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알투비트]] 곡 정보'''|| || '''곡명''' || 난공불락(難功不落) || '''아티스트''' || MAZO || |||||||| '''난이도''' || || 별 || 달 || 보름달 || 해 || || {{{#cccc00 X}}} || {{{#0066cc 4}}} || {{{#7f00ff,#7e00ff X}}} || {{{#cc0000,#ff3232 8}}} || [[파일:nangongbulrak-uuwq111.jpg]] [[알투비트]]의 수록곡 중 하나로 해 채널 기준 난이도는 8, BPM은 175이며 MAZO가 만들었다. == 영상 == [youtube(H-tp0V9qKZs)] == 설명 == === 해 채널 === 과거에는 철인 5종이라 해서 [[jetking]], 무한도전(無限挑戰), [[도라지 타령]], [[RetroPoktan]]과 함께 속한다. 일반적으로는 3번째로 연습하는 곡이다. 반복적인 패턴이 많지만 특유의 폭타 패턴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은 곡이다. 상당히 오래전에 나온 곡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섭종하기 전까지 부동의 해 채널 인기곡 1위를 쭉 유지해온 넘사벽 인기곡이었다. 체감 난이도가 아주 쉽지도 않고 아주 어렵지도 않아서 상대적으로 초보들과 고수들 모두가 즐기고 좋아했던 곡이다. 중반부의 일명 '삼폭'이라는 →←→↓ 패턴이 8번 반복되는 구간이 이 곡의 백미인데, 굉장히 단순한 패턴의 반복이지만 난공불락의 빠른 BPM과 맞물림과 동시에 힘이 약한 약지를 빠른 속도로 움직여야 하므로 손가락이 굉장히 꼬이기 쉬워 이 곡을 연습하던 유저들을 절망에 빠뜨리기도 했다. 그래도 후기에는 어려운 곡들이 꽤 많이 나와 상대적으로 쉬운 곡 취급받기는 했다. 같은 아티스트가 만든 난이도 7.5의 '결승선직전역전승'이라는 곡이 난공불락의 패턴과 비슷해 해 채널 초보자에게 난공불락을 본격적으로 파기 전 연습곡으로 많이 추천됐다. === 달 채널 === 해 채널에서의 인기를 바탕으로 달 채널에도 수록됐다. 난이도는 4. 별 대신 장애물이 나오기 때문에 난이도 4를 겨우 받았다는 수준으로 쉽다. 실제로 이 곡이 장애물 대신 별이 나왔으면 난이도가 3이 될까말까한 수준으로 쉬워서 인기가 없다. == 기타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자성어]]인 [[난공불락]]과 이 곡에서 쓰인 한자가 하나 다르다. '공'자가 원래는 칠 공([[攻]])자지만 이 곡의 제목에서는 공 공([[功]])자가 쓰였다. 칠 공자로 바꾼 곡 선택 이미지도 존재하는데 누군가가 임의로 수정하여 게임에 적용한 것이다.[* 이외에도 아티스트 명의를 바꾸거나 곡 제목에 한국어와 중국어를 같이 표기하는 것, 남미-스페인어판 전용곡 이미지 고치기 등의 임의 수정이 있다.] [[분류:알투비트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