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협)] ---- ||<-2><:> '''{{{+2 남해화학 주식회사}}}'''[br]南海化學 株式會社[br]Namhae Chemical Corporation || ||<-2> [[파일:남해화학 로고.svg|width=80%]] || || '''설립일''' ||[[1974년]] [[5월 8일]] || || '''업종''' ||복합비료 및 기타 화학비료 제조업 || || '''대표자''' ||하형수 || || '''모회사''' ||[[농협경제지주]] || || '''주요 주주''' ||'''농협경제지주: 56.00%'''[br]이재근: 0.02%[br]{{{-2 (2021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 분류''' ||[[대기업]]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95년]] ~ 현재) || || '''종목코드''' ||025860 || || '''시가총액''' ||'''7,700억원'''^^(2021년 11월 9일 기준)^^ || || '''직원 수''' ||493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496억 7,884만 3,000원^^(2021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1조 4,518억 8,440만 7,283원^^(2021년 기준)^^[br]별도: 1조 4,518억 8,440만 7,283원^^(2021년 기준)^^ || || '''영업이익''' ||연결: 204억 8,174만 9,724원^^(2021년 기준)^^[br]별도: 204억 9,069만 9,479원^^(2021년 기준)^^ || || '''순이익''' ||연결: 216억 6,583만 6,087원^^(2021년 기준)^^[br]별도: 216억 6,401만 9,600원^^(2021년 기준)^^ || || '''자산총액''' ||연결: 7,191억 1,052만 4,869원^^(2021년 기준)^^[br]별도: 7,149억 550만 9,427원^^(2021년 기준)^^ || || '''부채총액''' ||연결: 2,475억 823만 5,172원^^(2021년 기준)^^[br]별도: 2,475억 218만 3,322원^^(2021년 기준)^^ || || '''부채비율''' ||연결: 52.48%^^(2021년 기준)^^[br]별도: 52.95%^^(2021년 기준)^^ || || '''자회사''' ||NES머티리얼즈[* 주요 사업은 [[반도체]]용 [[황산]] 제조 및 판매이며 [[2021년]] [[10월 27일]]자로 설립등기되어 [[2022년]] [[1월 24일]] 공식 출범하였다. 남해화학이 70%, ENF테크놀로지가 20%, [[삼성물산]]이 10% 지분을 투자해 설립한 합작사다.] || || '''소재지''' ||'''본사 및 여수공장'''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384 (낙포동)[br]'''본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13길 15 ([[삼성동(강남구)|삼성동]])[* 상법상 본점][br]'''서울사무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7, 1505~1507호 ([[한강로2가]], 센트럴파크타워) || || '''홈페이지''' ||[[http://www.nhchem.co.kr]] || [목차] [clearfix] == 개요 == >'''농업인과 함께하는 글로벌 농화학 회사''' >---- >남해화학(주)의 [[캐치프레이즈]] 농업 [[비료]] 및 [[석유화학]] 제품의 제조, 유류 사업(주유소 운영)을 사업 분야로 하는 화학 기업. [[농협경제지주]]가 최대주주(전체 주식의 56%)인 농협 산하 기업이다. [youtube(RNKT85WP2Os)] == 역사 == [[1974년]]에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방침에 따라 양질의 [[비료]]를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주곡자립을 달성시키기 위해 [[공기업]] [[한국종합화학공업]]과 [[미국]] 아그리코 사가 75:25 합작으로 세웠다. [[1990년]]에 [[농협]]이 미국 아그리코 지분 25%를 인수했고, [[1998년]]에 농협이 정부지분 45%를 인수해 [[민영화]]되었다. 본사와 제조공장(제7비료공장, 통칭 칠비)은 [[여수국가산업단지]][*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384]에 있다. [[2016년]]에 본사를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18/0200000000AKR20160418086400054.HTML?input=1195m|여수 사업장으로 이전했다.]] [[2002년]] 정밀화학 부문을 분할하여 [[휴켐스]]를 세웠다. [[2020년]] [[5월 27일]]부로 [[남해화학선]]을 폐선했다. == 특징 == 회사 CI로 사용하고 있는 [[거북선]] 마크로 유명하며, 어릴 적 비료포대를 [[썰매]]처럼 타봤다고 하는 사람이면 최소한 이 거북선 마크를 보여주면 어디선가 봤다는 반응을 보일 정도다. 실제로 남해화학은 국내 1위의 비료 제조사로 한국 농업 비료의 50% 이상을 생산하는 [[대기업]]이며, 특히 화학비료 시장에서는 그야말로 독점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그 외에도 비료의 원료이나 생산 부산물 및 원료로서 [[암모니아]], [[요소]], [[염산]], [[황산]] 같은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여 전국의 판매처와 화학회사에 공급하고 있다. 특이한 사업 분야라면 [[주유소]] 운영 부문. 대한민국의 제 5의 폴로 불리는 농협 주유소(Nc-oil, 남해화학클린오일)의 운영을 남해화학이 맡고 있다. 다만 남해화학이 직접 석유 정제 사업을 하는 것은 아니며, 국내 정유 4사 또는 수입을 통하여 공급을 받아 유통한다. 규모면에서 정유 4사 폴 다음 규모로 평가받지만, 모든 농협 주유소가 남해화학 또는 [[농협]] 직영점인 건 아니다보니 가짜석유 문제도 간혹 터지곤 한다. 주유소 이름에 "농협"이 들어간다고 해서 무조건 직영점이라고 신뢰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점을 참고할 것. == 지배구조 == 2021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농협경제지주 || 56.00%|| == 역대 임원 == * 회장 * [[송선근]] (2000~2003) * 대표이사 사장 * [[이원엽]] (1974~1980) * 박희동 (1980~1985) * [[김용휴]] (1985~1990) * 이병기 (1990~1996) * [[우근민]] (1996~1997) * 이동훈 (1997~1998) * 윤영호 (1998~2000) * 김종무 (2000~2003) * 장경택 (2003~2005) * 김장규 (2005~2009) * 함태홍 (2009~2012) * 강성국 (2012~2017) * 이광록 (2017~2020) * 하형수 (2020~ ) == 사업 == 남해화학주식회사는 하기 각호 사업을 통하여 종합화학공장으로 발전하여 저가 양질의 비료 및 영농자재를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풍요로운 농촌건설에 기여토록 노력한다(남해화학주식회사 정관 제2조). * [[비료]] 및 동 부산물의 생산, 판매 * 화학제품 및 동 부산물의 생산, 판매 * 농자재 생산, 판매 * 농산물 생산, 판매 * 농업용 약재, 원료, 미생물 및 동 부산물의 생산, 가공, 판매 * 생명공학, 농학 및 수의학 연구개발업 * 의약품, 원료의약품, 의약부외품, 의료용화합물, 생약제재 및 동물용의약품의 생산, 가공, 판매 * 피·이 필름 생산, 판매 * 환경보전 관련 시설공사 및 제품의 제조, 판매 *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 서비스 및 주차장업 * 기계기구의 제조, 수리 및 가공 * 정보통신 서비스업 및 인터넷 관련업 * 가스, 석유제품 정제, 수입 및 판매업 * 고압가스 특정설비 제조 및 수리업 * 화학기계, 산업기계의 제조 및 보수업 * 엔지니어링활동 및 기술검사 용역사업 * 화물자동차운송주선사업 * 화물자동차운송가맹사업 * 에너지 생산 및 판매사업 * 상기 각호의 사업에 부대 되는 일체의 사업 및 투자 * 전 각호에 관련되는 운송업, 임대업, 보관업, 유통업 및 무역업 == 채용 == * '''신입직(대졸)''' : 4년제 정규대학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를 채용하며, 직렬과 대학 내 전공이 일치하여야 한다. 석사학위 및 산업기사 소지자를 우대하며, 공인 영어 성적을 반드시 제출하여야 한다. 남해화학이 인정하는 영어 시험은 다음과 같다. * [[G-TELP]] Level 2 62점 * [[TEPS]] 300점 * [[TOEFL]] IBT 82점 * [[TOEIC]] 700점 * '''신입직(고졸)''' : 고등학교 졸업 및 동등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단, 공인어학성적은 필수가 아닌 서류전형 시 가점 사항이다. [[분류:1974년 기업]][[분류:대한민국의 화학공업 회사]][[분류:농업협동조합]][[분류:주유소]][[분류:민영화된 공기업]][[분류:코스피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