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zafiGBrFkRM, height=280)]}}}|| [[難]][[讀]][[症]] / Dyslexia 듣고 말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문자]]를 판독하는 데에 이상이 있는 증세. 특수교육학에서는 읽기학습장애로 부르며 [[학습장애]]의 일종으로 분류한다. == 설명 == 읽기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별로 어려움 없이 하지만, 글자를 눈으로 보고 단어로 인식, 그리고 그 의미와 내용을 이해하는 복잡한 과정의 결합이다. 예를 들어 '[[아빠]]'라는 글자를 읽으려면 * 저 시각적인 기호를 ㅇ, ㅏ, ㅃ, ㅏ로 분리할 수 있어야 하고, * ㅇ과 ㅏ를 각각 비슷하게 생긴 ㅁ과 ㅑ와 헷갈리지 않고 구별할 수 있어야 하고 * ㅇ, ㅏ, ㅃ, ㅏ를 각각에 해당하는 한국어 소리에 대응할 줄 알아야 하고 * 그래서 그 소리가 '아빠'를 뜻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고 * 이 모든 과정이 순식간에 자동적으로 아무런 지연이 없이 일어나야 한다. 난독증 환자들은 이 과정이 늦어서 문자를 읽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테면 '아빠'의 '빠' 부분을 뇌가 해석하고 있는데 [[뇌]]의 다른 부위에서는 '아'의 시각적 정보를 이미 잊어먹어 결과적으로는 '아빠'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는 자형이 빽빽한 문자를 볼 경우, 아예 다른 글자로 인식해서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 정보와 연결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난독증 환자라고 해서 머리가 나쁜 것은 아니다. 실제 난독증 환자 중에서 언어능력에만 이상이 있을 뿐 암산이나 기계조작에 능한 경우도 있으며 머리가 비상한 사람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계에는 난독증이 오히려 '''[[천재]]들을 만든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이유로는 책을 읽을 수 없게 되면서 논리를 관장하는 좌뇌가 약한 걸 커버하기 위해 우뇌가 발달하며 다른 사람보다 월등한 창의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컴퓨터로 치자면 일반인이 txt 파일 같이 문자로 글을 머리속에 넣는 반면에 난독중 중에는 bmp 같은 그림으로 인식해서 읽어들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쯤 되면 이미 머리가 좋다 나쁘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저 정보 처리 방식이 다른 것이다. 이런 계통의 난독증은 글자 자체는 잘 읽는데 [[글자체]]가 달라지면 읽는 데 엄청 애먹는다고 한다. [[상형문자]]의 성격이 강한 [[한자]]를 읽을 수는 있지만 익숙하게 사용하지는 않는 사람이, [[해서]]체만 잘 읽고 [[행서]]체나 [[초서]]체를 잘 읽어내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다.[* 여담으로 중국에서는 난독증 인구가 무려 1천 500만 명에 이른다.] 보통 사람에게 인위적으로 이와 같은 능력을 부여하는 훈련도 있는데, 이게 바로 '''속독법'''이다. 글자도 영상의 형식으로 덩어리채 인식하고 해석한다는 의미에서 포토리딩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사실 체계적인 속독법 연습을 하지 않은 사람도 처음에는 글자를 하나씩 읽지만 책을 많이 읽다 보면 자신이 한 단어나 여러 단어를 한꺼번에 읽어들이고 있음을 깨닫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사과]]'라는 단어가 있다면 처음에는 '사'라는 글자와 '과'라는 글자를 각각 읽고 뇌에서 이를 붙여서 '사과'라는 단어로 치환하고 이것을 과일 사과라는 개념과 연결하지만 책읽기에 익숙해질 경우 '사과'라는 형태 자체를 보고 바로 그 과일의 개념을 연상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경향은 [[외국어]], 그 중에서도 [[한문]]을 읽을때 도드라지는데 특정 단어나 구절을 덩어리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자 하나 하나는 못 읽더라도 한 단어나 문장을 통으로 보면 이해가 될 때가 많다. 책읽기에 더 익숙해지면 두세 개 단어를 한꺼번에 받아들여 한꺼번에 의미와 형태를 연결할 수도 있는데, 속독법이란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이런 과정을 의도적으로 단축시키는 기술에 가깝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는 직원의 50% 이상이 난독증을 갖고 있다는 [[도시 전설]]이 미국 인터넷에서 널리 퍼진 적이 있었는데, '''거짓'''으로 밝혀졌다. 상식적으로 판단해도 평균 학력의 대졸자들이 많이 입사하는 NASA에서 [[SAT]] 대학 입시를 통과해야 하는데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다. 난독증 환자를 위한 [[http://view.koreaherald.com/kh/view.php?ud=20121008000699|폰트]]가 나왔다고 한다. 한국에서 초등학생 2만 3491명이 난독증인 것으로 의심되거나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3023778|#]] SBS 드라마 [[별을 쏘다]]에서 [[조인성]]이 연기한 구성태라는 캐릭터가 난독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오고, 인도 영화 [[지상의 별처럼]]에서 난독증이 있는 아이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ADHD]]와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오진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 사례(유명인) == ## 123 ABC 가나다 순 * [[Lil Pump]] * [[MC 스나이퍼]] * [[가이 리치]] * [[개빈 뉴섬]] * [[김신영]] * [[노엘 갤러거]] * [[니콜라스 빈딩 레픈]] *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 * [[대니얼 파우터]]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마들렌 테레즈 아멜리에 요세피네]] * [[마야 호크]] * [[무하마드 알리]] * [[베아트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 7살이 되던 해 난독증을 진단 받았으며, 그로 인해 학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 [[벨라 손]] * [[빅토리아 잉리드 알리스 데지레]] * [[성룡]] * [[셀마 헤이엑]] * [[셰어]] * [[스티브 맥퀸]] * [[스티브 잡스]] - 애플 창업자 * [[스티븐 네이스미스]] * [[스티븐 스필버그]]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애거서 크리스티]] * [[앤 밴크로프트]] * [[앤드루 키시노]] * [[양현석]] - [[힐링캠프]]에서 나와 설명하길, 태어나서 책을 한 권도 끝까지 읽어본 적이 없다고 한다. * [[엠아이에이]] * [[오지 오스본]] * [[올랜도 블룸]] - 학창시절에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지금도 대본을 읽어주고 대필해 줄 어시스턴트를 두고 있다고 한다. * [[우피 골드버그]] * [[잉그바르 캄프라드]] - [[이케아]] 창업자 * [[재욱임]] * [[잭(인터넷 방송인)]] - 레볼루션하트 소속 * [[제니퍼 애니스턴]] * [[제레미 브렛]] - 영국 그라나다판에서 셜록 홈즈를 맡아서, 홈즈 그 자체로 불렸던 전설적인 배우.[* 어린 시절 난독증이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노래를 잘해서 대신 성가대 활동을 많이 했다고 한다.] * [[제이 레노]] * [[제이미 올리버]] * [[조달환]] * [[조슈아 웡]] * [[조지 W. 부시]] * [[주피디|김희주]] * [[채닝 테이텀]] * [[카라 델러빈]] * [[카야 스코델라리오]] * [[칼 16세 구스타프]] :스웨덴 왕가 유전병이다 * [[칼 필립 에드문드 베르틸]] * [[케이틀린 제너]] * [[키아누 리브스]] * [[키이라 나이틀리]] * [[토머스 에디슨]] * 토미 힐피거 - 패션 브랜드 TOMMY HILFIGER 창업자 * [[톰 크루즈]] - 난독증이 있었다.[* [[사이언톨로지]] 신도이던 사람이 자신의 난독증을 고쳐주어 사이언톨로지 신도가 되었다. 이 때문에 한때 너무 사이언톨로지를 맹신하는 모습을 공개석상에서 보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 [[톰 홀랜드]] * [[팀 버튼]] - 어릴 땐 난독증이 있었다고 한다. * [[패트릭 뎀시]] * [[헨리 윙클러]] * 헨리 힐 - 영화 [[좋은 친구들]]의 실제 주인공. == 인터넷에서 == 위의 질병에서 생겨난 신조어로, 글의 요지를 잘못 알거나 말귀를 못 먹는 사람, 더 나아가서는 [[동문서답]] 수준의 댓글을 다는 사람을 조롱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글자를 잘못 읽은 경우나 글을 읽기 위한 지식이 부족한 경우 모두 가리킨다. 글자를 잘못 읽은 사례는 비교적 드물고, 대다수는 [[오독(독해)|오독]] 현상이다. 해당 문서 참고. == 기타 == 난독증이라고 하기에는 뭐하지만 특정 글자[* 특히 획수가 많고 복잡한 글자.]를 잘못 읽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글/문제점 및 논쟁]] 문서 참고. 다른 이유로는 시력 등의 이유로 잘 안 보이는 경우가 있다. 간단하지만 생김새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도 있다.[* b(B)와 d(D)를 헷갈린다든지... 트윈, 트원, 트왼이나...] 같은 이유로 지금은 둘 다 없어졌지만 파주시 버스 8800번(금촌-서울역)과 8880번(교하-일산-서울역) 간에도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외에 서울 버스 5614 - [[서울 버스 6514]]같이 숫자가 복잡하고 유사한 패턴이면 그럴 확률이 있다. [[청구역]]의 옛 명칭이 [[광희문역|광'''희'''문역]]이었는데 [[수도권 전철 5호선|같은 노선]]에 단 몇 정거장 차이로 [[광화문역|광'''화'''문역]]이 있기 때문에 역명이 바뀌었다. 비슷한 예로 일부러 엉터리로 쓰는 [[야민정음]]이 있다. 수학에도 난독증과 비슷한 현상이 있는데 이는 [[난산증]]이라고 한다. 난독증 학생을 지원하는 [[조례]]를 제정한 [[지방자치단체]]가 많다. 해당 조례들은 대체로, 난독증 학생 조기 선별 검사비 지원, 학생 및 학부모 상담, 의료기관 등에의 연계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의료 관련 정보]] * [[심리학 관련 정보]] [[분류:심리학]][[분류:신경발달장애]][[분류:속어 유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