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성도]][[분류:광시 좡족 자치구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중국의 성도)] [include(틀:광시 좡족 자치구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000,#ddd 광시 좡족 자치구}}}]]의 수부'''}}} || ||<-3> {{{#ff0 '''{{{+1 [ruby(南宁, ruby=Nánníng)][ruby(市, ruby=Shì)] | [ruby(南宁, ruby=Naam4ning4)][ruby(市, ruby= Si5)] }}}'''[br]난닝시 | Nanni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南宁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시 칭슈구[br]자빈루1호[br]广西壮族自治区南宁市青秀区嘉宾路1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22,189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7구 1현급시 4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8,741,584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94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좡족|장족]] 50.87% | [[한족]] 46.93%[br][[요족]] 1.47% | [[묘족]] 0.14% || ||<-2> '''{{{#ffff00 HDI}}}''' || 0.776 ^^(2016)^^ || ||<-2> '''{{{#ffff00 서기}}}''' || 눙성원(农生文)^^([[좡족|장족]])^^ || ||<-2> '''{{{#ffff00 시장}}}''' || 랴오리융(廖立勇)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646억 9,200만 ^^(2019)^^ || || '''{{{#ffff00 1인당}}}''' || $8,917 ^^(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부상화]] || || '''{{{#ffff00 시목}}}''' || [[아몬드|아몬드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桂A'''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邕'''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5'''0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71''' || ||<-2> '''{{{#ffff00 우편번호}}}''' || '''53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X-01''' ||}}}}}}}}} || ||<-3> [[http://www.nanning.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난닝.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화남]] [[광시 좡족 자치구]]의 수부이자 [[지급시]]. == 특성 == 난닝(南宁)은 '남쪽 지방의 안녕을 빈다'라는 뜻으로 서쪽의 안녕을 비는 의미인 [[칭하이성]]의 [[성도]] [[시닝]](西宁)과 그 지명의 유래가 비슷하다. [[구이린시]](桂林市)에서 서남쪽으로 200km, 광둥성 [[광저우시]](广州市)에서 서쪽으로 400km 떨어진 난닝분지와 융장평원에 위치한 도시로 [[주강]](珠江)의 지류인 융강(邕江)이 도심을 굽어 흐른다. 도시 서쪽은 [[충쭤시]](崇左市)와 접하며 북쪽은 [[바이써시]](百色市), [[허츠]]시(河池市), 라이빈시(来宾市) 동쪽은 구이강시, 남쪽은 친저우시와 팡청강시에 접한다. 관할 인구는 695만명으로 자치구의 수부이고, 도시 자체에만도 무려 350만명이 거주하는 대도시이다. 다만 [[좡족]] 자치구의 수부인데도 [[한족]]이 많이 거주하여 좡족이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 사실 광서의 3분의 2 가량이 한족이다.(...)] 남쪽의 더운 [[열대 기후]] 덕애 [[사탕수수]] 등의 열대 작물이 특산물이다. == 역사 == 고대시대에 광시좡족자치구 일대는 백월(百越)의 땅이었다. [[동진]] 시대인 318년에 위린군(郁林郡)에서 진씽군(晋兴郡)을 분리하여 [[광저우]] 관할에 두었는데 행정중심지는 현재 난닝시가 있는 진씽현(晋兴县)이 된것이 도시의 모태가 되었다. [[수나라]] [[개황]]때 진씽현은 쉬안화현(宣化县)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당나라]] 초대황제 [[당고조]] 때에는 난진저우(南晋州)로 632년 [[당태종]]시대에는 융저우(邕州)로 바뀌었는데 융저우에 군사행정기구인 [[도독부]](都督府) 를 설치하면서 이곳이 예전부터 행정중심지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북송]] 시대인 1076년에 [[베트남]]의 [[리 왕조]]와 전쟁이 일어나자 도시는 [[베트남 공화국군|남베트남군]]에게 포위되기도 하였다. 이후 [[원나라]] 시대인 1279년에는 융저우(邕州)라는 이름이 융저우루(邕州路)로 바뀌었는데 원나라의 행정구역인 후광(湖广)행중서성에 속했으며 1324년에는 ~~[[난닝구]]~~ '''난닝루(南宁路)'''라는 이름을 가지면서 '''난닝'''이라는 이름은 지금까지 이어오고있다. [[명나라]] 시대에는 [[구이린]]에 승선포정사사(承宣布政使司)를 두고 [[청나라]] 초기에는 지방을 순시하며 군정과 민정을 감찰하는 지방장관직인 [[순무]](巡抚)가 구이린에 있는 등 구이린이 중심지이며 광시성의 성회(省会)였다. [[중화민국]]시대인 1912년 구이린에서 난닝으로 [[천도]]하면서 난닝이 광시성의 성회가 되었다. 하지만 [[국공내전]] 등 [[전쟁]]으로 인해 다시 24년만인 1936년 10월 구이린으로 옮겼다가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설립되면서 난닝이 광시성의 성회가 되었다. [[1950년]] 1월에는 지금의 난닝시(南宁市)가 설치되었으며 2월 8일에는 광시성인민정부가 설립된것과 동시에 성회급도시(수부)로 지정되었다. 1952년 12월에는 난닝이 속한 지역이 구이시동족자치구(桂西僮族自治区)[* 1956년 구이시동족자치주(桂西僮族自治州)로 격하된다.][* 壮族(좡족)은 송나라시대부터 僮族(동족)이란 명칭이었으나 머슴/노예와 같은 부정적인 의미가 있어서 1965년 발음이 같은 (壮 Zhuang)으로 개칭되었다.]였으나 1958년 3월 광시동족자치구(广西僮族自治区)가 설치되고 1965년 지금의 광시좡족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근현대에 와서는 [[1979년]] [[중월전쟁]] 당시 [[중국군]]의 침공루트로 사용하기도 했고, 2019년 2월에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당시 북한의 [[김정은]]이 [[태양호]]에 탑승하여 직접 베트남으로 거처가는 루트가 되기도 했다.[* 2019년 2월 26일 새벽3시, [[난닝역]]에 잠시 30분정도 정차한 태양호에서 내려 담배를 태우고 있는 김정은과 시중을 드는 [[김여정]]의 모습이 일본 TBS 카메라에 포착되었고[[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11&aid=0003512007|#]] 중국당국은 상행길에서라도 촬영을 막기위해 차단막을 설치했다.] == 교통 == 난닝은 광시좡족자치구의 중요한 교통요지로 [[중국철도난닝그룹]]의 중심지로써 수많은 철도와 국도가 지나며 [[난닝 우수 국제공항]]이 개설되어 있다. 난닝 우수 국제공항은 민군복합으로 운영되며 군대는 [[남부전구]]공군 난닝기지 125여단이 사용한다. === 도로교통 === 난닝시에서 출발하여 [[유이관]]까지 가는 [[난유고속공로]]가 있다. === 철도교통 === 도시철도망으로 [[난닝 궤도교통]]이 있는데 중국의 5개 자치구 수부 중 가장 첫번째로 2016년 12월 28일 1호선이 개통했다. 2021년 기준으로 5개의 도시철도 노선이 있고 앞으로 계속 연장되고 신설될 전망이다. 간선철도노선으로는 [[베트남]] 북동부 [[랑선성]](Lạng Sơn / 諒山省)으로 연결되는 샹구이철도[* 湘桂铁路 : 후난성 헝양에서 광시자치구 구이린, 난닝을 거처 베트남 국경 [[유이관]](友谊关)을 연결하는 간선철도. 전장 1,026km] 가 지나갈뿐만 아니라 윈난성 성도 [[쿤밍시]]로 연결되는 [[난쿤철도]]와 광둥성 광저우시로 연결되는 [[난광철도]]의 시발점으로 [[난닝역]]과 [[난닝둥역]]을 이용한다. 철도의 경우 다음과 같은 노선이 지난다. * [[난닝역]](南宁站): 샹구이철도(湘桂铁路), [[난쿤철도]](南昆铁路), 난팡철도(南防铁路), [[난광철도]](南广铁路), [[난쿤고속철도]](南昆客运专线), 류난도시간철도(柳南城际铁路), 난충도시간철도(南崇城际铁路) * [[난닝둥역]](南宁东站): 샹구이철도(湘桂铁路), 난광철도(南广铁路), 난친철도(南钦铁路), 구이난고속철도(贵南客运专线)류난도시간철도(柳南城际铁路) * [[난닝시역]](南宁西站): [[난쿤고속철도]](南昆客运专线) 이 외에도 난닝난역(南寧南站)도 있는데, 해당 역은 화물역이다. 또한 난닝역의 경우, [[베트남]]으로 가는 국제열차도 발착한다. * [[빈양역]] * [[룽안둥역]] == 군사 == [[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육군 사령부가 난닝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