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1 폐역}}}}}}''' || '''{{{#000000,#ffffff 남원}}}''' - ~~[[상동역(전라선)|[ruby(상동, ruby=1966~1977)]]]~~ - [[주생역|{{{#000000,#ffffff 주생}}}]] || ||<-3> {{{+2 {{{#ffffff '''남원역'''}}}}}}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신역|{{{#!html
행신 방면}}}]] ||<|2> [[전라선|{{{#!html
전라선}}}]][[KTX|[[파일:KTX BI_middle White.png|height=15]]]] ||<|8> [[여수엑스포역|{{{#!html
여수엑스포 방면}}}]][[곡성역|곡 성]][br]17.6 ㎞ → || ||<|2> [[전주역|전 주]][br]← 54.0 ㎞ || ||<|2> [[전라선|{{{#!html
전라선}}}]][[SRT|[[파일:SRT BI_White.png|height=13]]]] || || [[수서역|{{{#!html
수서 방면}}}]]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전주역|전 주]][br]← 54.0 ㎞ || [[전라선|{{{#!html
전라선}}}]][[ITX-마음|[[파일:ITX-마음 BI_White.png|height=15]]]] || ||<|2> [[용산역|{{{#!html
용산 방면}}}]][[오수역|오 수]][br]← 15.9 ㎞ || [[전라선|{{{#!html
전라선}}}]][[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height=15]]]] || || [[무궁화호|{{{#!html
전라선
무궁화호
}}}]] || || [[서울역|{{{#585858 {{{#!html
서울 방면
}}}}}}]][[임실역|임 실]][br]← 26.5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html
S-train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남원역, 너비=100%, 높이=225px)]}}}||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mwon || || [[한자]] ||<-2> 南原 || || [[간체자]] ||<-2> 南原 || || [[가나(문자)|가나]] ||<-2> [ruby(南原, ruby=ナムォン)] || ||<-3> '''{{{#ffffff 주소}}}''' || ||<-3> 전라북도 남원시 교룡로 71 (신정동)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2급)[br][[전주역]] 관리/[[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 ||<-3> '''{{{#ffffff 역 운영기관}}}''' || || [[전라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ffffff 개업일}}}''' || || [[전라선]] ||<-2> 1933년 10월 15일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50px]]]] ||<-2> 2011년 10월 5일 || || [[SRT|[[파일:Untitled-1.png|width=50px]]]] ||<-2> 2023년 9월 1일 || || [[ITX-새마을|[[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width=80px]]]] ||<-2> 2014년 5월 12일 || || [[ITX-마음|[[파일:ITX-마음 BI_White.png |width=80px]]]] ||<-2>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S-train}}}]] ||<-2> 2013년 9월 27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익산역|{{{-1 {{{#585858,#cccccc 익산 방면}}}}}}]][br][[산성역(전라선)|산 성]][br]← 3.6 ㎞ || '''[[전라선]]'''[br]남 원 || [[여수엑스포역|{{{-1 {{{#585858,#cccccc 여수엑스포 방면}}}}}}]][br][[주생역|주 생]][br]5.8 ㎞ →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도 계획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광주송정역|{{{-1 {{{#585858,#cccccc ~~광주송정 방면~~}}}}}}]][br]~~[[순창역|순 창]][br]← ? ㎞~~ || ~~'''[[달빛고속철도]]'''[br]남 원~~[br]{{{#red (계획중)}}} || [[서대구역|{{{-1 {{{#585858,#cccccc ~~서대구 방면~~}}}}}}]][br]~~[[장수역|장 수]][br]? ㎞ →~~ ||}}}}}}}}} || {{{+1 南原驛 / Namwon Station}}}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원역.jpg|width=100%]]}}}|| || {{{#ffffff '''남원역 전경(2004년 준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남원역 스탬프.jpg|width=150]] || || 남원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성춘향과 그네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 >'''청동지붕 한옥역사의 매력적인 첫 인상''' >1931년 10월 1일, 처음 전주-남원 간 철도가 연결되고 뒤이어 1933년 10월 15일 남원-곡성간 철도가 연결되며 남원역도 동충동에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두 차례 역사를 신축 준공, 2004년에 이르러 임실-금지 간 전라선 복선화로 신정동에 넓은 역사 광장과 주차시설을 갖춘 한옥 양식의 새로운 남원역이 태어났다. 특히 청동으로 된 지붕 마감재가 인상적으로 여느 한옥 역사와는 다른 강한 힘을 느끼게 한다. 역사가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이용객이 줄어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호남고속철도 개통 1주년 만에 이용객이 55.9%가 증가하며 전라북도 주요 관광도시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2017년에는 남원역 맞이방에서 철도이용객과 함께하는 예술여행 연주회를 개최, 국악과 오케스트라가 함께하는 문화공연을 선보이며 문화가 있는 역사로 성장하였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의 [[철도]]역. 1931년 10월 개업. [[전라북도]] [[남원시]] 교룡로 71 ([[신정동(남원)|신정동]] 531-1)에 있다. [[한국철도공사]] [[전라선]]의 역이며, 종단역인 [[여수엑스포역|여수]]에서는 약 117.6㎞ 떨어져 있다. == 역 정보 == === 수요 === [[지리산]] 관광이나 [[남원시]]를 관광하기 위해 오는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으며, [[통영대전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전라북도|전북]] 동부의 [[순창군]], [[장수군]], [[임실군]]과 [[경상남도|경남]] 북서부의 [[함양군]], [[산청군]] 등지 사람들이 서울행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많이 이용했다. 지금도 인근 지역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남원시]] 자체 수요도 꽤나 되는 편이며, [[전주역|전주]]나 [[순천역|순천]]방면으로도 철도가 강세를 보여 주고 있다. [[고속버스 서울호남-남원|서울 ↔ 남원 고속버스]] 노선이 [[남원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 폐쇄에 따라 [[문화터미널남원|동충동]]으로 기착지를 옮기고 1일 7회로 감회된 후에는 서울방향으로 갈 때의 가치도 높아졌다. 추후에 [[달빛내륙철도]](광주 - 대구선)가 남원역을 관통하게 되어서, 미래에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 역사 === 본래는 남원 시내인 [[동충동]]에 있었다. 옛 [[전주역]] 역사처럼 한옥으로 지어져 있었지만, [[6.25 전쟁]] 당시 폭격으로 전소되었다. 휴전 후 1950년대 후반에 새로 역사를 지었으며, 1980년대 중반 지금의 [[구례구역]] 스타일의 역사를 신축하였다. 남원역은 전라선에서 이용객이 많은 역이지만, 전라선의 굴곡 선형과 여객열차의 고질적인 긴 배차간격으로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2004년 [[전라선]]의 이설-복선화 공사와 더불어서 지금의 [[신정동(남원)|신정동]]으로 이전하였다. 남원 시내로의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진데다,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까지 겹치면서 이용객의 더 큰 지속적 감소가 예상되기도 했으나 전라선 복선화 공사가 2011년 말에 완공되었으며, 같은 시기인 2011년 [[KTX]] 운행이 시작된 이후 이용객이 점점 상승하는 추세. 현재의 위치로의 역사 이설은 사실 불가피한 점이 많았다. 우선 남원-순천 간 이동에서 구례 경유에 비해 곡성 경유는 우회한다. 하지만 [[전라선]]이 처음부터 곡성 경유였기 때문에 곡성을 무시하고 지나갈 수는 없다 보니, 선형개량을 하면서 지금의 노선으로 이설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지금 위치도 선로가 교룡산 동쪽으로 돌면서 나오는 곳이기에 최대한 시가지에 붙이려고 노력한 위치다. 아울러 옛 동충동 역사 자리는 본래 남원성 북문과 [[충렬사(남원)|만인의총]]이 있었던 곳인데, [[정유재란]]의 [[남원 전투]] 당시 조선군이 최후의 항전을 한 곳이 남원성 북문이며, 만인의총은 이 때 항전하다 전사한 조선군과 남원 주민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무덤이다.[* 현재 만인의총은 박정희 정권 초기에 시내 외곽인 [[향교동]]으로 이전되었다.] 비록 남원성 전투는 일본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남원성 전투에서의 결사항전으로 일본군도 상당한 피해를 보았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 연원이 있기에 [[전라선]] 남원역을 이곳 남원성 북문과 만인의총 자리에 설치한 것이 일본의 역사적인 보복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제강점기]] 당시 만인의총은 제사를 금지당하고 단소 파괴, 재산 몰수라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이에 따라 어르신들과 재야사학자 등을 중심으로 역을 이설해야 한다는 주장 역시 거셌다고 한다. 현재 [[동충동]] 구 역사 내부와 철길 일대는 '향기원'이라는 이름으로 도심정원 역할을 하고 있고 주차장은 [[전세버스]] 차고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091006140048119.jpg|width=100%]]|| ||구 남원역 구내|| 남원역은 1967년 최후의 여객용 간선 [[증기 기관차]][* 다만 이후에도 [[디젤 기관차]]의 고장 등 여러 사정이 있을 때 긴급투입된 사례가 있으며 관광용으로는 1994년에 [[교외선]]에서 운행된 사례가 있다]가 운행한 기록이 있으며, 이설 직전인 2003년까지 간선철도 최후의 [[통표폐색]] 신호방식을 사용한 구간에 속해 있기도 했다. * [[https://shadowneo.net/1062|탐방기('19년 7월경)]] * [[https://shadowneo.net/1063|탐방기('19년 7월경 : 구 남원역(폐역)]] 전라선의 역들 중 [[전주역]], [[구례구역]] 등과 함께 한옥 형상으로 지어졌다[* 코레일 홈페이지의 남원역 소개에 따르면 지붕은 청동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는 역이기도 하다. === 열차 운행 정보 === 2012년 5월 1일부터 모든 [[전라선]] [[KTX]]가 남원역을 정차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2014년 6월 30일부터 인천공항행 KTX가 신설되었는데 이 KTX가 상행은 남원역에서 정차하는데 하행은 정차를 안하는 해괴한 시각표가 배정되었다. 7월 20일에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더불어민주당]] [[강동원(정치인)|강동원]] 의원이 시정을 요구해 8월 20일부터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KTX도 남원역 정차를 하도록 개정되었다.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66690|해당기사]] --[[인천국제공항선 KTX|하지만, 결국 인천공항행 KTX의 운명은..]]-- KTX 투입 이래 전역 정차와 왕복 1대씩 통과하는 열차가 번갈아가며 편성되고 있었으나, [[호남고속선]]이 개통한 2015년 4월 2일 이후에는 전라선 권역 5번째로 KTX를 포함한 모든 [[전라선]] 여객 열차가 남원역에 '''필수정차'''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서울 수서역, 화성 동탄역, 평택지제역으로 가는 SRT(일 2왕복)와 무궁화호를 사실상 대체하는 [[ITX-마음]]이 정차한다. === 시간표 === ==== 상행 ==== |||||||| [[파일:KTX BI.svg|width=70]](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6:01 || KTX-산천 || 502 || 행신 || || 08:06 || KTX || 504 || 행신 || || 08:47 || KTX-산천 || 542 || 행신 || || 09:37 || KTX-산천 || 506 || 용산 || || 11:14 || KTX-산천 || 508 || 서울 || || 12:55 || KTX || 510 || 용산 || || 13:02 || KTX || 582[*서대전 [[서대전역|서대전]] 경유] || 용산 || || 13:53 || KTX || 512 || 행신 || || 14:58 || KTX-산천 || 514 || 서울 || || 15:53 || KTX || 516 || 서울 || || 16:28 || KTX_산천 || 4052[*금~일 금~일에만 운행한다.] || 행신 || || 17:22 || KTX-산천 || 4054[*금~일 금~일에만 운행한다.][*서대전 [[서대전역|서대전]] 경유] || 행신 || || 17:32 || KTX_산천 || 518 || 용산 || || 19:04 || KTX || 520 || 행신 || || 19:53 || KTX_산천 || 584[*서대전 [[서대전역|서대전]] 경유] || 용산 || || 20:22 || KTX-산천 || 544[* 금 미운행] || 행신 || || 21:19 || KTX-산천 || 522 || 용산 || || 22:46 || KTX-산천 || 524 || 행신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파일:ITX-마음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7:24 || 무궁화 || 1502 || 용산 || || 08:49 || 무궁화 || 1532 || 익산 || || 09:16 || ITX-새마을 || 1082 || 용산 || || 09:59 || 무궁화 || 1534 || 익산 || || 12:06 || ITX-마음 || 1182 || 용산 || || 13:19 || 무궁화 || 1536 || 익산 || || 14:26 || 무궁화 || 1504 || 용산 || || 15:13 || ITX-새마을 || 1084 || 용산 || || 15:55 || 무궁화 || 1538 || 익산 || || 16:52 || ITX-마음 || 1184 || 용산 || || 17:49 || 무궁화 || 1540 || 익산 || || 19:19 || 무궁화 || 1506 || 용산 || || 20:27 || 무궁화 || 1508 || 용산 || || 23:44 || 무궁화 || 1542 || 익산 ||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남도해양관광열차'''}}}}}}]]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8:31 || 남도해양관광열차 || 2522[*관광 수 ~ 일요일만 운행] || 서울 || |||||||| [[파일:SRT BI.svg|width=70]](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열차번호 || 종착역 || || 07:45 || SRT || 682 || 수서 || || 15:30 || SRT || 684 || 수서 || ==== 하행 ==== |||||||| [[파일:KTX BI.svg|width=70]](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7:11 || KTX-산천 || 501 || 여수엑스포 || || 09:22 || KTX || 503 || 여수엑스포 || || 09:52 || KTX_산천 || 4051[*금~일 금~일에만 운행한다.] || 여수엑스포 || || 10:26 || KTX || 581 || 여수엑스포 || || 10:46 || KTX || 505 || 여수엑스포 || || 12:07 || KTX-산천 || 507[*월~목 월~목에만 운행한다.][br]507+9507[*금~일] || 여수엑스포 || || 13:04 || KTX || 509 || 여수엑스포 || || 14:28 || KTX_산천 || 511 || 여수엑스포 || || 14:42 || KTX_산천 || 543[* 금 미운행] || 여수엑스포 || || 16:16 || KTX || 513 || 여수엑스포 || || 17:32[br]17:34 || KTX-산천 || 583[*월~목][br]593[*금~일] || 여수엑스포 || || 18:55 || KTX_산천 || 515 || 여수엑스포 || || 19:48 || KTX-산천 || 517 || 여수엑스포 || || 20:54 || KTX-산천 || 519 || 여수엑스포 || || 22:08 || KTX || 521 || 여수엑스포 || || 22:41 || KTX-산천 || 541 || 여수엑스포 || || 23:42 || KTX-산천 || 523 || 여수엑스포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파일:ITX-마음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7:38 || 무궁화 || 1531 || 여수엑스포 || || 08:29 || 무궁화 || 1533 || 여수엑스포 || || 10:01 || 무궁화 || 1501 || 여수엑스포 || || 10:54 || ITX-새마을 || 1081 || 여수엑스포 || || 13:21 || ITX-마음 || 1181 || 여수엑스포 || || 14:07 || 무궁화 || 1535 || 여수엑스포 || || 16:37 || 무궁화 || 1503 || 여수엑스포 || || 19:18 || 무궁화 || 1505 || 여수엑스포 || || 19:57 || 무궁화 || 1537 || 여수엑스포 || || 20:20 || ITX-새마을 || 1083 || 여수엑스포 || || 20:45 || ITX-마음 || 1183 || 여수엑스포 || || 21:21 || 무궁화 || 1539 || 여수엑스포 || || 22:17 || 무궁화 || 1541 || 여수엑스포 || || 23:22 || 무궁화 || 1507 || 여수엑스포 ||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남도해양관광열차'''}}}}}}]]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11:53 || 남도해양관광열차 || 2521[*관광] || 여수엑스포 || |||||||| [[파일:SRT BI.svg|width=70]](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열차번호 || 종착역 || || 12:35 || SRT || 681 || 여수엑스포 || || 21:19 || SRT || 683 || 여수엑스포 || == 역 주변 정보 == 남원역 남쪽에 [[24번 국도]]([[남원로]])가 지나가며, 남원역 서쪽으로 [[17번 국도]]([[서부로]])가 지나간다. 주변에 버스 정거장 빼고는 아무것도 없다. 2016년 기준으로 역 주변 상가조성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긴하다. 그래도 시가지에는 나름 가까운 편이다. 야산으로 막혀 있는 것이 흠이지. [[2024년]]에 남원 2차 오투그란데 디아트아파트(226세대)가 입주 예정이다. == 승강장 == ||<-8> [[오수역|오수]] || || ↑ ||<#808080> {{{#ffffff 4}}} ||<#808080> {{{#ffffff 3}}} || ↑ || ↓ ||<#808080> {{{#ffffff 2}}} ||<#808080> {{{#ffffff 1}}} || ↓ || ||<-8> [[곡성역|곡성]] || || {{{#ffffff 1·2}}} ||<|2> [[전라선]] ||<|2> [[KTX|[[파일:KTX BI.svg|width=35]]]]·[[SRT|[[파일:SRT BI.svg|width=35]]]][br][[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ITX-마음|[[파일:ITX-마음 BI.svg|width=40]]]][br][[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S-train'''}}}}}}]] ||[[곡성역|곡성]]·[[순천역|순천]]·[[여수엑스포역|여수]] 방면 || || {{{#ffffff 3·4}}} ||[[익산역|익산]]·[[용산역|용산]]·[[수서역|수서]] 방면 || == 연계 교통 == 가까운 곳에 [[남원여객]] 차고지가 있어 [[남원시 시내버스]] 노선 대부분이 남원역을 시종점으로 삼는다. 남원역에서 나오면 우측에 자전거 보관소가 있는데 그 앞에 시내버스 정류소가 있다. 또한 하루 4차례 [[순창군|순창]]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KTX|[[파일:KTX BI.svg|width=50]]]] || {{{#!wiki style="margin: -0px -9px"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7> || 192명 || 1,401명 || 1,593명 || || || 2005년 || 185명 || 1,338명 || 1,523명 || || || 2006년 || 175명 || 1,229명 || 1,404명 || || || 2007년 || 178명 || 1,212명 || 1,390명 || || || 2008년 || 175명 || 1,228명 || 1,403명 || || || 2009년 || 192명 || 1,177명 || 1,369명 || || || 2010년 || 227명 || 1,298명 || 1,525명 || || || 2011년 || 129명 || {{{#ce0e2f 230명}}} || 1,323명 || 1,682명 || [*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2년 || 180명 || 129명 || 1,449명 || 1,758명 || || || 2013년 || 303명 || 119명 || {{{#f55839 1,515명}}} || 1,937명 || || || 2014년 || 374명 || 169명 || 1,342명 || 1,885명 || || || 2015년 || 564명 || 206명 || 1,293명 || 2,063명 || || || 2016년 || 702명 || 172명 || 1,034명 || 1,908명 || || || 2017년 || 893명 || 185명 || 889명 || 1,967명 || || || 2018년 || 956명 || 175명 || 862명 || 1,993명 || || || 2019년 || {{{#144999 1,024명}}} || 166명 || 900명 || {{{#red 2,090명}}} || || || 2020년 || 748명 || 102명 || 593명 || 1,443명 || || || 2021년 || 880명 || 92명 || 613명 || 1,585명 || || ||<-6> {{{#ffffff '''출처'''}}} || ||<-6>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시가지에서 이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관광수요의 영향인지 이용객은 인구대비 많은 편이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선이 개통된 후 무궁화호 이용객이 어느정도 KTX로 옮겨지게 됨으로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였다. == 기타 == [[1997년]]에 방영된 KBS 주말드라마 [[파랑새는 있다]] 1화에서 차력사들이 차력쇼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장면이 촬영된 장소가 구 남원역 광장이다. 과거 2004년에 구 남원역 통표로 운행하던 시절에 일본인이 찍은 동영상이 유튜브에 남아있다. [[https://youtu.be/d_moHEnvj5U|해당 영상]] 승차 안내방송, 도착 안내방송 중 영어문안 안내방송에서 여수엑스포 발음이 다르다. 시내와 이 역 사이의 왕정동에 [[만복사지]]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라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193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전라선]][[분류:달빛고속철도]][[분류:남원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