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만화 편집자 겸 작가는 [[나카시마 카즈키]] 항목으로. ||
'''{{{#ffffff 나카지마 카즈키의 우승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 '''[[2012년]], [[2014년]] 슈퍼 포뮬러(전일본 포뮬러 닛폰) 챔피언''' || || 2011 - [[안드레 로테러]] || → || '''나카지마 카즈키''' || → || 2013 - [[야마모토 나오키(드라이버)|야마모토 나오키]] [br] '''(포뮬러 닛폰 → 슈퍼 포뮬러)''' || → || '''나카지마 카즈키''' || → || 2015 - [[이시우라 히로아키]] || ||<-5> '''[[2018년|2018]]-[[2019년|2019]] [[WEC]] LMP 드라이버 & LMP1 챔피언''' || ||<-5><#fff> [[파일:FIA_WEC_logo.png|width=50%]] || || 2017 [br] [[포르쉐]] 팀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티모 베른하르트]] [br]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브랜든 하틀리]] [br]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px]] [[얼 밤버]] [br]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 → || '''[[토요타 가주 레이싱]] [br] [[파일:스페인 민간기.svg|width=20]] [[페르난도 알론소]] [br]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세바스티앙 부에미]]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지마 카즈키 [br]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 || 2019-2020 [br] [[토요타 가주 레이싱]]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마이크 콘웨이]] [b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호세 마리아 로페즈]]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고바야시 카무이]] [br]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9> '''[[2018년|2018]] ~ [[2020년|2020]] [[WEC]] [[르망 24시]] 챔피언''' || ||<-9><#fff> [[파일:르망 24시 로고.jpg|width=20%]] || || 2017년 [br] [[포르쉐]] 팀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티모 베른하르트]] [br]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브랜든 하틀리]] [br]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px]] [[얼 밤버]] [br]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 → || '''[[토요타 가주 레이싱]] [br] [[파일:스페인 민간기.svg|width=20]] [[페르난도 알론소]] [br]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세바스티앙 부에미]]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지마 카즈키 [br]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 || '''[[토요타 가주 레이싱]] [br]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브랜든 하틀리]] [br]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세바스티앙 부에미]] [br]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나카지마 카즈키 [br] [[토요타 LMP1|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 || 2021년 [br] [[토요타 가주 레이싱]]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마이크 콘웨이 [br]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호세 마리아 로페즈 [br]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고바야시 카무이]] [br]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zuki-nakajima-team-vice-chairman.jpg|width=100%]]}}} || ||<-3> '''{{{#ffffff WEC - 토요타 가주 레이싱 부회장}}}''' || ||<-3> '''{{{#00166b 나카지마 카즈키}}}'''[br]'''{{{#00166b (中嶋 一貴, Kazuki Nakajima)}}}''' || ||<-2> '''{{{#fff 국적}}}'''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일본]] || ||<-2> '''{{{#fff 생년월일}}}''' || [[1985년]] [[1월 11일]] ([age(1985-01-11)]세) || ||<-2> '''{{{#fff 출생}}}''' || 아이치 현 오카자키 시 || ||<-2> '''{{{#fff 가족}}}''' || 아버지 [[나카지마 사토루]], 동생 [[나카지마 다이스케]] || ||<-2> '''{{{#fff 통산 출전 레이스}}}''' || 220경기 || ||<-2> '''{{{#fff 통산 챔피언}}}''' || 4회(2003,2012,2014,2018-2019) || ||<-2> '''{{{#fff 통산 우승}}}''' || 42회 || ||<-2> '''{{{#fff 통산 폴포지션}}}''' || 29회 || ||<|4> '''{{{#fff 소속(선수)}}}''' || '''{{{#fff 슈퍼 포뮬러}}}''' || 톰즈(TOM'S) (2011~2021) || || '''{{{#fff F3 유로 시리즈}}}''' || [[매노어 레이싱|매노어 모터스포츠]] (2006) || || '''{{{#fff F1}}}''' || [[윌리엄스 F1 팀]] (2007~2009) || || '''{{{#fff WEC}}}''' || '''[[토요타 가주 레이싱]] (2012~2021''', 2023'''[* 리저브 및 테스트 드라이버])''' || ||<-2> '''{{{#fff 소속(기타)}}}''' || [[토요타 가주 레이싱]] (2022~^^유럽 지부 부회장^^) || [* '''통산''' 기록은 2003년 포뮬러 토요타부터]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일본 출신의 [[F1 드라이버]]들 중 한명이었으며 2022년부터 '[[토요타 가주 레이싱]] 유럽'의 부회장이 되었다. 나카지마 레이싱의 감독인 [[나카지마 사토루]]의 아들이자 동생인 [[나카지마 다이스케]] 또한 [[레이싱 드라이버]]였다. == 커리어 == === 데뷔 === 96년, 11살 때 카트로 레이스 데뷔, 3년차인 99년 [[스즈카 서킷]]에서 열린 스즈카 포뮬러 ICA 대회에서 챔피언을 거머쥐었다. 이후에도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덕택인지, 포뮬러 토요타 레이싱 스쿨의 영 드라이버즈 프로그램(YDP)에 발탁되었고, 이 과정에서 우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2003년부터는 워크스 팀이나 다름 없는 톰즈(TOM'S) 소속에서 포뮬러 토요타 시리즈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포뮬러 레이스를 시작하게 된다. === 유럽 진출 === 2003년 포뮬러 토요타 시리즈에서 챔피언을 따낸 나카지마 카즈키는 이후 2005년까지 전일본 F3와 슈퍼GT 활동을 이어나가다가 YDP에서 기획하고 있던 유럽 진출 프로젝트에 따라 2006년부터는 매너 모터스포츠 팀 소속으로써 주 활약 무대를 F3 유로시리즈로 옮기면서 세계 각지의 드라이버들과 경쟁한다. 이 중에는 현재까지도 F1에서 활약하는 [[제바스티안 페텔]]이나 [[로맹 그로장]]도 있었으며 [[고바야시 카무이]], [[세바스티앙 부에미]], [[폴 디 레스타]] 등 2015년 현재 기준으로 과거 F1을 거쳐갔던 선수들도 포함되어 있다... 물론 나카지마 카즈키 본인도 이에 속하지만.[* 7라운드 한정으로, [[최명길(레이싱 드라이버)|최명길]] 선수도 이 대회에서 경쟁했었다고 한다.] === [[포뮬러 1]] === 2007년 GP2로 올라와서 한창 경쟁중이던 나카지마에게 뜻밖의 F1 진출권이 생겼던 계기는,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의 [[알렉산더 우르즈]]가 시즌 막바지 갑작스런 이탈로 공석이 생겼던 때였다. 당시 윌리엄스의 엔진 서플라이어는 토요타였기 때문에 나카지마를 적극적으로 밀어주던 토요타에 의해 부르츠의 자리를 나카지마가 차지하고, 남은 한 경기였던 브라질 그랑프리를 팀 동료 [[니코 로즈버그]]와 함께 마무리. 본격적인 활약은 2008년부터였으나, 시즌 최종순위 15위로 이렇다 할 인상을 남기지 못했다. 이듬해인 2009년은 더욱 처참해서, 최하위권인 종합 20위로 마무리했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토요타가 F1을 철수함으로써 의지하고 지원받을 팀이 사라진 채로 나카지마 자신도 F1에서 나오게 된다. === [[WEC]] === 토요타를 따라 [[WEC]]으로 돌아왔지만 해외에선 몰라도 국내 팬들 사이에선 영 이미지가 좋지 않다. 일단 모두의 기대를 받던 닛산의 [[델타윙]]을 받아 부숴버린다거나, 중요한 추격전에서 어이없이 크래쉬를 낸다거나 해서 실력에 대한 의문부호가 마구 상승중이다. 게다가 이상하게 크래쉬가 없어도 나카지마가 탔을 경우에만 차가 잘 고장나는 편이였다, ||[youtube(d4gFYO5uAWg)]|| || '''충격의 [[르망 24시]] 2016''' || 토요타는 복귀 후 WEC 종합 우승을 하긴 했지만 르망에서는 우승하지 못했고, 이후 오로지 르망 24 우승을 위해 올인하여 2016년 르망에서는 큰 차이로 우승을 눈 앞에 둔 상태였다. 그런데 경기를 5분 정도 남겨놓은 상태에서 나카지마가 차량 이상을 보고하기 시작하더니 점점 차가 느려지면서 포르쉐 2번이 계속 따라오기 시작하고 3분에는 차가 아예 서버리고 2번에게 추월을 허용했다. 이 경기는 그야말로 드라마틱한 르망 24시 경기로 길이 남게 되었다. 국내 팬들은 이쯤 되면 나카지마가 차를 너무 함부로 다루는 게 아니냐는 반응까지 있을 정도. 그래도 라이벌들이 다 떠나고 나서지만 2018,2019,2020 3연속으로 르망 우승을 거머쥐었다. 2021년 바레인 8시 경기[* 2021년의 바레인 8시 경기는 11월 6일에 진행하였다.]를 마지막으로 그동안 정들었던 토요타를 떠나게 되는 소식이 전해졌다. 본인도 이제 WEC에서 은퇴하려는듯하다. [* 때마침 토요타 레이싱에서 함께 활약했던 앤서니 데이비슨도 같은 레이스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데이비슨은 2022년 WEC부터 중계를 맡게되었다.] || [[파일:나카지마wec.jpg|width=400]] || [[파일:나카지마wec2.jpg|width=400]] || ||<-2> '''WEC에서의 9년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zuki-Kamui-Sebring-TGR-Team_1.jpg|width=100%]]}}}|| || '''{{{#fff 팀 총감독 코바야시와 부회장 나카지마}}}''' || 2022년부터 '[[토요타 가주 레이싱]] 유럽'의 부회장으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드라이버로서의 그는 아니지만 여전히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패독내에서 그를 계속해서 볼 수 있다. 2023년에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 WEC 팀의 리저브 드라이버였던 [[닉 더프리스]]가 떠난 관계로 다시 리저브 및 테스트 드라이버로서 잠깐 복귀하게 되었다. == 일본 무대 == 바레인 8시간 레이스 이후인 2021년 11월 28일,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슈퍼 GT 후지 300km 레이스 결승 식전 행사에서 2021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는 [[호시노 카즈키(카레이서)|호시노 카즈키]]와 함께 [[렉서스 LC|렉서스 LC500]]을 주행하며 퍼레이드 런을 진행했다.[* 두 드라이버 모두 아버지가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당시 LC500의 뒷좌석에 있던 GTA의 대표인 반도 마사아키 회장 역시 본래는 반도상회 및 레이싱 프로젝트 반도의 감독이었던 인물로 아들인 반도 마사타카에게 회사와 팀을 물려줬다.] 이후, [[고바야시 카무이]]와 함께 2022년 [[슈퍼 포뮬러]]의 테스트에 참여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일본 무대 복귀설이 나돌았지만, 2021년 12월 6일 발표된, 22년 시즌 토요타의 참전 체제 발표 결과 리스트에 오르지 않으면서 사실상 은퇴를 재차 발표. 12월 7일과 8일에 열린 오피셜 테스트가 사실상의 은퇴 주행이 되었으며, 테스트 이후 관계자에 의한 은퇴 세레머니가 진행되었다. === 논란 === 보도자료에는 "그는 아버지의 후광을 받지 않고 순수 자신의 실력으로 최고무대에 올라섰다" 라고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나다. F1 진출도 사실 부정적으로 이야기한다고 하면 그동안 엔진 서플라이어이던[* 당시 F1은 차대는 팀에서 직접 만들더라도 엔진은 다른메이커에서 공급받거나, [[코스워스]] 등의 엔진 제조업체 것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차대마저 돈을 주고 구입해 와 개량하는 영세팀도 많지만 이걸 둘다 자체적으로 해내는 팀은 2020년 현재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과 스쿠데리아 페라리, 그리고 르노 F1 팀, 이렇게 3팀 뿐이다. 물론 엔진공급이란 것은 단순히 단품 엔진을 제공한다는 뜻이 아니며 팀 운영비를 상당 부분 부담한다는 의미이다.] BMW가 윌리엄스 팀에서 손을 떼고 자우버 팀으로 옮기자 곤혹스러워진 윌리엄스에 토요타가 엔진을 공급하기로 하며 옵션(끼워팔기)드라이버로 앉힌 것 뿐이다...라는 의혹이 있었다. 이 논란은 나카지마와 토요타가 F1에서 손을 뗀 이후로는 논쟁이 사그라 들었으며, 슈퍼 포뮬러(포뮬러 닛폰)의 챔피언도 2차례나 획득한 현재로써는 슈퍼 포뮬러와 더불어 [[WEC]]에서 토요타 레이싱 소속으로 활동하는 중이다. 하지만 F1에서 보였던 공격적인(나쁘게 말하면 무리한) 스타일을 WEC에도 보여주는데, 거칠게 끼어드는 일이 많은지라 안티가 많은 편이다. 특히 2012년 르망 24시 당시 나카지마는 아우디와 혼잡한 대열에서 배틀을 하고 있었는데 도로도 협소해 추월할 공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추월을 시도하다가 당시 옆에 지나가던 백마커인 닛산 델타윙을 그대로 쳐박아버리고 리타이어 시켜버린 건 레전드. 그리고 당시 TS030도 리어 부분이 파손되어 리타이어 하고 말았으며 이는 현재도 두고두고 까이는 중. 그리고 2016년 르망에서의 드라마틱한 시나리오 집필로 마지막 화룡점정을 찍었다.[* 이 부분은 나카지마가 차를 왜 날려먹었는지 아직도 의문.] 결국 2018년에는 포르쉐마저 철수하고 난 뒤의 공허한 라 사르트 서킷 안에서, 스스로의 한계를 시험한 토요타의 우승으로 드디어 트로피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 연도별 성적 == || '''{{{#ffffff 시즌}}}''' || '''{{{#fff 시리즈}}}''' || '''{{{#ffffff 팀}}}''' || '''{{{#ffffff 경기}}}''' || '''{{{#ffffff 우승}}}''' || '''{{{#ffffff 폴포지션}}}'''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ffffff 포디움}}}''' || '''{{{#ffffff 포인트}}}''' || '''{{{#ffffff 순위}}}''' || || 2003 || 포뮬러 토요타 ||<|6> TOM'S || 10 || 3 || 3 || 3 || ? || 134 ||<#ffd700> '''1위''' || ||<|3> 2004 || 일본 포뮬러 3 챔피언십 || 20 || 2 || 2 || 1 || 4 || 138 || 5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13위 || || 바레인 F3 슈퍼프릭스 || 1 || 0 || 0 || 0 || 0 || - || 7위 || ||<|3> 2005 || 일본 포뮬러 3 챔피언십 || 20 || 2 || 3 || 7 || 12 || 209 ||<#cac4ce> '''2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5위 || || [[슈퍼 GT|슈퍼 GT - GT300]] || 키초호잔 with APR || 8 || 1 || 1 || ? || 1 || 52 || 8위 || ||<|3> 2006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3> 매노어 모터스포트 || 20 || 1 || 0 || 3 || 4 || 36 || 7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NC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 1 || 0 || 0 || 0 || 0 || - || 26위 || ||<|2> 2007 || [[포뮬러 2|GP2 시리즈]] || DAMS || 21 || 0 || 1 || 3 || 6 || 44 || 5위 || ||<|3> [[포뮬러 1]] ||<|3> [[AT&T 윌리엄스]] || 1 || 0 || 0 || 0 || 0 || 0 || 22위 || || 2008 || 18 || 0 || 0 || 0 || 0 || 9 || 15위 || || 2009 || 17 || 0 || 0 || 0 || 0 || 0 || 20위 || ||<|2> 2011 || [[슈퍼 포뮬러|포뮬러 일본]] ||<|4> 페트로나스 팀 TOM'S || 8 || 1 || 0 || 1 || 8 || 42 ||<#cac4ce> '''2위''' || || [[슈퍼 GT]] || 8 || 0 || 0 || 0 || 0 || 39 || 8위 || ||<|4> 2012 || [[슈퍼 포뮬러|포뮬러 일본]] || 9 || 2 || 1 || 0 || 4 || 46 ||<#ffd700> '''1위''' || || [[슈퍼 GT]] || 8 || 0 || 1 || 0 || 2 || 40 || 7위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토요타 레이싱]] || 3 || 1 || 1 || 1 || 2 || 44 || 13위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NC || ||<|4> 2013 || [[슈퍼 포뮬러]] ||<|2> 페트로나스 팀 TOM'S || 7 || 2 || 1 || 1 || 2 || 24 || 4위 || || [[슈퍼 GT]] || 8 || 2 || 1 || 1 || 3 || 60 ||<#cd7f32> '''3위'''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토요타 레이싱]] || 8 || 1 || 1 || 0 || 1 || 37.5 || 12위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4위 || ||<|4> 2014 || [[슈퍼 포뮬러]] ||<|2> 페트로나스 팀 TOM'S || 9 || 2 || 1 || || || || || || [[슈퍼 GT]] || 8 || 2 || 1 || 0 || 2 || 60 || 5위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토요타 레이싱]] || 5 || 0 || 2 || 0 || 4 || 71 || 8위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NC || ||<|3> 2015 || [[슈퍼 포뮬러]] || 페트로나스 팀 TOM'S || 7 || 1 || 0 || || || ||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토요타 레이싱]] || 7 || 0 || 0 || || || || || || [[르망 24시]] || 1 || 0 || 0 || || || || || ||<|3> 2016 || [[슈퍼 포뮬러]] || 반텔린 팀 TOM'S || 9 || 0 || 1 || || || ||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 || 9 || 0 || 0 || || || || || || [[르망 24시]] || 1 || 0 || 0 || || || || || ||<|4> 2017 || [[슈퍼 포뮬러]] || 반텔린 팀 TOM'S || 7 || 1 || 1 || || || || || || [[슈퍼 GT]] || [[렉서스]] 팀 아우 TOM'S || 7 || 1 || 0 || || || ||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 || 9 || 5 || 0 || || || || || || [[르망 24시]] || 0 || 0 || 0 || || || || || ||<|3> 2018 || [[슈퍼 포뮬러]] || 반텔린 팀 TOM'S || 5 || 0 || 0 || || || || || || [[슈퍼 GT]] || [[렉서스]] 팀 아우 TOM'S || 7 || 1 || 0 || || || || || || [[르망 24시]] ||<|2> [[토요타 가주 레이싱]] || 1 || 1 || 1 || || || || || || 2018-19 || [[WEC]] || 8 || 5 || 4 || || || || || ||<|3> 2019 || [[슈퍼 포뮬러]] || 반텔린 팀 TOM'S || 7 || 0 || 0 || || || || || || [[슈퍼 GT]] || [[렉서스]] 팀 아우 TOM'S || 7 || 1 || 2 || || || || || || [[르망 24시]] ||<|2> [[토요타 가주 레이싱]] || 1 || 1 || 0 || || || || || || 2019-20 || [[WEC]] || 8 || 2 || 0 || || || || || ||<|2> 2020 || [[슈퍼 포뮬러]] || 반텔린 팀 TOM'S || 5 || 0 || 0 || || || || || || [[르망 24시]] || [[토요타 가주 레이싱]] || 1 || 1 || 0 || || || || || ||<|3> 2021 || [[슈퍼 포뮬러]] || 쿠오 반텔린 팀 TOM'S || 1 || 0 || 0 || || || || || || [[WEC]] ||<|2> [[토요타 가주 레이싱]] || 4 || 2 || 0 || || || || || || [[르망 24시]] || 1 || 0 || 0 || || || || || == 여담 == * 그의 은퇴가 최종적으로 확정된 날은 2021 슈퍼 GT 최종전이 끝나고 8일 뒤의 일로 슈퍼 GT 최종전에서 호시노 카즈키와 함께 렉서스 LC 컨버터블 운전석에 올라 퍼레이드 런을 진행했다. * [[후지테레비]]의 드라마인 [[엔진(드라마)|엔진]]에서 [[기무라 타쿠야]]의 주행장면 대역을 맡은 바 있고, 본인도 드라마가 방송된 2005년 당시 전일본 F3 챔피언십에 출연한 배우들이 쓴 컬러링 헬멧을 시즌 중 몇몇 경기에서 썼다. [[분류:모터스포츠/관련 인물]][[분류:FIA 드라이버 등급/플래티넘]][[분류:일본의 포뮬러 1 드라이버]][[분류:1985년 출생]][[분류:윌리엄스 레이싱/은퇴, 이적]][[분류:오카자키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