권이 제법 넓으며, 카페골목 및 [[서래마을]]로 가는 관문이기도 해서 이용객이 적지 않다. 2017년 기준으로 28,764명이 이용했는데, 2002년 25,000명 선을 돌파한 이래로 꾸준하게 2만 명대 후반의 승객이 내방역을 찾고 있다. 수요의 가장 큰 변수는 2019년 개통한 [[서리풀터널]]이다. 이 터널이 뚫리면 곧바로 [[서초역]]-[[교대역(서울)|교대역]]-[[강남역]]을 통해 [[테헤란로]]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가용으로 훨씬 빠르게 강남 일대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쪽으로 노선이 바뀌는 버스 노선이 상당수 생길 것으로 예상되며(당장 [[서울 버스 서초07|서초07번]]이 서리풀터널의 서쪽 출입구에서 회차하기 때문에 개편 1순위다), [[서초구]] 일대에서 [[강남역]]이 가지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내방역의 이용객이 대폭 감소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테헤란로]] 방면으로 가고자 하는 버스 환승 승객 수요의 창출로 대폭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 승강장 == [[파일:20181018082300_img_8516.jpg]] 역명판 [[파일:내방역1.jpg|width=500]] [br]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https://namu.wiki/w/%ED%8C%8C%EC%9D%BC:%EB%82%B4%EB%B0%A9%EC%97%AD1.jpg|크게보기]][br](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 내방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파일:27 내방(수정).png|width=500]] [br] 역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27%20%EB%82%B4%EB%B0%A9(%EC%88%98%EC%A0%95).png|크게보기]] ||<-4>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이수역|이수(총신대입구)]]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상봉역|상봉]]·[[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이수역|이수]]·[[대림역|대림]]·[[온수역|온수]]·[[부평구청역|부평구청]] 방면||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