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허난성의 지급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허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000,#ddd 허난성}}}]]의 지급시'''}}} || ||<-3> {{{#ff0 '''{{{+1 [ruby(南阳, ruby=Nányáng)][ruby(市, ruby=Shì)] }}}'''[br]난양시 | Nany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南阳,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허난성]] 난양시 워룽구 중저우중루291호[br]河南省南阳市卧龙区中州中路291号 || ||<-2> '''{{{#ffff00 지역}}}''' || [[화중]] || ||<-2> '''{{{#ffff00 면적}}}''' || 26,509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시할구 1현급시 10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9,713,112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66.41명/km² || ||<-2> '''{{{#ffff00 서기}}}''' || 주스시(朱是西) || ||<-2> '''{{{#ffff00 시장}}}''' || 왕즈후이(王智慧)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616억 4726만 ^^(2020)^^ || || '''{{{#ffff00 1인당}}}''' || $6,346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월계]] || || '''{{{#ffff00 시목}}}''' || [[칠엽수]] || ||<-2> '''{{{#ffff00 차량번호}}}''' || '''豫R''' || ||<-2> '''{{{#ffff00 약칭}}}''' || '''阳''' || ||<-2> '''{{{#ffff00 옛 명칭}}}''' || '''宋州'''[br]'''归德府'''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1'''13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77''' || ||<-2> '''{{{#ffff00 우편번호}}}''' || '''473'''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A-13''' ||}}}}}}}}} || ||<-3> [[http://www.nanyang.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난양.jpg|width=450]] 시가지 전경 [[파일:난양 중국.jpg|width=450]] 남양 무후사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중부 [[허난성]] 남부의 [[지급시]]. 서부의 위구르, 티벳을 제외한 '한족의 중국'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뤄양]]에서 남쪽으로 200km, [[정저우]]에서 서남쪽으로 260km, [[시안시|시안]]에서는 동남쪽으로 35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고대부터 교통, 전략의 요충지였다. 현재도 관할 인구는 1027만명이고 시내 인구만 해도 200만명인, 중국 전체에서도 결코 작지 않은 도시이다. 삼국지에는 '''[[완성]]'''(宛)으로 등장하는데, [[후한]] 당대에는 전국에서 인구가 많은 군이었다. 완이라는 지명은 오늘날까지도 시내의 완청구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지명에서부터 삼국지의 향기가-- 시내에는 완청구 말고도 워룽([[와룡]])구가 있는데, 와룡 선생으로도 알려진 [[제갈량]]이 어린 시절을 보낸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시내 남쪽에는 그의 사당인 [[무후사]]가 있고 그곳에는 [[악비]]가 쓴 출사표가 새겨져 있어 유명하다. 시가지 동쪽에는 국내선 공항인 난양 공항이 있다. 여담으로 [[유비]]가 형주 자사 [[유표]]에게 의탁할 당시에 현령으로 지내던 신야가 바로 난양 지급시 관할하에 있다. 시내 중심부에서 서남쪽으로 70km 떨어진 [[신예현]]이 바로 그곳이다. 난양 이웃의 지급시인 [[신양시]]가 아니다. == 역사 ==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었고 또한 신석기 문화 중 하나인 '''양사오 문화(仰韶文化)'''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기도 하다. 이렇게 오랫동안 사람이 거주한 지역이다보니 [[주나라]] 때 부터 이미 도시가 형성되어 있었다. 참고로 난양(南阳)이라는 이름은 주나라 때에 생겨나서 현재까지 '''단 한 번도 ''' 바뀌지 않고 유지된 이름이다. 그래서 [[춘추전국시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여러 번왕국들이 난양시를 통치하였으며,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가 이들을 모두 통합한다. 그리고, [[제갈공명]]의 [[출사표]]의 구절에서도 자신의 고향인 '남양' 을 언급하는데, '''"신은 본래 하찮은 포의(선비)로 남양 땅에서 논밭이나 갈면서 난세에 목숨을 붙이고자 하였을 뿐, 제후를 찾아 일신의 영달을 구할 생각은 없었사옵니다."''' 라고 언급한다. [[한나라]]때는 중국의 주요 철 제련지로 번성하였으며, 당시 난양시는 [[뤄양시]], [[한단시]], [[쯔보시]], [[청두시]]와 함께 오도(五都)라고 불리는 지역이었다. [[광무제]] 유수 일가의 고향 및 본적지이기도 하다. 또한 상술한 삼국지로도 유명한 지역이기도 하였다. [[형주]] 북부(지금으로 따지면 [[후베이성]])에 속해있다가 언젠가부터 [[허난성]]으로 소속이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신해혁명]] 때에는 [[허난성]] 자체가 [[청나라]] 조정의 손을 들어 준 지역이기 때문에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맹공을 받은 지역이었다. [[1948년]], [[중국공산당]]이 점령하였으며 [[1994년]]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정저우-[[샹양]]간 고속철이 지나고, 시안-신양간 일반철도가 지난다. 시가지 동쪽 끝에는 난양 장잉 공항(南阳姜营机场)이 있다. 중국의 주요 대도시를 연결하며, 국제선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