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亂後到崑山感作 [[베트남어]]: Loạn hậu đáo Côn Sơn cảm tác[* 로안 허우 다오 꼰 선 깜 딱] [목차] == 개요 == [[베트남]]의 유학자이자 후 레 왕조(Nhà Hậu Lê , 後黎朝, 1428년 - 1788년)의 개국 공신 [[응우옌 짜이]]([[Nguyễn]] Trãi, 阮廌(완채, 혹은 완치))가 지은 [[한시]]. 난후도곤산감작(亂後到崑山感作)이란 '난후(亂後) 곤산(崑山)에 들러 느낀 점'라는 의미로 베트남 한문학의 대표적인 [[시]]이자 민족문학의 한 갈래에 속한다. 응우옌 짜이가 살던 시기 베트남은 1408년 [[명나라]]의 침공으로[* 원래 베트남은 1400년까지 쩐 왕조(Nhà Trần, 陳朝)의 통치 하에 있었는데 쩐 왕조의 외척이었던 권신 [[호 꾸이 리]](Hồ Quý Ly, 胡季犛(호계리))가 왕위를 찬탈해 호 왕조(Nhà Hồ, 胡朝)를 세웠다. 명은 호 꾸이 리의 왕위 찬탈을 문제 삼으며 쩐 왕조를 복귀시키겠다는 명분을 앞세워 베트남으로 쳐들어왔고 호 꾸이 리는 패배하여 [[베이징]]으로 압송되어 처형당했다. 명은 잠시 동안 쩐 왕조를 복귀시켜 놓은 듯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쩐 왕조를 폐지시키고 베트남을 중국령으로 편입시켜 버린다.]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며 명의 가혹한 수탈과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베트남 곳곳에서 저항 운동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응우옌 짜이 역시 타인호아(Thanh Hóa) 지방의 토호였던 레 러이(Lê Lợi, 黎利(여리), 훗날의 [[레 태조]](黎 太祖)의 책사 역할을 하며 1418년 람선에서 봉기한 이후 10여년에 걸친 무장 독립 투쟁에 가담했다. 응우옌 짜이는 레 러이가 내세운 사상적 기반과 실질적 전술을 만든 사람으로 1428년 명군이 베트남에서 레 러이에게 패배하고 철수할 때까지 전장에서 살았다. 난후도곤산감작은 그의 저서 <억제유집(Ức Trai Thi Tập, 抑齊遺集)> 1권에 수록되어 있으며, 독립 전쟁 와중에 잠시 곤산(崑山)에 들렀을 때 지은 칠언 율시 형식의 시이다. 전란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고 평화로운 삶을 이루고자 하는 응우옌 짜이의 소망이 잘 드러난다. 문학사적으로 단순한 한시가 아니라 [[베트남어]]로 읽는 시인 국음시(國音詩)의 한 갈래에 속한다는 의의가 있다. == 전문 해석 == >一別家山恰十年 >Nhất biệt gia sơn kháp thập niên >집과 산을 한번 떠난지 십 년이나 지나 >歸來松菊半脩然 >Quy lai tùng cúc bán tiêu nhiên. >이제 돌아와 보니 소나무와 국화꽃이 반이나 모지라졌네. >林泉有約那堪負 >Lâm tuyền hữu ước na kham phụ >임천(林泉)에서 지내리라는 언약 어찌 저버리겠나. >塵土低頭只自憐 >Trần thổ đê đầu chỉ tự liên >먼지 쌓인 땅에서 머리 숙이면서 내 자신이 가여울 따름이다. >鄕里纔過如夢到 >Hương lí tài qua như mộng đáo >향리(鄕里)를 잠깐 지나니 꿈에 온 듯한데. >干戈未息幸身全 >Can qua vị tức hạnh thân tuyền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다행히 몸은 성하구나. >何時結屋雲峰下 >Hà thời kết ốc vân phong hạ >어느 때에 구름 서린 봉우리 아래에다 집을 얽고서 >汲澗烹茶枕石眠 >Cấp giản phanh trà chẩm thạch miên >산골 물 길어다가 차 끓이고 돌을 베고서 잠들까. 독립 운동을 위해 집과 고향을 떠난 후 황폐해진 고향과 조국의 모습, 그리고 자연에 귀의하고 싶다는 본인의 소망이 대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박하게 차 마시고 유유자적하게 살고 싶지만 풍전등화 앞의 조국을 위해 자신의 소망을 접고 떨치고 일어난 시인의 우국충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에서 승리한 후 소박하고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고 싶은 소망이 간절하게 나타난다.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잦은 외침을 받았던 한국인들 입장에서는 이 시가 공감되는 점이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꽤 잘 알려진 한시이기도 하며, 사실상 한국에 알려진 유이한 베트남 문학 작품이다.[* 다른 하나는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 병사로 출정해 싸웠던 바오 닌이 전후 베트남의 모습을 담은 '전쟁의 슬픔' 이다.] 시 자체는 [[동진]] 시대 시인인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영향을 받았다. == 여담 == 응우옌 짜이는 유학자인 동시에 한 왕조의 개국공신이라는 점, 그리고 자신의 주군을 왕으로 만드는데 큰 공헌을 하고 왕조의 사상과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정도전]]과 매우 유사하다. 왕조를 개업하고 난 후의 행적도 참 비슷한데, 후 레 왕조에서 [[승상]] 자리에까지 올랐고 태조가 승하한 후 시에 적힌 본인의 소망대로 전원에 은거하였으나 태조의 뒤를 이은 [[태종(레)|태종]]이 응우옌짜이의 집을 방문했다가 급사해 버리자 반대 세력들로부터 태종의 암살을 기도 했다는 모함을 받았고, 본인은 처형당하고 삼족이 멸족당했다. 그리고 [[성종(레)|성종]] 때 금자영록대부(金紫榮祿大夫)로 신원 복귀됐다. [[분류: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