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워크래프트 3/언데드 스컬지)]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rypt.gif]] 건설비용: 금 200 / 나무 50 건설시간: 60초 체력: 1300 아머: 건물(5) 기능: 유닛 생산 및 업그레이드 [목차] == 설명 == Crypt. [[언데드 스콜지|언데드]]의 기초 유닛을 생산하기 위한 건물. 나무 수급을 위해서라도 구울을 뽑아야 하기에 테크에 따라 [[알터 오브 다크니스]]보다 먼저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선야드(핀드) 빌드. 체력 1300으로 튼튼한데다가 건물 크기도 큼직해서 바리케이드 역할도 한다. 특이하게도 해당 건물에서 생산 되는 유닛들은 공격과 이동을 못하게 되는 대신 체력을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자가 엑티브 스킬을 가지고 있다. 구울은 카니발라이즈로 시체를 먹어서 체력을 회복할 수 있으며, 핀드는 버로우를 해서 시야에서 사라짐과 동시에 체력을 회복 할 수 있으며, 가고일은 스톤 폼을 사용하면 지상으로 내려와서 체력을 회복한다. === 생산 가능한 유닛 === [[파일:external/9d21c0256050f772e58f17d77fc298f8981adfed6b3c339f632d2dcf69fba960.gif]] * [[구울(워크래프트 시리즈)|구울]]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ryptfiend.gif]] * [[지하마귀]] ([[무덤(워크래프트 시리즈)|무덤]] 필요) [[파일:external/bfa5efec04783176c48cd02d20793764fe781756b6919d2dc01b954be98f9868.gif]] * [[가고일(워크래프트 시리즈)|가고일]] ([[망자의 전당]] , [[무덤(워크래프트 시리즈)|무덤]] 필요) === 개발 가능한 업그레이드 ===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annibalize.gif]] * 카니발리즈/시체 먹기 비용: 금 75 개발 시간: 30초 [[구울(워크래프트 시리즈)|구울]]과 [[어보미네이션(워크래프트 3)|어보미네이션]]이 사용 가능한 스킬. 전투 후에 시체가 남으면 그 시체를 먹어서 체력을 회복한다. 그레이브야드에서 자동으로 생산하는 시체에도 적용된다. 개발 비용도 싸고 나름 쓸모 있어보이지만 먹는동안 움직일 수 없으며 공격도 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묻혔다. 1.30 패치로 크게 변경되었으며 변경점은 아래와 같다. ||<-2><:>1.30패치 이전(1.29.2버전) ||<-2><:>1.30 패치|| ||<:>구울||초당 10의 체력을 33초 동안 회복||<:>구울||초당 16의 체력을 20초 동안 회복|| ||어보미네이션||초당 15의 체력을 33초 동안 회복||어보미네이션||초당 25의 체력을 20초 동안 회복|| 1.30의 변경점으로 초당 회복량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긴급한 체력 회복 용도 또는 전투 중간에 생존을 위한 생존기로 써 볼 수 있게 되었다. 노재욱이 선드레 운영을 하면서 한번 쓰려고 했는데 그 상대가… [[http://www.youtube.com/watch?v=M58vxK4dGPw|#]] 이 능력을 업그레이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선데나에 대한 의존도가 다소 낮아질 걸로 보인다.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web.gif]] * 웹/거미줄 비용: 금 150 / 나무 150 개발 시간: 30초 요구사항: 그레이브야드, 홀 오브 데드 [[크립트 핀드]]가 쓰는 스킬. 이 연구를 마치면 크립트 핀드가 공중 유닛을 지상으로 끌어내리는 기술인 웹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상 공격만 가능한 핀드에게 사실상 대공 능력을 주는 업그레이드로 [[레이더(워크래프트 3)|레이더]]의 [[인스네어]]에 비하면 공중 유닛에게만 쓸 수 있고, 연구 비용이 더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자동 시전]]'''이 가능한 기술이라 언데드가 대공에 관해서 만큼은 비교적 여유롭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지속 시간과 재사용 시간이 12초로 똑같기에 한번 잡힌 공중 유닛은 빠져나오는게 매우 어렵다.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stoneform.gif]] * 스톤 폼/돌 변신 비용: 금 75 / 나무 150 개발 시간: 40초 요구사항: 그레이브야드, 블랙 시타델 [[가고일(워크래프트 시리즈)|가고일]]이 사용하는 스킬. 시전하면 가고일이 땅으로 내려와서 돌로 변하는데 이 상태에선 초당 체력 회복 8 추가와 방어력 12를 얻게 된다. 돌덩이 수준으로 정말 단단해지기에 체력이 낮음에도 쉽게 죽지 않을 정도. 기본 목적은 전투 후에 떨어진 체력을 보충하는 것이지만, --저주스런 --[[판다렌 양조사|판다렌 브루마스터]]의 술불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단, 쿨타임이 30초이기에 타이밍을 잘 보고 써야 한다.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ghoulfrenzy.gif]] * 구울 프렌지/구울의 광기 비용: 금 100 / 나무 150 개발 시간: 45초 요구사항: 그레이브야드, 블랙 시타델 구울의 이동속도 80 , 공격속도를 0.25 증가시킨다. 상승폭이 높아서 업그레이드 이후 확연히 빨라진 구울을 볼 수 있다. 과거 [[쌍오라 구울]]이 주 전략이 되던 시절엔 필수 업그레이드였지만, 핀데드가 주류가 된 현재는 전략적으로 굴데드, 굴고일 체제를 쓰는게 아닌 이상 잘 누를 일 없는 업그레이드가 되어버렸다. 사실 구울 자체가 체력이 너무나 허약해 후반에 광역기에 쓸려나가기에 기피되는데 이 업그레이드는 구울의 맷집을 늘리는 것도 아니고(…) 3티어 이후에 연구 가능해서 타이밍 상으로도 늦기에 계륵같은 업그레이드. 그래서 그런지 PTR 1.31 패치로 공격속도를 0.35로 올려줬지만 선호도가 올라갈진 의문. 이동속도가 증가하기에 이 업그레이드를 마치고 나면 구울이 나무를 운반하는 속도도 덩달아 빨라져서 나무가 모이는 속도도 늘어난다. [[파일:external/classic.battle.net/cryptfiendburrow.gif]] * [[버로우]]/[[잠복]] 비용: 금 75 / 나무 75 개발 시간: 45초 요구사항: 그레이브야드, 홀 오브 데드 [[크립트 핀드]]와 [[지하 군주|크립트 로드]]의 캐리언 비틀이 사용 가능한 스킬.[* 단, 2레벨 이상의 캐리언 비틀부터 사용 가능하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저그]]가 사용하는 버로우와 똑같다. 땅 속으로 숨어들어가며 더스트나 투명 유닛을 감지할 수단이 없다면 볼 수 없으며 여기에 크립트 핀드의 경우 추가로 초당 체력 회복 5를 얻는다. 핀데드를 운영할 때 개발해주면 도움이 되는 기술. 개발 비용도 그렇게 비싼 편이 아니므로 개발해 주는게 좋다. 스타크래프트에 비하면 워크래프트 3는 디텍터의 비중이 그리 높지는 않고 상대에게 더스트를 강요하게 할 수 있다. [[러커(스타크래프트)|땅 속으로 숨는데 좀 시간이 걸려서 숨다가 죽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또 버로우한 상태의 유닛은 타운 포탈 스크롤의 영향을 받지 않으니, 후퇴하는 도중 적절한 때에 일으켜서 같이 데려가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Crypt_of_Remembrance_SE2.jp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Crypt_of_Remembrance.jpg]] 스컬지 지역 뿐만 아니라 인간 거주지역에 간혹 보이는 배경 건물일 때도 있다. 사진은 [[동부 역병지대]] 아주 솔직히 말하면, 워크래프트 3의 형태 기준으로 와우에서의 납골당과 묘지를 구분하기는 좀 많이 힘들다. [[분류:워크래프트 3/건물]][[분류:스컬지(워크래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