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남중국해]] [include(틀:수권 - 바다)] ||<-4> {{{#fff {{{+1 '''남중국해'''}}}[br]'''South China Sea | 南中国海(南中國海)'''}}}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중국해.jpg|width=100%]]}}}|| ||<-4> '''언어별 명칭''' || || '''[[영어]]''' ||<-3>South China Sea[br]West Philippine Sea (필리핀) || ||<|5> '''[[중국어]]''' ||<|5>南海|| '''[[표준중국어]]''' ||Nán Hǎi|| || '''[[광동어]]''' ||Naam4 Hoi2|| || '''[[오어]]''' ||Noe^^平^^ He^^上^^|| || '''[[민어(언어)|민어]]''' ||Lâm-Hái|| || '''[[객가어]]''' ||Nam11 Hoi31|| || '''[[베트남어]]''' ||<-3>Biển Đông (𣷷東)[* [[동해]]라는 뜻이다.]|| || '''[[태국어]]''' ||<-3>ทะเลจีนใต้[br](Thale Cina Tai)|| || '''[[크메르어]]''' ||<-3>សមុទ្រចិនខាងត្បូង[br](Sâmŏt Chĕn Khang Tbong)|| || '''[[말레이어]][br][[인도네시아어]]''' ||<-3>Laut Cina Selatan|| || '''[[타갈로그어]]''' ||<-3>Dagat Luzon|| || {{{#fff '''위치'''}}} || ||[[파일:남중국해 위치.pn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중국해'''(南中国海, South China Sea) 또는 '''서필리핀해'''(West Philippine Sea)는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사이에 위치한 [[바다]]로 [[태평양]]의 일부다. 면적은 약 350만 km^^2^^이다.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두 지역의 경계를 이루기도 하지만 사실상 자연지리적으로는 중국 남부부터 동남아시아니까 그냥 [[동남아시아]]의 [[지중해]]라고 봐도 무방하다.[* 지리적으로는 [[동남아시아]]의 범위를 확장하여 중국의 [[윈난성]](雲南省), [[구이저우성]](貴州省), [[화남|화난지방]](華南地方)도 [[동남아시아]]에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그 경우 거의 [[동남아시아]] 내부의 바다가 되기도 한다. 사실 이질적인 식생 등을 고려하면 중국 남부부터는 동남아시아가 되는 게 맞다.] 남중국해의 서쪽에는 [[인도차이나 반도]] 및 인도차이나의 부속 반도인 [[말레이 반도]]가 있고 동쪽에는 [[필리핀]]이 있으며 남쪽에는 [[보르네오]] 섬이 있다. 그 덕에 남중국해를 끼고 분쟁 당사자가 된 나라는 여럿이며 [[싱가포르 해군]]만 해도 [[미합중국 해군]], [[영국군]], [[호주군]], [[뉴질랜드군]], [[태국군]], [[대만군]] 등과 남중국해 공동훈련을 한다. 남지나해(南支那海)라고도 불렀는데, [[지나]](支那)라는 명칭이 중국에 대한 비칭 및 멸칭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생기면서 최근 국내 언론이나 학술자료에서는 거의 남중국해로 불렀으나, 분쟁지역이라서 서필리핀해, 비엔뚱(동베트남해), 보르네오해 이름을 병기한다.[* 한국은 동해/명칭 문제 때문에 국가 이름이 붙은 바다는 최대한 당사국들의 이름을 모두 병기하거나 타협안으로 부른다.] [[중화권]]은 편하게 남해(南海)로 호칭하며 [[싱가포르]]는 南海라는 중국어 명칭과 South China Sea라는 영문 명칭[* [[말레이어]] 및 [[타밀어]] 표기는 영문 표기를 따라간다.]을 혼용한다. 물론 [[일본]]은 여전히 남지나해로 부르고 있으나 최근에 남지나해의 ‘지나’는 한자로 적지 않고 [[가타카나]]로 처리한다. == 중요성 == [[석유]], [[천연가스]]가 대거 묻혀 있으며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 - [[오세아니아]]를 잇는 항로 요지인지라 예전부터 분쟁이 잦았던 곳이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러시아에게도 아주 중요한 바다인데, 유럽과 아프리카로 통하는데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바다이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소비되는 석유의 90%가 남중국해를 통해 수입되며 전체 수출입 물동량의 50% 이상 또한 남중국해를 거쳐야한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도 다르지 않으며 따라서 남중국해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곧 국제적인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다. 최근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중국 해군]]이 남중국해 여러 환초에 기지를 건설하며 중국과 미국, 영국, 호주의 패권다툼의 무대가 되고 있다. == [[남중국해/영토 분쟁|영토 분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중국해/영토 분쟁)] == 관련 문서 == * [[A2·AD]] * [[동남아시아]] * [[동아시아]] * [[스카버러 암초]]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영토 분쟁]]''' * [[미국 VS 중국]] * [[태평양]] * [[중국 위협론]] * [[영해]] * [[제3차 세계 대전]] * [[패권주의]] * [[동중국해]] * [[중화사상]] == 외부 링크 == * [[http://ko.wikipedia.org/wiki/%EB%82%A8%EC%A4%91%EA%B5%AD%ED%95%B4|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련글]] * [[http://en.wikipedia.org/wiki/South_China_Sea|영어 위키백과의 관련글]] * [[https://en.wikipedia.org/wiki/Philippines_v._China|필리핀 V. 중국(남중국해 PCA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