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스포츠 관련 인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철권 스트리머, rd1=아빠킹)] ||<-2> '''{{{#white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파일:Screenshot_20200408-114215_NAVER.jpg|width=440]] || ||<-2> '''{{{#white 프로필 }}}''' || || 이름 || 남기웅 || || 로마자 이름 || Nam Ki-Woong || || 생년월일 || [[1995년]] [[11월 18일]] || || 출신지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탄방동]][* 친구들이 대전에서 자신의 경기를 응원하기 위해 상경했다고 언급함.] || || 종족 || [[프로토스]] || || 現 소속 || 무소속 || || ID || '''Hurricane'''[* [[군단의 심장]] 이후부터 사용한 ID. [[자유의 날개]] 이전까지는 Tear를 사용했다.] || || 2013 WCS 순위/점수 || 공동 123위/250점 || || 2014 WCS 순위/점수 || 공동 108위/350점 || || 2015 WCS 순위/점수 || 64위/625점 || || 2016 WCS 한국 순위/점수 || 공동 25위/1200점 || || 2017 WCS Korea 순위/점수 || 26위/800점 || || 2018 WCS Korea 순위/점수 || 24위/850점 || || 2019 WCS Korea 순위/점수 || 13위/2925점 || || 2020/21 EPT Korea 순위/점수 || 22위/575점 || || 2021/22 EPT Korea 순위/점수 || 20위/345점[* [[https://liquipedia.net/starcraft2/ESL_Pro_Tour/2021/22/Standings/KR|참고]]]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C2Hurricane, 크기=25)] [[https://instagram.com/giung111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sc2hurricane|[[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5]]]] [[http://afreecatv.com/ariari1118|[[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5]]]] || ||<-2> 소속 기록 || || [[fOu]] || 2012 ~ 2013-12-25 || || [[삼성 갤럭시 칸]] || 2014-02-20 ~ 2016-??-?? || || Meliora Esports || 2018-04-10 ~ 2018-08-11 || || Brave Star Gaming || 2019-06-14 ~ 2020-06-15 || || Team LP || 2020-08-22 ~ 2020-10-16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역대 GSL 4강 진출자)]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2013년 * [[2013 HOT6 GSL Season 1]] [[코드 A]] 1라운드 * 팀리그 * [[2012 GSTL Season 1]] FXO.KR 4강 - 출전: 1회/승점: 0승 1패 * [[2012 HOT6 GSTL Season 2]] FXO.KR 우승 - 출전: 3회/승점: 6승 2패 * [[2012 HOT6 GSTL Season 3]] FXO.KR 우승 - 출전: 5회/승점: 5승 4패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WCS Korea Season 1]] CL 3라운드 → Group Stage/PL 승격 *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PL 32강/CL 1라운드 * [[2013 WCS Korea Season 3]] CL 1-12th *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32강 * Hong Kong Esports Tournament '''우승'''(4:2 [[유충희]]) * 팀리그 * [[2013 BenQ GSTL Season 1]] [[FXO.KR]] * 2014년 * [[2014 HOT6 GSL Season 1]] 코드 A 48강 * [[2014 HOT6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Hong Kong Esports Tournament 시즌 2 준우승(3:4 [[신희범]]) * 팀리그 *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 삼성 갤럭시 칸 5위 - 승점: 2승 6패 * 2015년 * [[SBENU SSL 2015 Season 2]] 16강 * [[2015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2015 DreamHack Open: Stockholm 16강 (VS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 1:2)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2016년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1]] 9-12th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1:2) * [[2016 HOT6 GSL Season 1]] 코드 A 60강 (VS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2:3)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2]] 챌린지 * [[2016 HOT6 GSL Season 2]] 와일드카드 코드 S 32강 * 2017년 * [[VSL|2017 VSL Season 2]] 8강 (VS [[이신형]] 0:3) * [[2017 GSL Season 3]] 코드 S 16강 * Master's Coliseum 2 8강 (VS [[어윤수]] 1:3) * 2018년 * [[2018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IEM Season XII - World Championship]] 12강 (VS [[이병렬]] 0:3) * [[2018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2018 Master's Coliseum 8강 (VS [[주성욱]] 2:3) * 2019년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2019 마운틴듀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8강 (VS [[원이삭]] 0:3)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2]] 코드 S 4강 (VS [[박령우]] 1:4)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2020년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 12강 (VS [[주성욱]] 0:3) *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1]] 코드 S 24강 * [[2020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3]] 코드 S 24강 * [[2020 GSL Super Tournament Season 2]] 16강 (VS [[전태양]] 2:3) * 2021년 * [[IEM Katowice 2021/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1]] 36강 (VS [[변현우(프로게이머)|변현우]] 1:2)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1]] 코드 S 8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3) * [[2021 LG 울트라기어-HOT6 GSL Season 2]] 코드 A 16강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2:3) == 상세 == 개인리그에서는 아직까지 큰 빛을 보지는 못했지만, [[GSTL]]에서는 [[FXO.KR]]의 [[프로토스]] 라인을 혼자서 모두 담당할 정도로 엄청난 존재감을 가진 선수. 아마추어때(자유의 날개 시절) AliveFan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했으며 엄청난 양의 연습량으로 당시 아마추어 고수들 사이에서 꽤 유명했다. 2012년 GSTL부터 출전하기 시작해 [[이형섭]]이 플레잉 감독을 한 이후부터 FXO 프로토스 라인의 공백을 혼자서 메꾸기 시작한다. 게다가 팀의 위기상황마다 고동녕 못지않은 멀티킬을 올려주며 팀의 주요멤버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FXO.KR]] → [[fOu]] 해체 이후 [[2014년]] [[2월 20일]] 부로 [[프로토스]] 진영의 보강을 위해 [[삼성 갤럭시 칸]]이 영입했으며, 영입 직후부터 프로리그에 출전하면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프로리그에서 2승 6패의 부진한 모습을 보인 데다, 정작 13연패의 [[송병구]]가 관짝을 차고 나오면서 입지가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그나마 [[GSL]]에서 생애 처음으로 [[코드 S]]에 진출 성공한 것은 위안거리. 허나 [[7월 31일]] 부로 '''[[백동준]]'''이 정식으로 입단하면서, 본인의 분발이 더욱 요구되는 상황이다. == 플레이스타일 == 뚜렷한 특징 없는 올라운드 플레이형의 스타일로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와 상당히 비슷한 느낌이 나는 선수로 평가된다. 동족전 승률이 꽤 괜찮은 편이라, 프로리그 시절에는 프로토스 저격용 카드로 많이 출전했다. 특히 [[조지현]]에게는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압살을 하는 인간상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거기다가 원이삭과의 8강에서도 3:0 스코어로 압살하는 폼을 보여주기도 했다. == 연도별 경기내용 == [[남기웅/2012]] [[남기웅/2013]] === 남기웅/2016 === 시즌1 양대리그 예선을 모두 뚫었다. 스타리그에서는 김대엽, 변현우에게 패하긴 했지만 김준호를 잡아내기도 했었고, GSL은 코드 A에서 김민철에게 2:3으로 패하며 광탈. 프로리그에는 거의 출전을 못하고 있다. 출전한 경기는 2전 전패. 시즌2 양대리그 예선을 다시 뚫었으나, 스타리그는 챌린지에서 2승 7패, 코드 A는 이병렬에게 3:1로 패하며 양대백수가 되었다...가 코드 S의 마지막 한 자리를 정하는 와일드카드에서 극적으로 살아남으며 리그가 다시 생겼다. 3라운드 1주차에 고병재를 만나 스타리그 챌린지의 리매치가 성사되었지만, 고위 기사를 뭉쳐놓다가 EMP를 직격으로 맞는 실수를 해버리며 패배. === 남기웅/2017 === [[2017 GSL Season 3]] 예선에서 [[Neeb]]을 2:1로 2번 잡고 32강에 진출했고, 32강에서 [[사샤 호스틴|Scarlett]]과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을 잡고 생애 첫 GSL 16강에 진출했다. GSL 예선에서 Neeb을 제압하고 32강에서 Scarlett까지 제압하는 모습에 [[https://pgr21.com/?b=10&n=308702|기웅대원군]]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16강에서는 김대엽만 2번 만나 모두 2:1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판짜기 능력은 좋았으나, 그걸 대응하는 김대엽이 너무 잘해서 안타까웠다는 평이 많았다. === 남기웅/2019 === [[2019 마운틴듀 GSL Season 2]] 32강에서 과거 팀 동료였던 [[강민수(프로게이머)|강민수]]만 두 번 잡고 두 번째로 GSL 16강에 진출, 16강에서도 최고의 꿀조라는 A조에서 튀지 않는 경기력으로 [[신희범]], [[정명훈(프로게이머)]]을 꺾고 생애 첫 8강에 진출했다. 8강 상대는 [[원이삭]]. 남기웅의 최근 프프전 승률이 매우 나쁜데다가 32강, 16강에서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에게 무기력하게 지기도 했고, 원이삭에게도 [[2019 마운틴듀 GSL Super Tournament Season 1]] 8강에서 셧아웃을 당해서 그다지 승산이 없어보였는데... '''이겼다.''' 그것도 3:0으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원이삭의 경기력이 좋지 않았던 면도 있지만 남기웅의 꼼꼼한 플레이는 팬들에게 인상깊게 남은듯. 4강에서 [[박령우]]의 판짜기에 지속적으로 경기가 꼬이면서 올인을 조기에 막고 승리한 2세트를 제외한 1,3,4,5세트에서 패배하며 4강에서 시즌을 마감한다. 그렇지만 남기웅은 이번 시즌 4강을 통해서 만년 유망주라는 꼬리표가 제거되고 블리즈컨 경쟁을 위한 많은 포인트를 얻었으며 좋은 경기력으로 다음 시즌을 충분히 기대하게 만들었다. 2019 마운틴듀 GSL 시즌3에서 32강에서 [[김대엽]],[[김도욱]],[[사샤 호스틴]]이 소속된 죽음의 조에 편성되어 아쉽게 최종전에서 탈락한다. 이후 슈퍼토너먼트 예선에서도 탈락하며 블리즈컨 진출이 무산된다. === 남기웅/2020 ===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IEM Katowice 2020]] D조에서 무적포스를 보이는 [[세랄]]을 상대로 귀신같이 2:0 승리했다. 기웅대원군 폼은 어디 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도 세랄을 상대로 2:0 승리가 있었기 때문에 세랄과 남기웅의 공식전적은 4:0으로 남기웅이 앞선다. 그렇지만 12강에서 [[주성욱]]에게 0:3으로 완패하며 대회를 마감한다. 그 후 다수의 온라인대회에서 아쉬운 플레이를 많이 보였다. == 기타 == * [[FXO.KR]] 시절 팀 내부전의 독보적인 1위였다고 한다.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고병재]]도 남기웅만큼은 만나기 싫다고 말할 정도라고 하니...-- *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등장곡은 [[프리템포]] - Prelude. * 다음팟에 동명의 닉네임(남기웅)으로 '''[[맵핵]]'''플레이 방송을 하고 있는 유저가 있다.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2016 HOT6 GSL Season 1]]에서 [[송병구]]의 [[송병구/2016년|코드 S진출]]로 인한 에피소드로 인해 [[카락스|기락스]]라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159076&exception_mode=recommend|별명이 붙었다.]] 이 때문에 남코치라는 별명이 추가 되었다. * [[어윤수]],[[박령우]]에 이어 이PD의 사심방송의 세번째 희생자가 되었다. --막판 반전이 소름-- * NEO Star League 2017에서 과거 황규석이 소속되어 있는 Team LeiFeng의 로스터에 이름이 올려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정규 시즌에도 참여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 2017 GSL 시즌 3 인터뷰에서 난 이럴때 상처 받는다는 주제에 댑변하길 예전엔 삼성 아이돌로 불렸다면서 자신은 선수라 불리고 싶다고 대답했다. * 위와 같은 인터뷰에서 팬들에게 한마디를 남길때는 모든 게이머들이 열심히 하니까 선수비하는 자제하고 응원을 부탁했다. * [[백동준]]의 개인방송에서 언급이 됐는데 2022년 현재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라고 한다. [[분류:1995년 출생]][[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