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용인시의 읍, rd1=남사읍)] [include(틀:중국 흠정 24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F51BA, #3F51BA, #3F51BA, #3797e8, #3797e8, #3797e8, #00c499, #00c499, #00c499, #10275d, #10275d, #10275d)" '''{{{#fff {{{+1 남사}}}[br]南史[br]History of the Southern Dynasties}}}'''}}} || || '''{{{#fff 저자}}}''' ||[[이연수(당나라)|이연수]] || || '''{{{#fff 시기}}}''' ||[[7세기]] [[당나라|당]] || || '''{{{#fff 언어}}}''' ||[[한문]] || || '''{{{#fff 권 수}}}''' ||80권 || || '''{{{#fff 분량}}}''' ||363년 ~ 589년 (226년)[br] [[애제(동진)|진애제]] 3년 ~ [[진숙보|진후주]] 원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南史. 중국 정사 [[24사]] 중 하나이다. 남사는 남조(南朝) 즉 [[송(남조)|송]](宋), [[제(남조)|제]](齊), [[양(남조)|양]](梁), [[진(남조)|진]](陳) 4개 왕조의 역사를 하나의 [[기전체]] 체례로 묶어 정리된 정사로서, [[이연수(당나라)|이연수]](李延壽)가 643년에 찬술을 시작하여 659년에 완성하였다. == 편찬 과정 == 사실, 남사의 편찬은 이미 이연수의 아버지 이대사(李大師)에 의해 진행되고 있었다. 그 당시 소자현(蕭子顯)의 『남제서』 위수(魏收)의 『위서』, 심약(沈約)의 『송서』등 단대사가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 이에 이대가는 『오월춘추(吳越春秋)』의 체제에 입각한 남북조의 역사를 [[편년체]]로 엮어 펀찬 사업을 추진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다. 이연수가 남사를 편찬한 것은 바로 아버지의 유업을 이어가기 위한 것이었다. 이연수는 남사와 북사를 편찬하게된 이유를 서전에서 밝혔다. 그는 왕조 교체에 있어서 전대의 사실에 대해 극히 부정적이거나 소략하다는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이연수는 아버지의 장례를 치루고 3년 뒤에 각각 남사, 북사의 편수 작업을 이행하였고, 편년체 대신 기전체로 방식을 바꾸었다. 그는 송, 남제, 양, 진, 위, 북제, 주, 수 8개 왕조의 사서 내용을 동일한 기준과 원칙에 따라 보충하거나 삭제하여 서술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송서]]의 전문이 방대한 부분을 삭제하거나 축소하였고, 반대로 사료가 간결했던 [[남제서]]와 [[양서(역사책)|양서]]는 새로운 내용을 넣어 보충시켰다. == 구성 == [include(틀:남사)] 본기(本紀) 10권, 열전(列傳) 70권으로 도합 8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기 === 1.송본기上제1 - 무제 (武帝)・少帝 2.송본기中제2 - 문제 (文帝)・효무제 (孝武帝)・前廃帝 3.송본기下제3 - 明帝・後廃帝・順帝 4.제본기上제4 - 高帝・武帝 5.제본기下제5 - 廃帝鬱林王・廃帝海陵恭王・高宗明皇帝・廃帝東昏侯・和帝 6.양본기上제6 - 武帝上 7.양본기中제7 - 武帝下 8.양본기下제8 - 簡文帝・元帝・敬帝 9.진본기上제9 - 武帝・文帝・廃帝 10.진본기下제10 - 宣帝・後主 == 의의와 평가 == 남사는 특이하게 표(表)와 지(志)가 없다. 본기에서는 기전체 체례대로 남방 4개 왕조를 나누어 구분했지만, 열전에서는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가계를 묶어 왕조의 구분을 짓지 않고 남조사를 하나의 체제로 만들었다. 남사는 남북조 간 또는 계승 왕조 간의 폄하된 것들을 수정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래서 북사와 마찬가지로 중립성과 일관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이연수가 남사보다는 북사에 치중하여 편찬함으로써 남사는 당시의 원시적인 문장을 정리하였을 뿐이다. [[자치통감]]을 집필한 [[사마광]](司馬光)이나 [[청나라]]의 고증학자 조익(趙翼)은 모두 번잡한 문장은 줄이면서도 내용은 더욱 풍부해진 남사를 '가사(佳史)' 혹은 '양사(良史)'라고 평가하였는데, 일관된 체제와 구수하고 중립적인 서술을 평가한 것이었다. 그러나 남사도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왕명성(王鳴盛)의 『십칠사상각』에서 남사는 팔사(八史)를 필사하였을 뿐 오히려 많은 기록을 삭제하였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익도 남북조 간의 전쟁의 기록이 부실하다고 밝혔다. == 관련 [[고사성어]] == * 강랑재진(江郞才盡) [[분류:남북조시대]][[분류:중국 정사]][[분류:관찬사서]][[분류:기전체]][[분류:통사]][[분류:양(남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