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울림)] ---- ||<#eab9b4>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000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의 주요 수상'''}}}}}} || ||<#fff,#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순위=20,연도=1998,순위2=6,연도2=2007, 순위3=7,연도3=2018)] ---- [include(틀:음악취향Y Best 100)]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 [include(틀:이즘 선정 명반)] ---- }}} || ||<-5><#eab9b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1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 ||<-5>{{{#!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6px; margin-bottom:-5px" [[파일:산울림_2집.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발매일}}}''' ||<-3>[[1978년]] [[5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장르}}}''' ||<-3>[[사이키델릭 록]], [[하드 록]], [[포크송|포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길이}}}''' ||<-3>42:0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곡 수}}}''' ||<-3>10곡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프로듀서}}}''' ||<-3>방기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레이블}}}''' ||<-3>[[파일:서라벌레코오드.svg|width=4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bottom, #eab9b4 6%, #eab9b4 18%, #f9c8c4 18%, #f9c8c4 20%)" 타이틀 곡}}}''' ||<-3>[[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노래)|[[파일:내_마음에_주단.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산울림 제1집 앨범 뒷면 멤버사진.jpg|width=340]] || || {{{#000000 '''앨범 뒷면에 수록된 멤버 사진'''}}}[* 1집과 동일하다.] || [[1978년]] 발매된 한국의 록밴드 [[산울림]]의 두 번째 앨범. [[산울림 새노래 모음|전작]]이 발매된 후 불과 5개월 뒤에 발매되었는데, [[김창완]]이 1971년 대학 시절부터 써놓은 곡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전반적으로 전작보다 더욱 발전한 실험성이 돋보이는 앨범으로, 1집에서의 아마추어틱한 연주에서 좀 더 밀도가 높아진 연주를 선보이는 등 [[소포모어 징크스]]를 극복하고 1집보다도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산울림의 앨범 중에서는 제일 완성도가 높은 앨범으로 꼽히며 '''한국 대중 음악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꼽힌다. 보통 [[산울림 새노래 모음|1집]], [[내 마음|3집]]과 함께 산울림 최고의 명반으로 손꼽히는데, 1집을 더 높게 평가하는 측은 상징성, 2집을 더 높게 평가하는 측은 완성도, 3집을 더 높게 평가하는 측은 실험성에 중점을 두는 편. 발매 당시 상업적으로도 꽤나 성공한 앨범으로,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나 어떡해' '안개속에 핀 꽃' 등 전곡이 명곡으로 평가된다.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2차 선정 당시 6위로 선정되었는데, 5위에 선정된 1집에 바로 이어서 선정되었다. 3차에서는 7위로 선정되었다.[* 5위는 [[산울림 1집]]이고 6위는 [[어떤날 1집]]이다.]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리스트에서 10위 권에 앨범을 두 개 이상 올린 뮤지션은 '''산울림이 유일하다'''. == 트랙 리스트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작사'''}}} || {{{#000 '''작곡'''}}} || {{{#000 '''재생 시간'''}}} || ||<-5> '''Side A''' || || 1 ||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노래)|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5> [[김창완]] ||<|5> [[김창완]] || 5:57 || || 2 || 노래 불러요 || 4:30 || || 3 || 안개속에 핀 꽃 || 5:50 || || 4 || 둘이서 || 2:29 || || 5 || 기대어 잠든 아이처럼 || 1:56 || ||<-5> '''Side B''' || || 6 || 어느날 피었네 || [[김창완]] || [[김창완]] || 5:05 || || 7 || [[나 어떡해]] ||<|2> [[김창훈(음악인)|김창훈]] ||<|2> [[김창훈(음악인)|김창훈]] || 4:00 || || 8 || 이 기쁨 || 3:36 || || 9 || 정말 그런것 같애 ||<|2> [[김창완]] ||<|2> [[김창완]] || 3:58 || || 10 || 떠나는 우리 님 || 3:58 || === Side A === ====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노래)|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 [youtube(Od2zhI92gug)] • 약 3분에 걸친 전주가 상당히 유명하며,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반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박스셋으로 나온 CD판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이 노래의 데모가 수록되어 있는데, 전주 부분만 실려 있다. 보컬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페이드 아웃. || {{{#000000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 || {{{#000000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그대 길목에 서서 예쁜 촛불로 그대를 맞으리 향그러운 꽃길로 가면 나는 나비가 되어 그대 마음에 날아가 앉으리 아 한 마디 말이 노래가 되고 시가 되고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그대를 위해 노래를 부르리 그대는 아는가 이 마음 주단을 깔아놓은 내 마음 사뿐히 밟으며 와 주오 그대는 아는가 이 마음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그대 길목에 서서 예쁜 촛불로 그대를 맞으리 향그러운 꽃길로 가면 나는 나비가 되어 그대 마음에 날아가 앉으리 아 한 마디 말이 노래가 되고 시가 되고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 그대를 위해 노래를 부르리 그대는 아는가 이 마음 주단을 깔아놓은 내 마음 사뿐히 밟으며 와 주오 그대는 아는가 이 마음 }}} || ==== 노래 불러요 ==== [youtube(o4wDQg8Kflg)] || {{{#000000 '''노래 불러요'''}}} || || {{{#000000 우리 모두 즐거웁게 노래 불러요 이 노래 소리에 귀를 기울여요 고이 잠든 별들을 깨우지 말아요 둥근 달빛 아래서 노래 불러요 우 우 우 신나게 불러요 조금만 더 아 아 아 아 우리 모두 즐거웁게 노래 불러요 슬픈 마음 모두 다 잊어버려요 아름다운 이 강산에 꽃이 피면은 마음속엔 노래가락 피어오르네 우 우 우 신나게 불러요 조금만 더 아 아 아 아 우리 모두 즐거웁게 노래 불러요 이 노래 소리에 귀를 기울여요 고이 잠든 별들을 깨우지 말아요 둥근 달빛 아래서 노래 불러요 우 우 우 신나게 불러요 조금만 더 아 아 아 아 }}} || ==== 안개속에 핀 꽃 ==== [youtube(k7MetPCLUeo)] * 내 마음에 주단을 깔고와 함께 이 앨범의 명곡으로 손꼽히는 곡. 중간의 긴 기타 솔로가 인상적이다. 복잡한 구성 때문인지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 {{{#000000 '''안개속에 핀 꽃'''}}} || || {{{#000000 아침이슬 차가운 산 안개속에 핀 고운 꽃잎에 아롱지면 숲속에는 산새들이 옛 얘기 하듯 요란하게 지저귀네 오 즐거운 날들 안개속에 핀 저 꽃처럼 아름다운 너와 나의 지난 추억이 무지개처럼 피어나네 아침이슬 차가운 산 안개속에 핀 고운 꽃잎에 아롱지면 숲속에는 산새들이 옛 얘기 하듯 요란하게 지저귀네 오 즐거운 날들 안개속에 핀 저 꽃처럼 아름다운 너와 나의 지난 추억이 무지개처럼 피어나네 }}} || ==== 둘이서 ==== [youtube(WeN02korBew)] || {{{#000000 '''둘이서'''}}} || || {{{#000000 시계 소릴 멈추고 커튼을 내려요 화병 속에 밤을 넣어 새장엔 봄날을 온갖 것 모두 다 방안에 가득히 그리고 둘이서 이렇게 둘이서 부드러운 당신 손이 어깨에 따뜻할 때 옛 얘기처럼 쌓여진 뽀얀 먼지 위로 은은히 퍼지는 기타 소리 들리면 귓가엔 가느란 당신 숨소리 시계 소릴 멈추고 커튼을 내려요 화병 속에 밤을 넣어 새장엔 봄날을 온갖 것 모두 다 방안에 가득히 그리고 둘이서 이렇게 둘이서 부드러운 당신 손이 어깨에 따뜻할 때 옛 얘기처럼 쌓여진 뽀얀 먼지 위로 은은히 퍼지는 기타 소리 들리면 귓가엔 가느란 당신 숨소리 }}} || ==== 기대어 잠든 아이처럼 ==== [youtube(43C9rRa-8dE)] || {{{#000000 '''기대어 잠든 아이처럼'''}}} || || {{{#000000 기대어 잠들어 버린 아이처럼 하늘나라 어여쁜 우리 천사처럼 천진한 그 얼굴엔 사랑만이 흘러내리네 꽃 속에 잠들어라 노란 나비야 그 날개 속에 고운 꿈을 꾸려무나 어여쁜 내 사랑아 꿈길에서 만나 봐야지 기대어 잠들어 버린 아이처럼 하늘나라 어여쁜 우리 천사처럼 천진한 그 얼굴엔 사랑만이 흘러내리네 꽃 속에 잠들어라 노란 나비야 그 날개 속에 고운 꿈을 꾸려무나 어여쁜 내 사랑아 꿈길에서 만나봐야지 }}} || === Side B === ==== 어느날 피었네 ==== [youtube(tBcudzQQqcU)] || {{{#000000 '''어느날 피었네'''}}} || || {{{#000000 어느 비 오는 날 꽃을 심었어요 무슨 꽃이 필까 기다렸었어요 어느 날 피었네 하얀 꽃 너무 예뻤어요 너무 기뻤어요 밤에도 나가서 보곤 했지요 비 오는 날이면 지켜 섰었어요 어느 날 피었네 하얀 꽃 너무 예뻤어요 너무 기뻤어요 어느 비 오는 날 꽃을 심었어요 무슨 꽃이 필까 기다렸었어요 어느 날 피었네 하얀 꽃 너무 예뻤어요 너무 기뻤어요 밤에도 나가서 보곤 했지요 비 오는 날이면 지켜 섰었어요 어느 날 피었네 하얀 꽃 너무 예뻤어요 너무 기뻤어요 }}} || ==== [[나 어떡해]] ==== [youtube(90JKahGAYfk)] * 샌드페블즈의 1977년 [[대학가요제]] 대상 곡. 원곡보다 속도가 빠른데 원곡자인 김창훈은 샌드페블즈가 너무 느리게 연주했다고 밝혔다. [[https://blog.naver.com/dontgo21/120002779179|#]] || {{{#000000 '''나 어떡해'''}}} || || {{{#000000 나 어떡해 너 갑자기 가버리면 나 어떡해 너를 잃고 살아갈까 나 어떡해 나를 두고 떠나가면 그건 안 돼 정말 안돼 가지 말아 누구 몰래 다짐했던 비밀이 있었나 다정했던 네가 상냥했던 네가 그럴 수 있나 못 믿겠어 떠난다는 그 말을 안 듣겠어 안녕이란 그 말을 다정했던 네가 상냥했던 네가 그럴 수 있나 못 믿겠어 떠난다는 그 말을 안 듣겠어 안녕이란 그 말을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나 어떡해 }}} || ==== 이 기쁨 ==== [youtube(Hiy3mX4g86Y)] * 하드 록 분위기가 돋보이는 곡. 김창훈의 샤우팅이 인상적이다. || {{{#000000 '''이 기쁨'''}}} || || {{{#000000 마음속에 핀 아름다운 이 꽃은 밤하늘에 핀 별을 잡은 기분이야 어떤 슬픔도 이 기쁨 이기지 못해 어떤 슬픔도 이 기쁨 이기지 못해 마음속에 핀 아름다운 이 꽃은 밤하늘에 핀 별을 잡은 기분이야 어떤 슬픔도 이 기쁨 이기지 못해 어떤 슬픔도 이 기쁨 이기지 못해 }}} || ==== 정말 그런것 같애 ==== [youtube(kENTydzHk0Q)] || {{{#000000 '''정말 그런것 같애'''}}} || || {{{#000000 정말 그런 것 같애 당신은 떠나갔지요 다시 온단 말도 없이 날 두고 가 버렸어요 기러기 날으는 귀뚜리 밤에도 정말로 당신은 무심한 잠꾸러기 창밖엔 달빛만 가득 마음은 밤길을 헤매네 옷깃을 살며시 붙잡는 차가운 겨울바람만 부네 정말 그런 것 같애 당신은 떠나갔지요 다시 온단 말도 없이 날 두고 가 버렸어요 기러기 날으는 귀뚜리 밤에도 정말로 당신은 무심한 잠꾸러기 정말 그런 것 같애 당신은 떠나갔지요 다시 온단 말도 없이 날 두고 가 버렸어요 기러기 날으는 귀뚜리 밤에도 정말로 당신은 무심한 잠꾸러기 창밖엔 달빛만 가득 마음은 밤길을 헤매네 옷깃을 살며시 붙잡는 차가운 겨울바람만 부네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정말 그런 것 같애 }}} || ==== 떠나는 우리 님 ==== [youtube(h3-eqHIWadI)] * 1974년 사망한 [[육영수]]를 기리기 위해 쓴 곡이라 한다. || {{{#000000 '''떠나는 우리 님'''}}} || || {{{#000000 떠나는 우리님 편히 가소서 보내는 마음은 터질듯하오 어야 디에야 어여쁜 우리님 가시는 먼먼 길에 흰 국화 만발해라 어야 디에야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방긋 웃는 그 얼굴은 영 떠나 버리누나 어야 디에야 꿈이더냐 생시더냐 청천 하늘 벽력도 이게 무슨 말이더냐 어야 디에야 어여쁜 우리님 가시는 먼먼 길에 흰 국화 만발해라 어야 디에야 어여쁜 우리님 가시는 먼먼 길에 흰 국화 만발해라 어야 디에야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방긋 웃는 그 얼굴은 영 떠나 버리누나 어야 디에야 꿈이더냐 생시더냐 청천 하늘 벽력도 이게 무슨 말이더냐 어야 디에야 어여쁜 우리님 가시는 먼먼 길에 흰 국화 만발해라 어야 디에야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방긋 웃는 그 얼굴은 영 떠나 버리누나 어야 디에야 꿈이더냐 생시더냐 청천 하늘 벽력도 이게 무슨 말이더냐 }}} || [[분류:록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1978년 음반]][[분류:산울림]][[분류:사이키델릭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