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자위관]] 內務軍閥(ないむぐんばつ) [목차] == 개요 == [[자위대]] 초창기 시절에 [[일본군]] 출신이 아닌 내무관료([[일본제국 경찰]] 등) 출신으로 자위대의 수뇌부를 장악했던 [[인물]]들을 가리킨다. 특히 10년이나 [[합참의장|통합막료회의의장]]으로 재직한 [[하야시 게이조]]가 영수로 유명하다. [[내무군]]과는 무관하다. == 설명 ==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자위대]]의 전신인 [[경찰예비대(일본)|경찰예비대]] 시절에 군색을 빼려고 시도했고 그 때문에 [[일본군]] 출신들을 배제했다. 대신 [[계급]] 등을 두고 [[군대]]와 가장 유사한 시스템인 [[경찰]] 출신들을 채용했다. 이들은 초기에 주요 [[요직]]을 차지했다. [[1950년]] [[7월]]부터 [[경찰예비대(일본)|경찰예비대]]가 모병되었는데 전부 [[이등병]]으로 배치했다. 초급 [[간부]]들은 이등병 계급으로 [[대대장]], [[중대장]] [[완장]]을 차고 [[지휘관]]교육을 받았다. [[1950년]] [[10월 9일]]에 [[내무성]] 추천으로 내무성 출신의 요시다 주이치(吉田忠一), [[하야시 게이조]], [[쓰쓰이 다케오]], [[오모리 간]], 다케우치 쇼헤이(武内征平)가 경찰감([[중장]])으로 [[특별임관]]되었다. [[1952년]] [[10월 15일]]엔 [[보안대(일본)|보안대]] 개편이 되면서 새로이 내무성에서 추천된 나가노 도시오(中野敏夫), 가나야마 구니치(金山國治)와 [[일본 육사|육사]] 34기 출신의 기시모토 주이치(岸本重一)와 37기 출신 이모토 구마오(井本熊男)[* 일본군 [[대좌]] 출신이었다.]도 보안감(중장)으로 [[특별임관]]되었다. 그러나 경찰이나 [[관료]] 출신들은 군의 [[시스템]]을 잘 이해하지 못 했고 자위대의 [[사병]]들은 일본군 사병 출신[* 사병들은 징병으로 갔기 때문에 공직 추방령에서 빠졌다.]들이 많았던 탓에 이런 [[미필]] 간부들에게 불만이 많았다. 게다가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일본군, [[만주군]] 출신들이 전술적 지휘에서 우수한 기량을 보이자 [[미국]]은 마음을 바꿔 [[대령|대좌]] 이하의 일부 [[장교]] 출신들에게 [[입대]]를 허용했다. 이들은 [[1960년대]]까지 내무군벌과 [[육상막료장]] 자리를 두고 힘싸움을 벌였고 내무군벌 출신 육막장이 사라지게 되면서 [[1980년대]]까지 [[막료장]] 자리를 차지하다가 늙어서 은퇴했다. 그 이후엔 [[방위대학교]] 출신들이 독점 중. 단 [[해상자위대]]의 경우 [[일본 해군]] 소해대가 그대로 흡수되었기 때문에 98% 이상이 일본 해군 출신이었다. 야마자키 고고로가 초기에 잠깐 반짝했을 뿐 해자대에는 내무군벌이란 [[개념]]이 거의 없었다 봐도 무방하다. == 대표적인 [[인물]] == *[[하야시 게이조]]: 초대 [[통합막료회의의장]] *[[쓰쓰이 다케오]]: 1대 [[육상막료장]] *[[오모리 간]]: 4대 [[육상막료장]] *[[야마다 마사오]]: 7대 [[육상막료장]] *[[우에무라 겐타로]]: 초대 [[항공막료장]] 초대 [[해상막료장]]을 지낸 [[야마자키 고고로]] 역시 관료 출신이지만 원래부터 해군과 친했던 인물로 내무군벌이 아니었다. == 여담 == 내무군벌은 [[군벌]]이란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좋은 의미가 아니었다. 자칭이 아니었고, [[자위대]]의 설립 과정에서 배제됐던 구 일본군 출신이나 [[우익]] 인사들이 자위대의 설립 과정을 주도한 [[내무성]] 관료 출신들을 가리켜 쓴 말이었다. 자위대 설립 과정에서 [[미국]]의 입김과 [[요시다 시게루]] 등의 영향으로 일본군의 문화적 영향을 줄이려는 의도가 있었고[* 다만 이에 대해선 지극히 일본적인 관점에서 그렇다고 보는 [[한국인]]들도 많다. [[한국]]의 입장에선 자위대가 그리 일본군과 차이가 없다고 여기는 전반적인 인식도 크다. 아마 [[외국]]의 [[군대]]에 대해 많은 [[정보]]에 접근은 어렵고, 전반적인 [[상징]]이나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는데 당장 [[욱일기]]를 [[깃발]]로 쓰고 있는 게 크다.] [[헤게모니]]의 변화에서 일본군 출신들의 [[마음]]에 들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군벌]]이 [[쇼와 시대]] 전반의 일본군 고위 장성급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점도 감안하면, 군 출신들도 군벌이 안 좋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