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제 대문 == === [[서울특별시]]의 [[숭례문]]을 지칭하는 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숭례문)] ==== [[남대문시장]]의 준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대문시장)] ==== 남대문 놀이 ==== 둘이 문을 만들고 노래를 부르며 애들을 보낸다. 아이들은 [[기차놀이]]처럼 이으며, 노래를 부르면서 통과한다. 그리고 노래가 끝나면, 문역할을 한 둘이 딱 손을 내려 못가게 막고, 통과하지 못한 아이는 술래가 되는 놀이다. 보통 노래는 이렇다. >동동동대문을 열어라 남남남대문을 열어라 12시가 되면은 문을 닫는다(문이 닫힌다). 지역에 따라서는 남대문이 아닌 [[동대문]]으로 부르기도 한다. 동대문으로 시작하여 남대문으로 끝나는 지역도 있다. === [[개성시]]의 南大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개성 남대문)] === [[평양시]]의 [[보통문]],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의 남문 === [[황해도]] [[봉산군]]의 성불사와 함께 북한의 문화재하면 떠오르는 유적이다. == 별명 == === 바지의 사타구니 부분에 있는 지퍼를 이르는 말 === 옷을 입을 때 이 부분을 깜빡 잊고 잠그지 않는 사람들이 존재해 가끔 민망한 모습을 보일 때 '남대문 열렸어요!'라고 알려줄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확실치 않으나 과거에 지퍼 달린 바지가 대부분 남성복이었다는 점 때문에 남대문의 '남'에 빗대어 말한 것이 최초인 것으로 추정. 또는 몸의 남쪽(하반신)에 있는 지퍼라서 남대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남자에게 있어서 [[음경|국보 1호]]를 드러내는 곳이기에 남대문이라는 말도 있다. 대놓고 바지 지퍼 열렸다고 하면 창피하니까 돌려서 말하는 건데, 요즘은 남대문이라고 해도 바로 알아들으니까 거기서 거기다. 일본에서는 해당 의미로 '[[사회]]의 창(社会の窓)'이라는 단어를 쓴다고 한다. 이 표현의 유래는 1948년에서 1960년까지 방영되었던 NHK의 라디오 프로그램 '인포메이션 아워 사회의 창(インフォメーションアワー・社会の窓)'. 이 방송은 각종 사회문제의 숨겨진 면들을 다루었던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방송 당시 타이틀인 '사회의 창'이 유행어가 될 정도로 히트한 것과 맞물려서 '본래는 숨겨져 있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그 사람의 중요한 부분이 보인다'는 발상에서 이런 표현이 나왔다고 한다. 영어로는 XYZ(eXamine Your Zipper) 또는 fly(주로 Your fly is open이라고 쓴다)라고 한다. === [[R-9D 계통#s-4.4.3.3|R-9DP3 남대문]] === [[파일 벙커]] 탑재형 [[알 파이터]]의 최종형. 최강의 알 파이터 중 하나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흉악한 덩치에서 나오는 피탄 판정과 파일 벙커라는 사거리(...)문제 때문에 아무도 쓰지 않는, 아니 [[야리코미]]하는 변태들이나 차용하는 신세가 된 쓰레기 기체다. 원래 이름은 [[겐로쿠엔]]. 그러나 [[SRPG|턴제 전략 게임]]으로 변한 [[R-TYPE TACTICS II]]에서는 [[결전병기]]로 [[알타입TACTICS2/유닛#s-2.3.2.3.3|통한다.]] === 잉글랜드 국가대표 출신의 감독 [[가레스 사우스게이트]](Southgate)의 별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레스 사우스게이트)]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