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dddddd '''{{{+1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무한궤도 SSX}}}''' (1982~1983)[br]わが青春のアルカディア 無限軌道SS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내청춘의아르카디아무한궤도SSX.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373a3c,#dddddd 원작}}}''' ||[[마츠모토 레이지]] || || '''{{{#373a3c,#dddddd 치프 디렉터}}}''' ||[[카츠마타 토모하루]][br]사사키 마사미츠(佐々木正光) || || '''{{{#373a3c,#dddddd 치프 애니메이터}}}''' ||[[코마츠바라 카즈오]] || || '''{{{#373a3c,#dddddd 치프 디자이너}}}''' ||이토 이와미츠(伊藤岩光)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이타바시 카츠미(板橋克己) || || '''{{{#373a3c,#dddddd 아르카디아 호 디자인 협력}}}''' ||스튜디오 누에(スタジオぬえ) || || '''{{{#373a3c,#dddddd 음악}}}''' ||[[키쿠치 슌스케]]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 동화]] || || '''{{{#373a3c,#dddddd 제작}}}''' ||[[도큐 전철|[[파일:도큐 에이전시 로고.png|height=25]]]][br][[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 동화]]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1982년|1982. 10. 13.]] ~ 1983. 03. 30.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계열 / (수) 19:30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22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캡틴 하록 시리즈]] 중 하나로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의 속편으로 제작된 TV판. 통칭 '무한궤도 SSX'. 감독은 [[카츠마타 토모하루]]. 캐릭터 디자인은 [[코마츠바라 카즈오]], 작화감독은 [[아라키 신고]]. 1982년 제작. 제목의 SSX는 최고액 현상범인 하록, 토치로, 에메랄다스를 의미한다. == 줄거리 == 젊은 시절의 [[하록]]과 [[토치로]]가 동료와 이상향을 찾아가는 모험을 그리고 있다. [[토에이]]는 전작의 실패가 너무 하드하고 성인 지향의 스토리에 있다고 생각했는지 이야기의 허들을 낮춰서 권선징악의 모험 이야기로 만들었는데 그래서 [[은하철도 999]], [[SF 서유기 스타징가]]와 비슷한 감성이 깔렸다. 하록의 성격도 과묵하고 니힐한 성격에서 말이 많고, 동료(특히 타다시)를 잘 이끌어주는 멘토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 등장인물 == * [[하록]] * [[토치로]] * [[퀸 에메랄다스]] * [[다이바 타다시|모노노 타다시]] * [[유키 케이]] * [[미메|라 미메]] * 레비 * [[닥터 제로|닥터 반]] * 일루미다스 * [[페더 존]]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おれたちの船出''' * 작사: 호토미 코고(保富康午) * 작곡, 편곡: [[키쿠치 슌스케]] * 노래: [[미즈키 이치로]], 코오로기 '73(こおろぎ'73) [youtube(wzFO78ghMNw)][* 여담으로 이 오프닝 영상은 [[천원돌파 그렌라간]] 1화 도입부에서 오마주되었다.] * 엔딩 테마 '''ハーロックのバラード''' * 작사: 호토미 코고 * 작곡, 편곡: 키쿠치 슌스케 * 노래: 미즈키 이치로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스태프롤에 연출만 표기되었을 경우는 콘티도 같이 담당한 것으로 간주한다.]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2 アルカディア発進[br]아르카디아 발진}}} || {{{-2 [[마츠모토 레이지]]}}} ||<-2> {{{-2 [[카츠마타 토모하루]]}}} || {{{-2 [[아라키 신고]]}}} || {{{-2 1982.10.13.}}} || || {{{-2 제2화}}} || {{{-2 女艦長レオタード[br]여함장 레오타드}}} ||<|12> {{{-2 야마우라 히로야스[br](山浦弘靖)}}} ||<-2> {{{-2 사사키 마사미츠[br](佐々木正光)}}} || {{{-2 [[코마츠바라 카즈오]]}}} || {{{-2 1982.10.20.}}} || || {{{-2 제3화}}} || {{{-2 戦闘空間の子守唄[br]전함공간의 자장가}}} || {{{-2 아케히 마사유키[br](明比正行)}}} || {{{-2 쿠마 키미하루[br](くま公晴)}}} || {{{-2 토미자와 유조[br](冨沢雄三)}}} || {{{-2 1982.10.27.}}} || || {{{-2 제4화}}} || {{{-2 宇宙の宝島伝説!?[br]우주의 옥도전설!?}}} || {{{-2 니시 노부카즈[br](西 信一)}}} || {{{-2 요시자와 타카오[br](吉沢孝男)}}} || {{{-2 [[카게야마 시게노리]]}}} || {{{-2 1982.11.03.}}} || || {{{-2 제5화}}} || {{{-2 幽霊船セルの少女[br]유령선 셀의 소녀}}} ||<-2> {{{-2 카츠마타 토모하루}}} || {{{-2 아라키 신고}}} || {{{-2 1982.11.10.}}} || || {{{-2 제6화}}} || {{{-2 登場!! 大宇宙要塞[br]등장!! 대우주요새}}} ||<-2> {{{-2 사사키 마사미츠}}} || {{{-2 코마츠바라 카즈오}}} || {{{-2 1982.11.17.}}} || || {{{-2 제7화}}} || {{{-2 X[ruby]エメラルダス[br]X=에메랄더스}}} ||<-2> {{{-2 쿠마 키미하루}}} || {{{-2 마사노부 코조[br](正延宏三)}}} || {{{-2 1982.12.01.}}} || || {{{-2 제8화}}} || {{{-2 鉄の星の少年と母[br]강철의 별의 소년과 어머니}}} ||<-2> {{{-2 아케히 마사유키}}} || {{{-2 모리 토시오[br](森 利夫)}}} || {{{-2 1982.12.08.}}} || || {{{-2 제9화}}} || {{{-2 スパイはだれだ?[br]스파이는 누구냐?}}} ||<-2> {{{-2 요시자와 타카오}}} || {{{-2 시노다 아키라[br](篠田 章)}}} || {{{-2 1982.12.15.}}} || || {{{-2 제10화}}} || {{{-2 星の海に雪が降る[br]별의 바다에 눈이 내리다}}} ||<-2> {{{-2 카츠마타 토모하루}}} || {{{-2 아라키 신고}}} || {{{-2 1982.12.22.}}} || || {{{-2 제11화}}} || {{{-2 響け自由の鐘の音[br]울려라 자유의 종소리}}} ||<-2> {{{-2 사사키 마사미츠}}} || {{{-2 코마츠바라 카즈오}}} || {{{-2 1983.01.05.}}} || || {{{-2 제12화}}} || {{{-2 心で操る・心の船[br]마음으로 조종하는 마음의 배}}} ||<-2> {{{-2 아케히 마사유키}}} || {{{-2 카게야마 시게노리}}} || {{{-2 1983.01.12.}}} || || {{{-2 제13화}}} || {{{-2 謎の黄金女神!?[br]수수께끼의 황금여신!?}}} ||<-2> {{{-2 카와다 타케노리[br](川田武範)}}} || {{{-2 모리 토시오}}} || {{{-2 1983.01.19.}}} || || {{{-2 제14화}}} || {{{-2 謎の光りはUFO?[br]수수께끼의 빛은 UFO?}}} || {{{-2 [[호시야마 히로유키]]}}} ||<-2> {{{-2 오우라이 아키노리[br](生頼昭憲)}}} || {{{-2 시노다 아키라}}} || {{{-2 1983.01.26.}}} || || {{{-2 제15화}}} || {{{-2 死の海中で80分!![br]죽음의 바닷속에 80분!!}}} || {{{-2 야마우라 히로야스}}} ||<-2> {{{-2 요시자와 타카오}}} || {{{-2 아라키 신고}}} || {{{-2 1983.02.02.}}} || || {{{-2 제16화}}} || {{{-2 宇宙で拾ったネコ[br]우주에서 주워진 고양이}}} ||<|2> {{{-2 호시야마 히로유키}}} ||<-2> {{{-2 와타나베 히데오[br](渡部英雄)}}} || {{{-2 키쿠치 조지[br](菊池城二)}}} || {{{-2 1983.02.09.}}} || || {{{-2 제17화}}} || {{{-2 大竜巻!! 交信不能[br]대용권!! 교신불능}}} ||<-2> {{{-2 [[모리시타 코조]]}}} || {{{-2 코마츠바라 카즈오}}} || {{{-2 1983.02.16.}}} || || {{{-2 제18화}}} || {{{-2 エメラルダス救出[br]에메랄더스 구출}}} ||<|2> {{{-2 야마우라 히로야스}}} || {{{-2 모리 마사키[br](もりまさき)}}} || {{{-2 히로카와 카즈유키[* 히로카와 슈이치(廣川集一)의 필명.][br](広川和之)}}} || {{{-2 [[토미자와 카즈오]]}}} || {{{-2 1983.02.23.}}} || || {{{-2 제19화}}} || {{{-2 マイコン惑星の怪[br]마이콘 행성의 괴물}}} ||<-2> {{{-2 오우라이 아키노리}}} || {{{-2 시노다 아키라}}} || {{{-2 1983.03.02.}}} || || {{{-2 제20화}}} || {{{-2 開くか!! アルカディアの門が…[br]열리는가!! 아르카디아의 문이…}}} || {{{-2 호시야마 히로유키}}} ||<-2> {{{-2 와타나베 히데오}}} || {{{-2 아라키 신고}}} || {{{-2 1983.03.09.}}} || || {{{-2 제21화}}} || {{{-2 闘えトチロー!! 命果つるまで…[br]싸워라 토치로!! 목숨이 다할 때까지…}}} ||<|2> {{{-2 야마우라 히로야스}}} ||<-2> {{{-2 히로카와 카즈유키}}} || {{{-2 토미자와 카즈오}}} || {{{-2 1983.03.16.}}} || || {{{-2 제22화}}} || {{{-2 母なる星 地球へ!! 宇宙の勇者よ[ruby(永遠, ruby=とわ)]に…[br]모성 지구로!! 우주의 용사여 영원히…}}} ||<-2> {{{-2 아케히 마사유키}}} || {{{-2 코마츠바라 카즈오}}} || {{{-2 1983.03.30.}}} || == 평가 == 마츠모토의 세계관에서 그동안 설명되지 않았던 하록과 동료들의 이야기를 채워나가서 [[우주해적 캡틴 하록]]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구상하였고 토에이는 매우 의욕적으로 엄청난 예산을 투입해 극장판인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에 뒤지지 않는 영상미를 제공하였다. [[카츠마타 토모하루]] 감독은 함대전을 매우 화려하게 연출했고 그동안 하록 시리즈를 그려온 [[코마츠바라 카즈오]]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대신 그림체가 비슷한 [[아라키 신고]]가 참여해 영상미는 굉장히 뛰어났다. 그러나 이 시대에 이미 [[마츠모토 레이지]]의 인기는 불이 꺼진 뒤였고 흥행에 2연 실패하자 토에이는 크게 분노했고 이 작품은 22화로 조기종영 되었다. 당초 예정에 있던 은하철도 999와의 크로스오버나 [[얏타란]], [[미메]]의 아군 합류 장면이 나오지 못하면서 어정쩡한 작품으로 종료되고 말았다. 완결을 안 낸 것은 아니고 스토리도 괜찮지만 정말 급하게 이야기가 중단된다는 느낌을 크게 받을 것이다. 그래서 평가가 안 좋은 편이다. 또한 후속작으로 예정되어 있던 [[퀸 에메랄다스]] 극장판도 취소되었고, [[마츠모토 레이지]]도 이 시기부터 창작 의욕을 급격하게 잃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이 작품은 하록 시리즈의 명맥을 18년 가까이 끊어놓은 작품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으며, 볼 수 있는 방법도 끊어져 잊혀져가고 있었는데 2019년 [[슈퍼로봇대전 T]]에 참전이 확정되었으며 이때부터 VOD 서비스로도 쉽게 볼 수가 있게 되었다. 대부분의 하록 팬들은 왜 다른 하록을 두고 이게 슈퍼로봇대전에 가장 먼저 나오는지 의아해하지만 유명한 초록색 아르카디아 호, [[이노우에 마키오]]가 연기한 하록, [[퀸 에메랄다스]]까지 판권 하나로 모두 낼 수 있는 작품이 이것뿐이라 이걸로 나오는 듯하다. 이렇게 일본에선 크게 망했지만 [[프랑스]]에서는 1984년 방영되었으며 꽤나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전투 연출과 작화는 상당히 뛰어나므로 작화 위주로 평론하는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볼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아라키 신고]], [[코마츠바라 카즈오]] 작화감독 편의 작화가 뛰어나며 [[토미자와 카즈오]] 작화감독 편 (18화, 21화), [[우메츠 야스오미]] 원화 편 (18화)도 추천한다고 한다. [[https://twitter.com/animesama/status/1579975035439448064|#]]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앞서 설명한대로 [[슈퍼로봇대전 T]]에 참전하였다. 아르카디아 호 멤버들뿐만이 아니라 에메랄다스도 NPC 캐릭터로 간간히 등장한다. 하지만 스토리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주요 적대세력인 일루미다스도 미등장[* 본편에서는 T의 오리지널 적 세력인 [[UND]]가 일루미다스의 역할을 맡고 있다.]하며 적 캐릭터는 Mr.존 한 명만 등장한다. 다만 본편 미사용 음성중에 일루미다스를 언급하는 대사도 있는걸로 봐선 차후 다른 작품에서 일루미다스를 넣은 스토리를 재현할 생각도 있는 모양. 하록의 성우인 이노우에 마키오의 유작으로 실제로 이노우에는 녹음 후 [[테라다 타카노부]]에게 다시 한번 하록을 연기할 수 있게 해줘서 감사의 인사를 남겼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version=69, paragraph=2)] [[분류:캡틴 하록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82년 애니메이션]][[분류:1983년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