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양주시의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2-1_32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2-1_3206.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12-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112-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도곡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테크노마트(D)) || ||<|2> 종점[br]행 || 첫차 || 05:10 ||<|2> 기점[br]행 || 첫차 || 06:30 || || 막차 || 22:30 || 막차 || 23:55 || ||<-2> 평일배차 || 15~30분 ||<-2> 주말배차 || 30~50분 || ||<-2> 운수사명 || [[대원운수]] ||<-2> 인가대수 || 9대[*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인가대수 18대에서 임시감차. 실제로는 7~9대로 유동적으로 운행한다.] || ||<-2><|2> 노선 ||<-4> __[[덕소영업소|도곡리차고지]] - [[도심역]] - 덕소중학교 - 두산.벽산아파트 - 덕소현대아파트__ - 와부읍사무소 - 동부센트레빌.덕소아이파크 - 덕소초등학교 - 덕소삼거리 - 신한.한솔.진도아파트 - __덕소현대아파트 - 두산.벽산아파트 - 덕소중학교 - 도심역 - 도곡리차고지__ - 갬벌 - 동막골 - 팔당대교 - 검단산입구.한국애니메이션고교 - [[하남검단산역]].창우초등학교 - 천현초등학교[*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 천현사거리.천현공원 - 신장사거리.신장시장 - 덕풍시장.KT하남지사 - 온천마을.테크노벨리U1.힐즈파크푸르지오[* 강변역 방면은 중앙 정류장, 남양주 방면은 가변 정류장] - 황산사거리 - 상일초등학교(중) - 초이동(중) - [[강동역]](중)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올림픽대교 → [[강변역]].테크노마트앞 → 현대아파트 → 올림픽대교 → 이후 역순 || ||<-4> * __밑줄__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해야 한다. || == 개요 ==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http://naver.me/xG2huAoK|전체 정류장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78.8km다. == 역사 == * 1998년경 [[대원고속]]에서 일반좌석버스로 개통되었다. 이후 중간에 직행좌석으로 잠시 전환되기도 하였으나 금방 환원되었다. * 2000년 9월에 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2년 대원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했고, 이후 [[대원운수]]로 완전히 이관되었다. * 2010년 즈음까지는 종점이 덕소라고 써 있었으며 월문리사거리가 회차지였는데 현재는 도곡리종점을 사용 중이다. * 천호사거리 평면화 이후 [[천호역]] 가로변 정류장이 아닌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기존대로 [[천호역]] 근처 풍납시장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은 동일하다. * 2021년 4월 10일에 [[하남검단산역]] 연계로 인해 '신안아파트후문 - 하남초등학교 - 현대.한신아파트' 구간이 '신안아파트후문 - 창우마을 - 하남검단산역 - 현대.한신아파트' 로 변경된다. == 특징 == * 남양주 덕소와 강변역을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구리 버스 15|15번]]이나 [[남양주 버스 1660|1660번]], [[양평 버스 2000-1|2000-1번]][* 평일 2회만 운행.]과 달리 구리시를 거치지 않고 하남시를 경유한다. 이 노선 외에도 하남시를 거치는 남양주 노선으로는 [[남양주 버스 30-15|34번]], [[남양주 버스 168|168번]] 등이 있었으나 모두 단축되었으며, 하남시 차적인 88번도 있었으나 2011년에 폐선됐다. 현재 하남에서는 [[팔당역]]을 가는 버스는 [[하남 버스 50|50번 마을버스]] 뿐이며, 덕소까지 들어가는 노선은 이 노선이 끝이다. * 주요 수요는 덕소시내 이동과 하남~덕소간 이동, 하남~천호역/강변역 등 구간수요나 중거리 위주이다. [[남양주시]] 버스로 분류되지만 하남~천호 구간은 항상 사람이 많은 구간으로 112-1번도 마찬가지로 가축수송을 하며, 특히 신장시장에서 서울로 나가기 위해 많이 탑승한다. [[하남 버스 112-5|112-5번]]도 신장과 천호역을 잇지만 이 구간 수요가 워낙 많은데다가 112-5번은 중형 차량이라 항상 가축 수송을 해도 사람을 못태울만큼 수송량이 떨어진다. 또 [[하남시]] 구도심 지역에서 [[경기광주 버스 112|112번]]과 함께 [[강변역]]을 가는 둘 밖에 없는 노선 중 하나이기도 하기에 112-1번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물론 서울 구간인 상일동~천호역/송파구/강변역 수요도 많다. * 남양주(덕소)에서 강동구/송파구로 갈 때 저렴하게 갈 수 있는 노선이다. 1년만에 사라진 1640번 버스가 폐지되면서 미사대교를 통하는 버스는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 덕소지역 학생들이 통학 노선으로 애용하는 노선이기도 한데 동부센트레빌·덕소아이파크에서 출발하는 마을버스가 덕소역까지 돌아가는 거에 반해, 이 버스는 바로 학교로 가기 때문이다. * [[서울 버스 463|463번]]처럼 한강을 2번 건너는 노선으로 [[팔당대교]]와 [[올림픽대교]]를 경유한다. * 한때 112-1번과 비슷한 노선으로 풍산지구 노선버스 확충을 위해 112-2번이 운행했으나 풍산지구를 운행하는 [[경기광주 버스 16|16번]]의 빗자루급 배차간격에 밀려서 수요부족으로 결국 폐선되었다. 경기여객 소속이었던 112-2는 팔당역을 찍고 가는 점을 빼면 특색이 없었고 조용히 경기상운으로 이관되었다가 위에 서술했듯이 없어졌다. * 도곡리 차고지에서 동부센트레빌 아파트 구간은 양방향 중복으로 행선판을 잘 확인하고 이용해야 한다. 행선판 색깔이 초록색이면 강변역, 빨간색이면 차고지행. 보통 서울로 가는 노선들과는 반대 방향에서 타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특히 덕소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다만 [[굴곡 노선/버스/경기도|하남시로 돌아가므로]] 상일동, 천호동, 길동 일대로 갈 경우에만 이 노선을 타고, [[강변역]]을 가려면 [[구리 버스 15|15번]][* 양평에서 오는 2000-1번도 있지만, 평일 한정인데다가 2회만 운행하므로 참고.]을 타던가 [[경의중앙선]]을 타고 [[왕십리역]]에서 환승하여 2호선 내선순환 방면을 타고 가던가[* 보통 경의중앙선의 극악한 배차 때문에 버스를 탄다는 걸 생각하면 버스로 환승하기 위해 구리에서 내리는 것보다 이게 더 빠르다. 2호선 배차가 아무리 길어져도 버스 환승을 위해 걸리는 시간보다는 훨씬 빠르다.] [[구리역]]에 내려서 [[남양주 버스 9|9]]/[[구리 버스 93|93]]/[[구리 버스 95|95]]/'''[[남양주 버스 97|97번]]'''으로 환승하거나[* 이 중 97번은 구리역 기준 구리시청을 경유하므로 9, 15, 93, 95보다는 좀 더 빠르다.] 혹은 덕소 일대에서 [[남양주 버스 1660|1660번]]을 타는 것이 좋다. || 도곡리차고지 방향 || 강변역.테크노마트(D) 방향 || || '''{{{#white {{{+3 차고지}}}방향}}}''' || '''{{{#white {{{+3 강변역}}}방향}}}''' || * 배차간격은 8~15분이지만 2~3대가 나란히 가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현대.한신아파트 - 천현초교' 구간은 단독 구간이다. [[하남 버스 38|38번]](구. 30-1번)도 있었으나 하남대로 경유로 변경되면서 졸지에 해당 구간의 유일한 버스노선이 되었다. 하남초교 정류장도 단독구간이었으나 [[하남 버스 배알미-01|배알미-01번]]이 들어오게 된 후, 하남검단산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더 이상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는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경강로]], [[팔당대교]], 덕풍시장 구간에서는 종종 정체가 심해서 시간이 평소보다 더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이후 풍납동까지는 버스전용차로만을 이용하므로 통행 속도가 빨라진다. * 덕풍시장 및 신장시장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표정속도가 상당히 떨어진다. 외부의 큰 길과는 달리 왕복 2차선 도로에다가 통행량이 많고, 횡단보도와 신호등도 많기 때문이다. 이 구간을 통과할 때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스타필드 하남]]을 직접적으로 경유하지는 않으나 [[하남검단산역]] 정류장에서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스타필드로 갈 수 있다. 덕소에서 하남 방면으로 가는 버스라면 팔당1리 정류장에서 [[하남 버스 50|50번]] 버스와 환승하면 스타필드 앞까지 바로 간다. * [[광나루역]]까지 더 빨리 가는 것을 원한다면 '''창우초교.하남검단산역'''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지하철을 타는 것이 낫다. 물론 하남선 구간의 경우 배차 간격이 길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천호역]]까지는 막히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5호선으로 환승하는 것과 그대로 타고 가는 시간이 거의 비슷하다. 막히지 않는 기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5호선이 더 빠르다.[* 하남검단산역에서 출발하는 열차의 배차 간격이 12분 정도인데 평균 대기시간을 고려하면 이 노선을 비롯한 버스를 타는게 더 나을 때도 있다. 다만 눈 앞에서 열차를 놓치는 게 아닌 이상 5호선이 100% 빠르다.] * [[강변역]]까지 더 빨리 가는 것을 원한다면 '''창우초교.하남검단산역''' 정류장이나 '''온천마을.U2테크노벨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하남 버스 9304|9304번]] 버스를 기다리는 것도 괜찮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9304번이 경유하는 [[올림픽대로]]가 막히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112-1번을 계속 타고가는게 더 낫다. 아니면 '''창우초교.하남검단산역''' 정류장에서 내려서 지하철을 타고 [[광나루역]]에서 내려서 강변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도 된다. 덕소에서 강변역을 가려는 경우 이 버스보다는 1660번 버스를 타거나 배차간격이 더 짧은 1670번을 타고 잠실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게 더 빠르다.[* 덕소에서 이걸 타고 하남검단산역을 가는 데만 20~30분이 걸린다. 직행버스를 탔다면 같은 시간에 이미 광나루역이나 강변역에 가 있다.] == 시간표 == 2021년 09월 기준이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91168|112-1번 기점 출발 시간표]]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하남검단산역]], [[강동역]], [[천호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천호역, [[강동구청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심역]], [[팔당역]][* 하팔당마을 정류장 하차 후 도보 5분][* 덕소역은 덕소삼거리에서 하차하여 걸어가도 되지만 약간 거리도 있고, 덕소역을 경유하는 버스가 많아 다른 버스로 환승하여 가는 게 더 편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양주시-강변역간 버스)] [[분류:남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199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하남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남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