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악몽)] '''{{{+1 Nightmare}}}''' [[악몽]](惡夢)을 뜻하는 [[영어]] 단어. 아래 항목들은 전부 이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 [[악몽]]을 보여주는 [[악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몽마)] == 매체에서 == * [[BedWars(Roblox)]]의 [[BedWars(Roblox)/모드#랭크전|나이트메어 티어]] * [[DEAD BY DAYLIGHT]] - [[나이트메어(DEAD BY DAYLIGHT)]] * [[FNaF 시리즈]] - [[FNaF 4/애니매트로닉스|나이트메어 애니매트로닉스]]들 * [[Yes! 프리큐어 5]] - [[나이트메어(Yes! 프리큐어 5)]] * [[골판지 전기]] - [[나이트메어(골판지 전기)]] * [[괴도 조커]] - 나이트메어 * [[꿈을 먹는 메리]] - [[메리 나이트메어]]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나이트메어(마법)]] * [[던전 앤 파이터]] - [[섀도우 댄서(던전 앤 파이터)|섀도우 댄서]] 1차 각성명 나이트메어 * [[데빌 메이 크라이]] - [[나이트메어(데빌 메이 크라이)]] * [[데이트 어 라이브]] - [[토키사키 쿠루미]]의 식별명. * [[로스트사가]] - [[나이트메어(로스트사가)]] * [[록맨 X6]] - [[나이트메어 바이러스]]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나이트메어(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메트로이드 시리즈]] - [[나이트메어(메트로이드)]] * [[명일방주]] - [[나이트메어(명일방주)]] * [[별의 커비 시리즈]] - [[나이트메어(별의 커비 시리즈)]] * [[사이드킥(웹툰)]] - [[나이트메어(사이드킥)]] * [[소드 월드 2.0]] - [[나이트메어(라크시아)]] * [[소울 칼리버 시리즈]] - [[나이트메어(소울 칼리버)]] * [[신옥탑 메리스켈터]] - 나이트메어 * [[슬레이어즈]] - [[로드 오브 나이트메어]] * [[앨리스 시리즈(오토메 게임)|앨리스 시리즈]] - [[나이트메어 곳트샤르크]] * [[쥬라기 원시전 2]] - [[나이트메어(쥬라기 원시전 2)]] * [[코드기아스]] - [[나이트메어 프레임]], [[나이트메어(칠흑의 렌야)]]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NIGHTMARE(프린세스 커넥트! Re:Dive)|NIGHTMARE]] === [[마블 코믹스]]의 [[우주적 존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octor_Voodoo_Avenger_of_the_Supernatural_Vol_1_4_002.jpg|width=500]] [[슈마고라스]]의 부하들인 피어 로드 중의 하나이자 꿈 세계의 지배자. 첫 등장은 Strange Tales #110. 닥터 스트레인지와는 첫 등장부터 함께 한 유서깊은 적이다. 원래 나이트메어가 사라지면 꿈을 꿀 수 있는 모든 존재들이 위험해지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나이트메어를 죽이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나... [[닥터 스트레인지]]가 거침없이 죽여버렸다. 나중에 간신히 되살렸지만. 최근 <카오스 워>에서는 [[헤라클레스(마블 코믹스)|헤라클레스]]를 다시 되살리기도 했으며, 자신을 습격한 [[카오스 킹]]에게 "혀, 형제... 살려주시구려"라고 드립치다가 살해당하고 그 능력은 고스란히 [[카오스 킹]]에게 넘어갔다. 모든 꿈을 꾸는 존재로부터 공포를 앗으며 살고, '''심지어 이터니티를 고치에 넣고 요리해 먹으려하기도 했다(!)''' 이터니티는 아슬아슬한 순간에 닥터 스트레인지에 의해 구출됐다.[* 그러나 이터니티의 악몽은 현실로 이루어져 세계가 파괴된다. 흠좀무. 닥터 스트레인지와 에인션트 원의 부탁으로 지구는 새롭게 복제되지만, 부활된 것이 아니라 '''복제'''라는 점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닥터 스트레인지와 못 죽여서 안달인 적대 관계지만 후반부에 다른 빌런이 '''사실은 애지중지해서 못 살잖아?'''라는 일침을 놓으면서 애증 관계를 암시했다. 또한, 은근 묘하게 [[개그 캐릭터]]같은 성격이다. [[DC 코믹스]]의 [[THE SANDMAN|샌드맨 시리즈]]의 주인공이자 [[영원(THE SANDMAN)|영원 일족]]의 셋째, [[꿈(THE SANDMAN)|꿈]]에 대칭하는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지만 [[꿈결(THE SANDMAN)|꿈결(The Dreaming)]]을 다스리는 영원 일족의 꿈에 비해서는 포괄하는 영역도 좁고 위상이 초라하다.[* 애초에 [[꿈(THE SANDMAN)|꿈]]은 [[DC 코믹스]]의 멀티버스에 산재하는 신이라 불리는 존재들조차 아득히 넘어선 [[권능]]과 [[위상]]을 지닌 존재다. 신이나 화신 정도가 아니라 [[개념]]의 작용이 인간의 관점에서 [[의인화]]로 비춰지는 [[영원 일족]]이기 때문이다. 영원의 본질은 추상적인 개념이 육체 비슷한 외피를 입었을 뿐이기에, 인간형 모습조차도 보는 이들의 관점에 따라 비춰지는 일면에 불과하다. [[꿈(THE SANDMAN)|꿈]]이 다스리는 꿈결이라는 영역은 자면서 꾸는 [[꿈]]뿐만이 아닌 [[이야기]], [[생각]], [[믿음]], [[신앙]]도 포함하고 있다.] 밝혀진 자식이 3명(알파 플라이트와 몇 번 싸운 딸 드림퀸(Dreamqueen)과 [[헐크]]의 아내였던 [[베티 로스]]에게서 낳은 그웬이라는 이름만 알려진 데이드림(Daydream), 트라우마란 코드네임을 쓰는 아들 테렌스 워드) 있지만 사이는 좋지 않다. 마블(2020) 이슈에서 다시 등장. 지구상의 모든 인간들의 드림 에너지를 뽑아내 역대급으로 강력해진 채로 돌아온다. 이 상태에서는 셀레스티얼들과 갤럭투스, 에고는 물론이고 무려 '''데스와 로드 카오스, 마스터 오더, 이터니티 심지어 리빙 트리뷰널조차 털어버린다.'''[* 닥터 스트레인지의 언급에 따르면 현재의 나이트메어는 그 누구보다 강력해졌다고 하며 리빙을 포함한 강력한 존재들이 패했으니 더이상 희망이 없다고 한다.][* 힘으로 턴게 아니라 손바닥위에 올려놓고 장난감다루듯이 농락한다. 이미 리빙과 대머리 형제는 죽은 상태. 단 [[원 어보브 올]]과 우위는 불명] 공포를 힘의 원천으로 삼고, 꿈 세계에서 활동한다는 점에서 [[프레디 크루거]]와 상당히 유사하다. === [[닌자 가이덴]]의 적 === 흰 갑옷에 거대한 대도를 들고 나오는 상위급 적이다. 이름 그대로 악몽같은 강력함을 보여준다. 대도를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칼 휘두르는 속도가 빠른데다가 유도성 불덩이도 날리고 체력이 줄어들면 갑자기 각성해서 연속 대쉬 공격을 하는등 거의 보스급의 강력함을 보여준다. 닌가의 적들이 빈틈이 적기로 유명하지만 나이트메어는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정말 잘 막고 잘 때려야 한다. 원래 허리케인 팩2에 처음 등장했을땐 인터셉트 기술을 써서 상대해야 했는데... 블랙에서 '''인터셉트가 삭제되었다'''. 그러니 진짜 잘 막고 잘 때리는거 말고는 답이 없다(...). 각성할 때 공격판정이 나니 주의. === [[초마신영웅전 와타루]]에서 등장하는 적 마신 === 악몽을 조종하는 마신. 해골에 왕관을 쓴 모습을 하고 있다. 탑승자는 미스터 이부자리, 성우는 [[마츠오 긴조]]/[[문관일]]. 원래는 이불을 만든 착한 사람이지만 [[도날카미 대왕|몬스터 대왕]]에게 착한 마음을 빼앗기고 흉측한 모습이 되어서 사람들을 악몽에 꾸게 만들었으며, 꿈꾸게 되면 착한 마음도 빼앗긴다. 유일하게 슬리피라는 소녀는 자기 아버지가 마법사라 잠을 자지 않아서 괜찮았지만 몇 시간도 견디지 못할 것이라 말했다. 미스터 이부자리는 악몽 속에 숨어다니는 신세라 아무도 그를 찾지 못해 꿈 속에 들어가게 해서, 와타루 일행은 꿈세계로 들어가야 했다.[* 여기서 [[도날카미 도도|도도]]와 [[토라오]]는 서로 경쟁 중에 잠들었다.] 미스터 이부자리가 그들의 꿈을 훔쳐보자 시바라쿠는 하마가 되는 꿈을[* 국내판에서는 아들이 돈을 달라면서 밥상을 걷어차는것은 불효같아서 편집되었다.] 한심하게 생각하고[* 시바라쿠가 마누라에게 낮잠 자는 것을 욕먹었다.] 도도가 음료수 캔을 발로 차지만 캔이 쓰레기통에 들어가자 창계산의 지배자라고 괴로워하자 그는 간부인 도도를 멍청하다고 생각했고, 히미코는 [[낫토]]로 먹으면서 수영하자 재미없고 무섭고 더럽다고 생각하고 [[세이쥬]]는 [[쟈이간다]]가 창계산을 습격하면서 불바다가 되었다. [[쇼류시]]가 나오며 세이쥬가 나무인형이 된 것을 보지만 알 수는 없었다. [[스즈메(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스즈메]]는 부모님께 버림받는 것을 무시무시한 평가를 했으며, 와타루는 동료들이 창에 맞아서 사라졌고 [[류진마루]]는 등에 박살나서 절망에 빠진다. 그러다가 토라오가 와타루 앞에 나타나자 절망에 빠진 와타루를 한심해했으며 와타루는 토라오를 만나면서 악몽을 극복했다. 와타루가 악몽에서 벗어나자 마신을 불러낸다, 안개로 류진마루를 공격했다. 그리고 류진마루까지 잠들도록 했지만 와타루가 완벽하게 극복한 뒤 검왕 류진마루에게 퇴치되었다. 그러자 착한 마음이 되돌아오면서 사람들도 악몽에서 깼고 미스터 이부자리도 본 모습으로 돌아왔다. 리타이어할 때는 '''이제 일어날 시간이야'''. === [[데블파이터]]의 단역 데블 === 국내판 성우는 [[성완경]]이지만 일본판에서는 여자성우가 맡았다. 20화에서 등장했는데 국내판에선 몽마로 이름이 바뀌었다. ===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 * [[매직 더 개더링/카드 일람]] [[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영어판 명칭''' || '''Nightmare''' ||<|6>[[파일:Nightmare.jpg]]|| || '''한글판 명칭''' || '''나이트메어''' || || '''마나비용''' ||<:><#000000>{{{#ffffff {5}{B}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생물 — 나이트메어 말 || ||<-2><:>비행''(이 생물은 비행이나 대공을 가진 생물로만 방어할 수 있다.)''[br][br]나이트메어의 공격력과 방어력은 각각 당신이 조종하는 늪의 수와 같다.|| || '''공격력/방어력''' || */* || MTG에 최초로 등장한 '나이트메어' 종족의 생물. 물론 상술한 어원에 맞게(?) 암말의 모습을 취하며, 나이트메어와 별개로 '말(horse)' 유형도 갖고 있다. 늪의 수에 따라 공방이 결정되기 때문에 흑색 단덱이 아니면 쓸모가 없는 카드. 하지만 늪만 많이 깔려 있다면 공방이 불어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흑색 단덱에서 늪 6개로 이걸 불렀다면 기본적으로 6/6. 비행에 6/6이면 적은 공방이 절대 아니라는 점을 상기하라. 하지만 매직 더 개더링의 생물 [[파워 인플레]] 때문에 설 곳을 잃은지는 오래. 그냥 리미티드에서만 쓰는 레어로 전락했다. 그래서 지금 와서는 부스터에서 이게 나오면 그 자체가 나이트메어(악몽)다. 매직 2014에 오랜만에 재록되었는데, 같은 팩에 나온 플레인즈워커인 [[사악한 영역의 릴리아나]]와 궁합이 좋다. 물론 저 릴리아나도 역대 릴리아나 중에서 최약체라 아무도 안 쓰지만(...). 그리고 Magic 2015에서부터는 아웃넘버 카드라서 T2에서 쓸 수는 있지만 샘플 덱에만 있고 부스터에서는 나오지 않아서 리미티드에서 만날 일은 없게 되었다. 이는 코어세트 대신 환영 덱에서만 나오게 된 후로도 동일. MTG 초창기에 나왔던 코믹스에서는 늪에서 사는 암말로 등장한다. 내용은 자기가 살고 있는 늪이 어떤 마법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어서 그 원인을 찾기 위해서 돌아다니다가 인간 [[플레인즈워커]]를 만나고 서로 협력해서 일을 해결한다는 내용이다. 같은 CMC에 상위 호환인 전설적 생물로는 Korlash, Heir to Blackblade가 있다. 물론 이쪽은 설정이나 특성상 Dakkon Blackblade의 변형이라 봐야겠지만. '''수록세트 일람''' ||<:>'''세트'''||<:>'''[[매직 더 개더링/블록|블록]]'''||<:>'''희귀도'''|| ||<:>Limited Edition Alpha||<:><|15>코어세트||<:><|17>레어|| ||<:>Limited Edition Beta|| ||<:>Unlimited Edition|| ||<:>Revised Edition|| ||<:>Fourth Edition|| ||<:>Fifth Edition|| ||<:>Classic Sixth Edition|| ||<:>Seventh Edition|| ||<:>Eighth Edition|| ||<:>Ninth Edition|| ||<:>Tenth Edition|| ||<:>Magic 2010|| ||<:>매직 2014 코어세트|| ||<:>매직 2015 코어세트|| ||<:>매직의 기원|| ||<:>환영 덱 2016||<:>[[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환영 덱 2017||<:>[[아몬케트]]|| '''사용가능 포맷''' ||<:>'''포맷'''||<:>'''[[매직 더 개더링/금지 제한 카드|사용가능 여부]]'''|| ||<:>스탠다드||<|5><:>사용가능|| ||<:>모던|| ||<:>레거시|| ||<:>빈티지|| ||<:>[[EDH]]|| '''다른 일러스트''' ||[[파일:Nightmare (7th Edition).jpg]]||7th Edition부터 일신된 일러스트||[[파일:Nightmare (Magic 2014).jpg]]||매직 2014에 재판되면서 변경된 일러스트. 현재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 공포 영화 == === [[나이트메어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이트메어 시리즈)] === 영화 나이트메어: 야간근무자 === [youtube(uo5TOtAMhDc)] 데니손 하말류(Dennison Ramalho)[* 국내 웹에선 영어식으로 읽은 데니슨 라말호로 표기되어있다.]가 감독한 [[브라질]]의 스릴러 영화. 제목은 국내 수입사가 멋대로 붙인 것으로 [[나이트메어 시리즈]]하고는 연관이 없다. 원제는 Morto Não Fala([[죽은 자는 말이 없다]]), 영제는 그냥 The Nightshifter(야간 근무자)다. == 일본의 비주얼 록 밴드 [[NIGHTMAR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IGHTMARE)] == [[DJMAX 시리즈]]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ightmare(DJMAX))] == [[Azari]]의 VOCALOID 오리지널 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ightmare(VOCALOID 오리지널 곡))] == 기타 == * 1994년 발매된 [[프로토타입]]형 [[FPS]] [[나이트메어 3D]]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조재걸]]의 별명 * [[스타크래프트]] 유즈맵 [[the night mare]]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장욱(프로게이머)|장욱]]의 ID * [[종합격투기]] 선수 [[디에고 산체스]]의 별명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에 나온 애니매트로닉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닌자 가이덴 시리즈/등장인물]][[분류: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마신]][[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아몬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