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나이지리아 관련 문서)] ||<-2> [[파일:나이지리아 방위군기.svg|width=300]] || ||<-2><#008751> {{{+2 {{{#FFF '''나이지리아군''' }}}}}}[br]{{{+1 {{{#FFF Nigerian Armed Forces}}}}}} || ||<#008751>{{{#fff 상비군}}} ||143,000명([[2022년]])[* IISS의 The Military Balance 2022를 참조함. 헌병군 및 준군사조직 8만 명 제외.] || ||<-2><#008751> {{{#fff '''육군력'''}}} || ||<#008751>[[병력|{{{#fff 병력}}}]] ||100,000명([[2022년]]) || ||<#008751>[[주력전차|{{{#fff 주력전차(MBT)}}}]] ||319+대([[2022년]]) || ||<#008751>[[경전차|{{{#fff 경전차}}}]] ||154대([[2022년]]) || ||<#008751>[[돌격포|{{{#fff 돌격전차(ASLT)}}}]] ||6+대([[2022년]]) || ||<#008751>[[정찰 장갑차|{{{#fff 정찰장갑차(RECCE)}}}]] ||384대([[2022년]]) || ||<#008751>[[장갑차|{{{#fff 장갑차(APCs/IFVs)}}}]] ||897+대([[2022년]]) || ||<#008751>[[잠수정|{{{#fff 자율무인잠수정(AUV)}}}]] ||107대([[2022년]]) || ||<#008751>[[자주포|{{{#fff 자주포}}}]] ||72+문([[2022년]]) || ||<#008751>[[견인포|{{{#fff 견인포}}}]] ||164+문(2022년)[* 이외에도 [[FH77|FH77B]] 24문을 치장물자로 보관 중이다.] || ||<#008751>[[다연장로켓|{{{#fff 다연장로켓}}}]] ||41문(2022년) || ||<#008751>[[박격포|{{{#fff 박격포}}}]] ||330+문(2022년) || ||<-2><#008751> {{{#fff '''해군력'''}}} || ||<#008751>[[병력|{{{#fff 병력}}}]] ||25,000명([[2022년]])[* [[해안경비대]](Coast Guard) 포함.] || ||<#008751>[[호위함|{{{#fff 호위함}}}]] ||1척(2022년)[* [[아라두급|NNS 아라두]](NNS Aradu). [[MEKO]] 360 설계 기반이다. 2022년 현재 노후화로 인해 운용중지(non-operational) 상태다.] || ||<#008751>[[초계함|{{{#fff 초계함}}}]] ||5척(2022년)[* [[https://en.wikipedia.org/wiki/Vosper_Thornycroft_MK9|NNS 에리노미]](NNS Erinomi), [[056형 초계함|센테너리급]] 2척, [[해밀턴급|선더급]] 2척.] || ||<#008751>[[군함|{{{#fff 군함 총합}}}]] ||131척(2022년) || ||<-2><#008751> {{{#fff '''공군력'''}}} || ||<#008751>[[병력|{{{#fff 병력}}}]] ||18,000명([[2022년]]) || ||<#008751>[[전투기|{{{#fff 전투기}}}]] ||12기(2022년) || ||<#008751>[[공격기|{{{#fff 공격기}}}]] ||3기(2022년) || ||<#008751>[[신호정보|{{{#fff 전자정보수집체계(ELINT)}}}]] ||2기(2022년) || ||<#008751>[[정찰기|{{{#fff 정찰기}}}]] ||1기(2022년) || ||<#008751>[[수송기|{{{#fff 수송기}}}]] ||32기(2022년) || ||<#008751>[[훈련기|{{{#fff 훈련기}}}]] ||129기(2022년) || ||<#008751>[[헬리콥터|{{{#fff 헬리콥터}}}]] ||51+기(2022년) || ||<#008751>[[UAV|{{{#fff 무인기}}}]] ||5+기(2022년) || ||<-2><#008751> {{{#fff '''예산'''}}} || ||<#008751>{{{#fff 국방비 총합}}} ||25억 4,000만 달러(202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이지리아군'''(Nigerian Armed Forces)은 [[나이지리아]]의 [[국군]]이다. [[육군]](Nigerian Army), [[해군]](Nigerian Navy), [[공군]](Nigerian Air Force)으로 나뉜다. == 역사 == [[1960년]]에 창설되었다. 본래는 [[영국]]의 [[식민지]] 시절에 왕립 서아프리카군(Royal West African Frontier Force)이 원형이나, 식민지들이 독립하면서 갈라졌다. [[1966년]]부터 [[1999년]]까지 [[군사]] [[쿠데타]]만 10번이나 일어났다. [[나이지리아 내전]]에서 [[비아프라]] 반군을 진압했으며, 당시 병력은 최대 25만에 달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보코 하람]]과 싸우고 있다. [[리비아 내전]] 등으로 인한 일련의 혼란으로 서아프리카 지역에 무기와 외국인 전투원들이 유입되자 전황이 악화되었다. 교전으로 T-72M 등이 격파되거나 [[빅커스 MBT|빅커스 Mk.3]] 이 노획당하는 등 고전하고 있다. 사실 보코 하람이 사용하는 무기 대부분은 나이지리아군을 습격하여 노획한 것들이다. 국제 유가 하락 등 대내외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국방비를 의욕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이 추세를 유지한다면 현재 정체 중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치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위에 등극할 것으로 보인다. == 수뇌부 == 통수권자는 [[대통령]]이다. 2019년 기준으로 현직 대통령은 [[모하마두 부하리]]이다. [[문민통제]]는 거의 이뤄지고 있지 않아 [[국방장관]]이 퇴역한 [[대장(계급)|대장]]인 알리유 구소(Aliyu Mohammed Gusau)이다. [[제복군인]] 최선임은 [[국방참모총장]](Chief of Defence Staff)으로 알렉스 바데(Alex Sabundu Badeh) 공군 중장(Air chief marshal)이다.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이지리아 육군)] ===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이지리아 해군)] === 공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이지리아 공군)] == 대중매체 ==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 관련 링크 == [[http://en.wikipedia.org/wiki/Nigerian_Army|Nigerian Army]] [[http://en.wikipedia.org/wiki/Nigerian_Navy|Nigerian Navy]] [[http://en.wikipedia.org/wiki/Nigerian_Air_Force|Nigerian Air Force]]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Nigerian_Army#Structure|육군]] * [[https://en.wikipedia.org/wiki/Nigerian_Navy#Command_structure|해군]] * [[https://en.wikipedia.org/wiki/Nigerian_Air_Force#Structure|공군]] == 관련 문서 == * [[무기 관련 정보]] [[분류:나이지리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