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원 광교 차고지에서 안양역을 잇는 노선, rd1=경기광주 버스 65)] [include(틀:남양주시의 시내버스)] || [[파일:65_2808.png|width=100%]] || [[파일:65_2909.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6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6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차산리)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경동시장)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40 || || 막차 || 23:10 || 막차 || 00:45 ~ 00:55 || ||<-2> 평일배차 || 20~30분 ||<-2> 주말배차 || 30~50분 || ||<-2> 운수사명 || [[대원운수]] ||<-2> 인가대수 || 14대[* 실제로 평일 14대, 토요일10대 일요일 8대 운행한다] || ||<-2> 노선 ||<-4> 차산리 - 영남아파트.풍림아이원A - 우방아이유쉘 - 주공.중흥아파트.화도읍사무소.이석영뉴미디어도서관 - 보미청광아파트 - 해비치하우스 - [[천마산역]] - 경성아파트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남양주우체국 - 남양주시청 - 금곡동구종점.금곡초교 - 진안사거리 - 양정동사거리 - [[도농역]] - [[구리역]] - 교문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승강장) → 경동시장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1번승강장)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2.9km다. [[http://map.naver.com/?busId=1855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예전에는 인가대수 11대, 배차간격 2~30분인 노선이었다. 하지만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잠실행 광역버스가 개통되며 [[경기광주 버스 765|765번]], 765-1번, [[남양주 버스 766|766번]] 등 경춘대로를 이용하는 [[직행좌석버스]]들이 수요가 감소하자 765번을 남기고 나머지 두 노선을 2011년 3월 2일에 폐선시킨다. 이때 이전 765-1번 노선으로 변경하여 인가대수 27대에 배차간격 10~15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마석지구 주민들의 노선확충과 스키장마을 묵현리 주민들의 편의에 따라 168번과 같이 2016년 9월 12일에 '양현마을 - 마석가구공단 - 천마산휴게소' 구간이 '양현마을 - 천마산역 - 천마초교 - 스키장입구사거리 - 천마산휴게소'로 바뀌었다. 단, 168번의 배차간격이 나빠 사실상 천마산역을 연계하는 유일한 노선이 됐다. == 특징 == * 형제 노선으로 [[남양주 버스 65-1|65-1번]]이 있는데, 천마산역이 아닌 마석시내를 경유하며, 교문사거리 이후 배탈고개, 북부간선도로, 화랑대역, 태릉입구역을 거쳐 석계역까지 운행한다. 2010년대 초반에는 출퇴근시간대에도 '가끔' 앉아갈 수 있는 노선이기도 했지만, 2010년대 중후반 이후 낮시간대에도 창현지구부터 만원으로 서서 가야하기도 하는 등 수요가 엄청 많이 늘어났다.[* 창현지구 탑승자들은 호평 즈음에 와서 많이 하차하기는 하지만, 호평 주민들이 또다시 타서 도농/금곡까지 만원이고 그 이후로 구리권은 원채 승객수요가 많은 지역이어서 출퇴근시간대에 특히 1시간 이상 쭈욱 서서 가야하는 지옥 같은 상황도 아주 간혹 펼쳐진다. 서울구간인 중랑구~청량리 수요도 많다.] * 서울에서 호평동/화도읍으로 가는 일반형버스 노선들 가운데 차산리 방향 한정으로 유일하게 평내호평역까지 [[경춘로]]를 단 한번도 벗어나지 않는 노선이다.[* 대부분의 시내버스 노선들은 양병원 옆 샛길로 빠지며, 그 중에서 165번이나 97번은 평내동 아파트단지까지 돈다. 1-4, 30, 93번 등은 양정동사거리에서 금곡예비군훈련장 쪽으로 빠진 뒤 구 목화예식장 앞 사거리에서 합류한다.] 서울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다른 시내 노선들처럼 금곡동에서 양병원 옆쪽 샛길로 빠진다. * 경춘선이 평균 15분 ~ 30분 사이의 불규칙한 시간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남양주시의 경춘선 권역에서는 이 버스를 타고 도농역에서 경의중앙선이나 회기역•청량리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해 도심권으로 이동하는 고정수요도 꽤 된다. 이 노선의 메리트는 청량리역환승센터 경유이다. 홍릉사거리를 경유해 현대코아로 빠지는 타 노선들과 달리 역 접근성. 서울 버스 환승등에서 효율이 뛰어나기때문.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할 경우엔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2022년 기준으로 차량이 많이 감차되어 출근시간에도 배차간격이 15~20분정도로 늘어났으며 그만큼 혼잡도가 매우 높아졌다.[* 지선 노선인 [[남양주 버스 65-1|65-1번]]이 파행운행 중인 건 덤.] * 구리, 남양주발 청량리행 노선이 대부분 떡전교사거리에서 우회전해 현대코아로 회차하는 반면 이 노선은 166, 51, 88번과 같이 바로 청량리역으로 직진하는 메리트가 있다. 이 중에서는 가장 준수한 배차간격이다. * 노선 특성상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한 부분이 있어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못했으나 2023년 6월에 CHTC 에픽시티 전기버스를 3대 투입하면서 처음으로 저상버스가 운행하게 되었으며, 이후 8월에 5대가 더 투입되었다. 그러므로 가스차량들이 대거 이동하였다.1번에 3대 이동했다 1-4번에 2대 이동했다 지금 남아있는 가스차량들은 2대 뿐이다. * 평일 시간표 14대 ||차산리 기준|| 1번 ||5:00|| ||9:25|| ||15:15|| ||20:55|| 2번 ||5:17|| ||9:50|| ||15:45|| ||21:20|| 3번 ||5:35|| ||10:15|| ||16:05|| ||21:50|| 4번 ||5:55|| ||10:40|| ||16:30|| ||22:05|| 5번 ||6:10|| ||11:05|| ||16:55|| ||22:25|| 6번 ||6:30|| ||11:30|| ||17:15|| ||22:45|| 7번 ||6:50|| ||12:00|| ||17:35|| ||23:10|| 8번 ||7:05|| ||12:20|| ||18:00|| 9번 ||7:25|| ||12:45|| ||18:25|| 10번 ||7:42|| ||13:10|| ||18:50|| 11번 ||8:00|| ||13:35|| ||19:15|| 12번 ||8:20|| ||14:00|| ||19:40|| 13번 ||8:42|| ||14:25|| ||20:05|| 14번 ||9:00|| ||14:50|| ||20:30|| * 토요일 시간표 10대 ||차산리 기준|| 1번 ||5:00|| ||9:35|| ||15:20|| ||21:00|| 2번 ||5:25|| ||10:15|| ||15:50|| ||21:35|| 3번 ||5:50|| ||10:45|| ||16:20|| ||22:10|| 4번 ||6:15|| ||11:20|| ||16:50|| ||22:45|| 5번 ||6:45|| ||11:55|| ||17:30|| ||23:10|| 6번 ||7:10|| ||12:30|| ||18:05|| 7번 ||7:40|| ||13:05|| ||18:40|| 8번 ||8:05|| ||13:40|| ||19:15|| 9번 ||8:30|| ||14:15|| ||19:50|| 10번 ||9:00|| ||14:50|| ||20:25|| * 일요일 시간표 8대 ||차산리 기준|| 1번 ||5:00|| ||9:40|| ||15:25|| ||21:15|| 2번 ||5:35|| ||10:20|| ||16:10|| ||22:00|| 3번 ||6:05|| ||11:00|| ||16:50|| ||22:45|| 4번 ||6:45|| ||11:40|| ||17:30|| ||23:10|| 5번 ||7:15|| ||12:25|| ||18:15|| 6번 ||7:50|| ||13:10|| ||19:00|| 7번 ||8:25|| ||13:55|| ||19:45|| 8번 ||9:00|| ||14:20|| ||20:30||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천마산역]], [[평내호평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상봉역[* KTX, ITX-청춘(평일 6회)], 청량리역[* KTX, ITX 시리즈(청춘, 새마을, 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양주시-청량리간 버스)] [include(틀:남양주시 평내호평지구 운행 버스)] [[분류:남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구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남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