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산주의)] [include(틀:소련 관련 문서)]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낫과 망치.svg|width=100%]]}}} || || [[문자|{{{#ffd700 '''문자'''}}}]] ||☭ || || [[한국어|{{{#ffd700 '''한국어'''}}}]] ||낫과 망치 || || [[영어|{{{#ffd700 '''영어'''}}}]] ||Hammer and Sickle || || [[러시아어|{{{#ffd700 '''러시아어'''}}}]] ||Серп и молот[*로마자 Serp i molot] || || [[우크라이나어|{{{#ffd700 '''우크라이나어'''}}}]] ||Серп і молот[*로마자] || || [[중국어|{{{#ffd700 '''중국어'''}}}]] ||[[锤]][[子]][[与]][[镰]][[刀]] (chuízi yǔ liándāo) || [목차] [clearfix] == 개요 == [[붉은 별]]과 함께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기호. [[농민]]을 상징하는 [[낫]]과 [[노동자]]를 상징하는 [[망치]]가 교차하여 겹쳐져 있는 형태로, 대표적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인 농부와 노동자의 단결을 나타낸 것이다. 1917년을 전후로 [[러시아 혁명]] 때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1922년부터 [[소련군]]의 휘장, 깃발, 계급장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혁명]] 이전 [[러시아 제국]]은 [[로마 제국]]의 [[제3의 로마|정통 후계자를 자처하였고]] 제국의 상징이었던 [[쌍두독수리]]를 상징으로 사용했다. [[소련 붕괴]] 이후 지금의 [[러시아]] 역시 낫과 망치를 버리고 다시 쌍두독수리를 사용하고 있다. 단, 낫과 망치는 지금은 [[야당]]으로 전락한 [[러시아 연방 공산당]]에서는 계속 사용 중. 그리고 소련에서 독립한 [[몰도바]]에서 갈라져나온 [[미승인국가]]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지금도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소련 시절 몰도바]]가 사용했던 낫과 망치가 들어간 국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트란스니스트리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아니다. 이건 소련 또는 러시아에 대한 향수가 강해서 그렇지 공산당의 힘이 세서는 아니다. 정치적으로는 오히려 보수우파가 우세한 상황.] 또 러시아의 민영항공사인 [[아에로플로트]]도 로고에 낫과 망치가 있다. 이 기호는 공산주의 운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스탈린주의]] 내지는 [[현실사회주의]][* 즉 소련과 그 구성국들의 이념]를 나타낸 것이다. 사실 마르크스는 [[공산당 선언]]을 통해 농민들은 프티 부르주아라 비판한 바가 있다. 그래서 아래의 당기들을 제외하면 구 소련 구성국을 제외한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된 예는 드물다. 또 [[인터내셔널#s-2.5|제4인터내셔널]]을 중심으로 한 [[트로츠키주의]]자들은 낫과 망치의 방향을 좌우로 뒤집은 기호를 사용한다. 이는 기존의 기호를 사용하는 [[스탈린주의]]에 반대함을 의미하는 기호이기도 하고 기호의 모양이 숫자 [[제4인터내셔널|4와 비슷해지는 효과도 있다.]] 공식적으로 [[소련/국기|소련 국기]]는 이 낫과 망치 모양이 보이도록 접게 되어 있었다. 먼저 위아래로 2등분해서 접은 뒤 반으로 접힌 국기를 뒤집어 3등분하고 두 번 접으면 된다. == 사용 == || [[파일:세계의 낫과 망치.jpg|width=100%]] || || 전세계에서 사용된 70가지 디자인의 낫과 망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각각 [[알바니아]], [[알제리]], [[캄보디아]], [[칠레]], [[동독]], [[서독]], [[이스라엘]], [[이탈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네팔]], [[네덜란드]], [[터키|터키(1920년)]], [[터키|터키(2001년)]], [[앙골라]], [[아르헨티나]], [[중국]], [[콜롬비아]], [[독일]], [[영국]], [[요르단]], [[쿠르디스탄]], [[루마니아]], [[러시아]], [[니카라과]], [[북한]], [[우크라이나]], [[우루과이]], [[호주]], [[방글라데시]], [[콩고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그리스]], [[과테말라]], [[라오스]], [[룩셈부르크]],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페인]], [[노르웨이]], [[파키스탄]], [[미국]], [[소련|소련(1924년)]], [[벨라루스]], [[부탄]], [[코트디부아르]],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인도]], [[몰타]], [[멕시코]], [[스리랑카]], [[에스와티니]], [[파나마]], [[파라과이]], [[소련|소련(1936년)]], [[소련|소련(1955년)]], [[브라질]], [[부르키나파소]], [[에콰도르]], [[프랑스]],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몰도바]], [[미얀마]], [[태국]], [[튀니지]], [[페루]], [[필리핀]], [[베트남]], [[유고슬라비아]]의 낫과 망치이다.] || [[프랑스 혁명]] 이후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세계 각지에 퍼진 [[삼색기]]처럼 마찬가지로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의 상징으로 낫과 망치도 세계 곳곳에 퍼져 수정판도 매우 다양하다. 다만 공통적으로는 소련에서 먼저 선보인 붉은 계통 디자인을 [[필수요소]]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 [[파일:소련 국기.svg|width=70]] ||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width=70]] || [[파일:베트남 공산당 당기.svg|width=70]] || [[파일:조선로동당기.svg|width=70]] || || [[소련]] 국기 || [[중국공산당]]기 || [[베트남 공산당]]기 || [[조선로동당]]기[* 이 쪽은 [[지식인]]을 상징하는 [[붓]]을 끼워넣었고 낫의 모양도 서양낫이 아닌 [[조선낫]]이다.] || || [[파일:800px-Hukbalahap_flag_svg.png|width=70]] || [[파일:인도 공산당기.png|width=70]] || [[파일:라오스인민혁명당기.png|width=70]] || [[파일:캄푸치아 공산당기.png|width=70]] || || 후크발라합 기 || [[인도 공산당]]기 || [[라오스 인민혁명당]]기 || [[캄푸치아]] 공산당기 || || [[파일:이탈리아 공산당기.png|width=70]] || [[파일:1200px-Flag_of_the_Portuguese_Communist_Party.svg.png|width=70]] || [[파일:말라야 공산당기.png|width=70]] || [[파일:인도네시아 공산당기.png|width=70]] || || [[이탈리아 공산당]]기 || 포르투갈 공산당기 || 말라야 공산당기 || 인도네시아 공산당기 || ||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width=70]] ||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width=70]] || [[파일:레바논 공산당 당기.svg|width=70]] || [[파일:루마니아 공산당기.png|width=70]] || || [[그리스 공산당]]기 || [[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 || 레바논 공산당기 || 루마니아 공산당기 || || [[파일:러시아 연방 공산당 로고.sv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97px-CPUSA_logo.svg.png|width=100]] || [[파일:Communist_Party_of_Israel_Logo.svg.png|width=100]] || || [[러시아 연방 공산당|러시아 공산당]] 로고 || [[미국 공산당]] 로고[* 이쪽은 낫과 산업혁명을 상징하는 톱니바퀴를 넣었다.] || [[이스라엘]] 공산당 로고 || == 여담 == [[유니코드]]로도 입력 가능하며 코드는 U+262D. ☭ [[냉전]] 시절에 많이 쓰였으나 [[동유럽 혁명]] 이후 대부분 자취를 감추었다. 실제로 헝가리나 루마니아, 구 동독에서는 낫과 망치 문장을 도려내거나 X자를 그었으며 2006년까지 있었던 신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에서도 낫과 망치는 아니지만 가운데의 붉은 별을 지웠다.[* 다만 공식적으로 그렇다 해도 구 유고권 국가들은 티토 시절을 유고슬라비아가 잘나갔을 때로 추억하는 데다 유고슬라비아 붕괴를 전후한 시기로 끔찍한 일을 겪은 여파도 있기에 일반인들 사이에서 금기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러시아에서는 공식적으로 낫과 망치가 폐지되었어도 일반인들이 낫과 망치를 추억의 상징 내지 승리의 상징으로 많이 사용한다. 대독 승전기념일 행사에서도 러시아 국기 뒤로 베를린에 입성해 [[독일 국회의사당]] 건물에 소련 국기를 꽂은 군부대의 이름이 적혀 있는 소련 국기가 따라서 들어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다만 [[일본 공산당]]은 예외적으로 낫과 망치가 아니라 톱니바퀴와 이삭이 있는 벼를 쓰고 있다. 과거 소련의 [[위성국]]이었거나 소련의 일부였던 [[동유럽]] 국가들은 당시를 '소련 강점기'로 여기고 공산주의 시절에 대한 악감정을 가지고 있다. 당시에 못 살아서라거나 가혹한 독재에 시달렸기 때문이라기보다는[* 구 동구권 국가들은 현실사회주의권에서는 가장 경제 면에서 잘 나갔고 정치에서도 소련 위성국이 된 지 얼마 안 가서 스탈린이 죽고 흐루쇼프가 집권하여 스탈린을 비판한 것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중국이나 북한에 비하면 그나마 자유가 있는 편이었다. 1980년대 남한 운동권 학생들이 '우리나라가 어떻게 공산주의 국가라는 폴란드보다도 자유가 없느냐!'고 문제를 제기할 정도 였다. 물론 완전히 민주적이었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중국, 북한 수준의 가혹한 독재와 탄압에 시달렸던 것 역시 아니다.] 과거 공산주의 시절을 소련이라는 강대국과 그 이데올로기에 자기네 민족이 휘둘리던 '''민족의 흑역사'''로 여기기 때문이다. 구 동구권의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에스토니아]], [[체코]], [[우크라이나]][*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공산당이 나름대로 세가 있었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역당에게 세를 넘겨주어서 중견야당으로 전락했고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친러 세력이 몰락하면서 낫과 망치, 공산당이 금지되었다.], [[조지아]][*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낫과 망치, 공산당이 금지되었다.]에서는 [[하켄크로이츠]]와 비슷하게 공공행사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헝가리]]에서는 2013년에 금지에서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이 문장을 좋게 보지는 않는다. [[몰도바]] 역시 2013년부로 해금되었다. 오히려 소련과 동유럽의 직접적인 적이었던 [[서유럽]] 국가들은 미국과 다르게 공산당이 원내정당은 물론 연립여당이 되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당이 제1야당이었던 시절이 있어서 이 문양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냉전]] 시대에는 금기시되었지만 [[1990년대]]에 소련•중국과 수교했고 소련이 붕괴한 후 후신인 러시아와도 꾸준히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지금은 게양에 제한이 없다. 소련빠 성향인 [[운동권]] 학생들 중에는 소련 국기를 집회에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여전히 금지대상인 [[북한]]의 경우는 위와 같이 생판 다른 모양을 사용하기도 하니 낫과 망치 문양을 딱히 마다할 이유가 없다. 심지어 상품화돼서 팔리기도 한다.[[https://m.fmkorea.com/best/3824799317|#]] [[파일:오스트리아 국장.svg|width=200]] [[오스트리아]]의 국장에도 낫과 망치가 사용된다. 피폐해진 나라를 농업과 공업으로 살려냈다는 의미다. 다만 공산권 국가에서 쓰는 낫과 망치를 교차시킨 모양은 아니다. 1919년 처음 선보인 원본에는 중앙에 오스트리아 국기가 박힌 독수리 양쪽 발에 낫과 망치가 각각 잡혀 있었으며 1934년부터는 독수리 머리가 2개가 되고 낫과 망치가 빠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다시 독수리 머리가 하나가 되고 낫과 망치도 제자리로 돌아갔으며 [[나치 독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다리 부분의 끊어진 쇠사슬이 추가되었다. [[네오 나치]] 계열에서도 이런 문양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스탈린주의]]이자 [[나치즘]]을 추종하는 [[슈트라서주의]] 성향의 파시즘 정당인 [[민족 볼셰비키당]]은 정당 로고로 [[나치]]의 깃발에서 [[하켄크로이츠]]를 빼고 낫과 망치를 넣은 문양을 사용하고 있다. [[예술]]로 [[승화]]되기도 했다. 1946년에 헝가리에서 태어난 핀체켈리(Sandor Pinczehelyi)라고 하는 화가의 작품이다. 제목은 라는 작품이다. 그림 및 그 외 설명은 [[http://marcion.tistory.com/m/494|#]] 여기를 참고. 웹 게임 [[문호와 알케미스트]]의 등장 문호 중 [[도쿠나가 스나오(문호와 알케미스트)|도쿠나가 스나오]]의 무기가 끝부분에 추 대신 [[망치]]가 달려 있는 [[사슬낫]]인데 프롤레타리아 작가이기 때문에 모티브를 낫과 망치 마크에서 따 온 것으로 보인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에서는 근접무기로 등장한다. 말 그대로 '''왼손에는 낫을, 오른손에는 망치를 든다.''' [[패트와 매트]]에서 [[이스터 에그]] 격으로 한 번 등장한 적이 있다. 시즌 3 46화 <비밀금고가 필요해>편에서 패트가 잃어버린 금고 열쇠를 찾으려 서랍을 뒤질 때 나온 물건들 중에 있었다. 나머지는 톱, 실톱, 맥주병, 당근, 스패너. [[분류:공산주의]][[분류:소련]][[분류:상징]][[분류: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