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어의 종류)] [include(틀:남아프리카 공화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South African English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쓰이는 [[영어]]를 언급한다. [[아프리카 영어]]의 한 부류로 취급되지만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영어의 구사능력이 월등한데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여전히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영국계]], 아일랜드계 이주자들이 많아 사실상 별개로 구분된다. 애초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식민화 된 케이스가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같이 자국 영토의 확장 목적이 있었는데다 이전에 네덜란드계 [[아프리카너]]가 거주했다는 것도 구별되는 특징으로 남게 되었다. 원래는 [[영국식 영어]]에서 비롯되었지만 상술된 특징으로 인해 영국식 영어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인근 [[호주]], [[뉴질랜드]]나 [[영국]],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부탄]], [[방글라데시]], [[몰디브]], [[네팔]]과의 교류가 상당해서 [[호주 영어]], [[뉴질랜드 영어]], [[힌글리시]]의 영향도 상당하다. [[https://youtu.be/eqF2-FqGx2Q|예시]]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여기도 [[인도인]], [[파키스탄인]], [[벵골인]], [[네팔인]], [[타밀족]] 이주자들이 많다. 남아공 전체 인구에서 영어가 모어인 사람은 10% 안팍에 불과하지만 남아공의 언어가 다양하고, 영어의 위상이 높기때문에 민족간 소통어, 교육언어로 널리 통용된다. == 남아프리카 영어 내의 방언 == 사회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다. 상류층과 공식 석상에서 쓰이며 RP와 발음이 거의 비슷한 Cultivated, 중간 계층이 쓰는 General, [[아프리칸스어]] 화자 및 노동자 계층이 쓰는 독특한 발음인 Broad의 세 가지로 나뉜다. 셋 모두 전반적으로 아프리칸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ɪ] 발음이 ['ə]에 가깝게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 또 화자에 따라 r이 스페인어의 r처럼 혀를 떠는 발음이 되곤 하는 특징이 있다. * Cultivated: 영국식 [[용인발음]] 악센트와 거의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고, 상류층들의 상당수가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 유학을 많이 가는 편이기 때문에 사실상 [[용인발음]]과 비슷하다. * General: 일반 남아공인들이 쓰는 억양이다. 대부분의 영어 화자들이 쓰는 것으로 얼핏보면 Cultivated와 비슷하지만 생각보다 다르다. * Broad: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골지역에서 쓰이는 억양이다. 흔히 아프리카너들이나 노동자 계층들이 쓰는 것으로 셋 중에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의 영향력이 강하며, [[독일어]]와도 유사하기도 하다. 현지 교민에 따름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액센트는 General 이고 Cultivated 의 경우 주로 요하네스버그나 케이프타운의 영국계 사립학교 출신들 한테서, Broad 는 아프리칸스의 영향이 짙은 프리토리아 나 프리스테이트, 케이프타운 언저리서 많이 보인다 한다. 아울러 남아공 토착 흑인들의 영어도 --당연하게도-- 자주 접할 수 있으며 특히 정계 에서도 Cultivated 보단 남아공 흑인 식 영어를 쓰는게 흑인 정치인들 사이 선 백인 따라 한다는 음해를 피할 수 있는 불문율과 같다.[* 자유주의우파 성향의 제2정당 [[민주동맹]]의 흑인 의원이 의회에서 Cultivated 억양으로 발언하니 제3정당에 극좌민족주의 [[경제자유투사당]]의 한 의원이 '''흑인답게 말하시오''' 라고 꼽을 줬을 정도. 참고로 민주동맹의 경우 [[케이프타운]]을 중심으로 주로 백인 중산층 이상에게 지지를 받고 경제자유투사당은 서민에서 저소득 흑인들이 주 지지층 이다. 심지어 경제자유투사당의 경우 정장 보단 빨간 티셔츠를 의회에서도 정복으로 입을 정도.] [[넬슨 만델라]] 와 2022년 기준 현 대통령인 [[시릴 라마포사]], 그리고 기타 다른 정치인들이 이 방언을 쓴다. 어느 종류든 토착 흑인언어 와 아프리칸스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감탄사의 경우 Eish, Haibo, Ag Nie 등 이 인종 가릴 것 없이 많이 쓰이며 특히 싱글리시 의 La 와 같은 의미로 빈번하게 대화하며 끝에 Hey 를 붙히는 경우가 있다.[* 예시를 들으면 It was a nice game hey? 정도.] 아울러 남아공 영어 에서만 쓰이는 단어인 Now Now 가 있고 뜻은 금방, 또는 나중에 라는 뜻 이며 대략 스페인어의 Manana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다. == 철자법 == 철자법은 영국 영어에 맞춰져 있다. realise, mum, analyse, colour, centre, travelled, harbour, labour로 쓴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미국]] 국적의 대기업들 많이 입지해있기 때문에 [[미국식 영어]]의 철자법도 생각보다 많이 이용된다. 당장 남아공 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중 하나인 [[축구]] 도 Football 도 쓰이지만 Soccer 가 더 많이 쓰이며, 지하철이 존재하는 나라는 아니지만[* 대신 전철이 있다. 다만 요하네스버그 시내의 전철은 슬럼화로 낙후된 시설에 위험해 중산층 이상의 현지인들은 Gautrain 을 주로 쓴다.] Underground 대신 Subway 를 사용한다. 이런 현실 때문인지 영국식 철자법이 사실상 표준 맞춤법의 기능을 하긴 하나 미국식 철자법도 많이 용인되며, 영어 맞춤법의 큰 틀에 어긋나지 않는 이상 오탈자로 취급하여 감점을 시키는 경우도 적다. == 사용자 == 대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를 모어로 하는 자는 '''어느 나라의 영어에도 잘 적응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류층 내지 고학력자들의 억양은 영국의 코크니 억양이나 [[용인발음]]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율리시스 클로(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율리시스 클로]]나, 남아공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 [[디스트릭트9]]의 주인공 [[비커스 반 데 메르베]]가 이 영어를 구사하고 그 외의 등장인물들도 다양한 특색의 억양을 들려주므로 참조하자. [[일론 머스크]], [[샤를리즈 테론]]도 남아프리카 영어의 화자이다.[* 이들은 미국 국적도 가지고 있다.] == 같이 보기 == * [[영국식 영어]] * [[캐나다 영어]] * [[호주 영어]] * [[뉴질랜드 영어]] [[분류:영어]][[분류:아프리카의 언어]][[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