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수도권 전철 3호선 역의 구 역명, rd1=마두역)] ||<-3> {{{+2 '''낙민역'''}}} || ||<-3>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30]]]] || || [[미남역|{{{#!html
미남 방면}}}]][[수안역|수 안]][br]← 0.7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html
4호선
(404)
}}}]] || [[안평역|{{{#!html
안평 방면}}}]][[충렬사역|충렬사]][br]0.7 ㎞ → || ||<-3> [[동래역(동해선)|[[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0054a6 '''동해선 동래역으로 갈아타기'''}}}]]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낙민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ngmin || || [[한자]] ||<-2> 樂民 || || [[간체자]] ||<-2> 乐民 || || [[가나(문자)|가나]] ||<-2> [ruby(楽民, ruby=ナンミ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지하285 ([[낙민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동래역(도시철도)|동래관리역]] 소속 / [[경전철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2011년 3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심도: 19.95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404번.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지하285 ([[낙민동]])[* [[낙민동]] 205-4] 소재. 낙민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는 인근에 위치한 [[복천박물관]]을 새겨넣었다. 다만 복천박물관은 낙민역 바로 근처는 아니고 약 1.5km 떨어져 있는데 그나마 낙민역이 가까워서 낙민역에 새겨넣은 듯 하다. == 역 정보 == || [[파일:낙민역 4호선.jpg|width=100%]] || || 대합실 || 불과 몇백미터 떨어진 [[동해선]] [[동래역(동해선)|동래역]]과는 공식적으로 환승역은 아니고 노선도에도 따로 표시되어 있으며 환승통로도 없지만 대신 [[http://gall.dcinside.com/train/792041|간접환승은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열차가 낙민역으로 진입할 때 동해선 동래역과의 간접환승 관련 안내방송을 한다. 환승 안내는 다른 호선과 동해선 환승과 동일하나 공식 환승역이 아닌 간접환승이므로[* 사실 부산은 아직 타 회사간 환승체계가 없으므로 공식 환승역도 간접환승이다.] 환승음은 나오지 않는다.[* [[동해선]] [[부전역(동해선)|부전역]]도 1호선 [[부전역(도시철도)|부전역]]과 거리가 가깝지만 환승통로가 없다. 거기서도 역에서 나와 반대편 역으로 가서 카드를 찍으면 무료환승처리는 된다. 낙민역-동해선 동래역 환승통로를 만드려면 [[벡스코역]] 급의 환승통로를 대로변도 아닌 주택골목가인 낙민로 지하에 만들어야 하는 난공사이며, 거기에 비수도권 노선 중 전체수요 2위 노선인 2호선과 달리, 4호선과 동해선은 아직 수요가 저조하므로 건설 메리트가 떨어져서 만들지 않은 듯.] 낙민역 하차 후 역사 밖으로 나가서 [[낙민로]]를 따라 다시 [[동해선 광역전철]] [[동래역(동해선)|동래역]]으로 걸어가야 하는 귀찮은 환승 방법을 택해야 한다.[* 하차 후 30분 안에는 자유롭게 환승 처리가 이루어지는 점을 보면 그냥 버스로 갈아탄다는 개념으로 보면 편하다.] 환승 시 4번 출구가 가장 빠르니 4번 출구를 이용하자. [[동해선 광역전철]]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은 4호선 평시 배차가 8분으로 큰 문제가 없지만, 반대로 4호선에서 동해선으로 갈아탈 때 동해선 배차가 출퇴근 15분 평시 30분의 배차이므로 환승시 시간표가 어긋나면 꽤 오래 기다려야 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 역 주변 정보 == 주변에는 소규모 단독주택 등이 밀집되어있는 주거시설,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동래고등학교]], 낙민초등학교, 각종 의료시설, 주유소, 그리고 그외 시설들이 있다. 역과 바로 옆에 붙어있는 [[동래고등학교]]의 역사가 꽤 오래된만큼[* [[대한제국]] [[고종(대한제국)|고종]][[황제]] 시절인 1898년 개교하였다. 사실상 [[부경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부산에서 가장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고등학교이다. 때문에 부산 사람들에게 인지도도 꽤나 높은 편.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이전에는 [[경남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와 더불어 명문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평준화 이후엔 그냥 [[일반계 고등학교]]가 되었다.] 역명 혹은 부역명이 동래고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많았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rain&no=129659|참고]] 물론 이러한 의견은 기각되고 지금의 역명으로 개업하여 지금에 이른다. || [[파일:낙민동래국철.jpg|width=100%]] || [[파일:구동래신동래.jpg|width=100%]] || == 일평균 이용객 == 낙민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1년 || 3,326명 || [*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2년 || 3,704명 || || || 2013년 || 3,763명 || || || 2014년 || 3,882명 || || || 2015년 || 3,884명 || || || 2016년 || 3,860명 || || || 2017년 || {{{#217dcb 4,098명}}} || || || 2018년 || 3,602명 || || || 2019년 || 3,540명 || || || 2020년 || 2,777명 || || || 2021년 || 2,934명 || || || 2022년 || 3,253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하루 평균 이용객은 3,540명(2019년 기준)으로, 개통 초기에 비해 거의 승객이 증가하지 않았다. 실제 역세권의 범위가 굉장히 좁은 편이고, [[동래고등학교]]가 아니면 주변에 이렇다할 목적지도 없다. 게다가 역 위를 지나가는 [[충렬대로]]는 부산 최초의 [[간선급행버스체계|BRT]]가 설치될 만큼 예로부터 수많은 버스가 지나가는 지역이어서, 부산의 주요 [[도심]] 및 [[부도심]]과 거의 연결되지 않는 4호선의 태생적인 문제로 인하여 수송 분담률 역시 무척 낮은 편이다. 이마저도 이용객의 상당수가 무임승차를 하는 [[노인]]이어서, 실제로 통근·통학·약속·모임 등의 목적으로 이용하는 지역 주민의 비중이 상당히 낮은 편이다. 2017년에는 동해선 환승수요 덕택에 승하차량이 조금이나마 증가했으나, 환승수요도 미미하여 동해선과 승차량을 사실상 양분하게 될 예정이다. 현 동해선이 개통되기 전 동래역에 일반 열차가 정차했던 시절에는 기차를 이용하려는 승객도 소수 존재했으며, 명절 한정으로 승강장이 복잡해지는 풍경을 볼 수도 있었다. == 승강장 == ||[[파일:낙민역1.jpg|width=100%]]||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승강장 || ||[[파일:404.gif|width=100%]]|| || 역 안내도 || ||<-4> [[수안역|수안]]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충렬사역|충렬사]] || || {{{#ffffff 상}}} ||<|2>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수안]]·[[동래역(도시철도)|동래]]·[[미남역|미남]] 방면|| || {{{#ffffff 하}}} ||[[충렬사역|충렬사]]·[[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고촌역(부산)|고촌]]·[[안평역|안평]] 방면||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좌천역(도시철도)|좌 천]]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범어사역|범어사]] || ||<|3>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 [[문현역|문 현]] || ◁ || [[서면역|서 면]] || ▷ || [[동의대역|동의대]] || || [[구남역|구 남]] || ◁ || [[덕천역|덕 천]] || ▷ || [[수정역|수 정]] || || [[센텀시티역|센텀시티]] || ◁ || [[수영역|수 영]] || ▷ || [[금련산역|금련산]]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수영역|수 영]] || ◁ || [[미남역|미 남]] || ▷ || [[구포역(도시철도)|구 포]]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c0c0c0 낙 민}}} || ▷ || [[안평역|안 평]]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동래역(동해선)|동 래]] || ▷ || [[벡스코역|벡스코]] || == 연계 교통 == === 충렬대로 가로변 정류장 === '''반송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다만 52번, 210번은 예외] * 낙민역(동래고등학교)(정류장 번호: 06-158) * [[부산 버스 29]]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49]] - 광안리해수욕장행 * [[부산 버스 52]]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57]]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100]] - [[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10-1]] - 가야벽산아파트행 * [[부산 버스 129-1]] - 반송행 * [[부산 버스 148]]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210]] - 민락수변공원행 * [[부산 버스 183|부산 버스 심야18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정관행 * 낙민역(동래고등학교)(정류장 번호: 06-161) * [[부산 버스 49]] - [[금정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52]] - 수정4동행 * [[부산 버스 57]] - 사직동행 * [[부산 버스 100]]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110-1]]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129-1]]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48]]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210]] - [[연제공용차고지]]행 * [[부산 버스 183|부산 버스 심야183]]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롯데백화점동래점행 === 충렬대로 BRT 정류장 === '''충렬대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 낙민역(동래고등학교)(정류장 번호: 06-709) * [[부산 버스 29]] - 안창마을행 * [[부산 버스 31]] - 모라주공행 * [[부산 버스 43]]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44]] - 당감동행 * [[부산 버스 144]]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200]] - 구포시장행 * [[부산 버스 307]] - [[김해국제공항|공항]]행 * [[부산 버스 506]] - 부산시민공원행 * [[부산 버스 1002]] - [[웅상공영차고지]]행 * 낙민역(동래고등학교)(정류장 번호: 06-710) * [[부산 버스 31]] - 송정행 * [[부산 버스 43]] - 회동동행 * [[부산 버스 44]]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144]] - 반여3동행 * [[부산 버스 20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307]] - 송정행 * [[부산 버스 506]] - 반여4동행 * [[부산 버스 1002]] - 해운대구문화복합센터행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4호선]][[분류:동래구]][[분류:충렬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