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나이다3.jpg]] ナイーダ [[UFO로보 그렌다이저]] 25화 '하늘에 빛나는 사랑의 꽃'에 등장한 캐릭터. 성우는 [[스기야마 카즈코]] 원래는 애니와 동시에 연재되던 [[오타 고사쿠]]의 그렌다이저 만화판에 있던 에피소드 '슬픔의 듀크 프리드'에 나오는 캐릭터로 25화의 연출 담당 [[카츠마타 토모하루]]가 이 에피소드를 보고 그 충격적인 드라마에 큰 감명을 받아 애니로 일부 수정하고 그대로 옮긴 에피소드이다. 오타 고사쿠 만화판의 내용이 애니메이션으로 역수입된 건 이것이 처음이었다. 거기다 이 에피소드를 그린 사람이 미형 캐릭터 작화로 유명한 [[아라키 신고]]라서 이편 내내 작화가 미쳤다. [[히메노 미치]]가 최초로 디자인한 캐릭터라고 한다. == 설명 == [[듀크 프리드]]의 소꿉친구로 귀족 집안인 것 같다. 말이 소꿉친구지 사귀었던 것 같다. 남동생으로 시리우스가 있으며 듀크와 남동생도 사이가 좋았다. 그러나 베가성의 침공으로 프리드 성은 식민국이 되고 온갖 고생을 다했다. 만화판에서는 이때 '''베가성 병사들에게 강간을 당했던 게 아닌가 싶은 묘사'''가 나온다. 애니메이션에선 방송 심의 때문에 직접적으론 안 나오지만 이를 연상하게 하는 장면이 나온다.[* 나이다의 회상 중에 헐벗은 미녀들이 공포에 떠는 모습이 나온다.] 즉 애니에서도 마찬가지였다는 것이다. 베가 성 군단을 탈출해서 지구로 오고 듀크 프리드도 기뻐하지만 사실 그녀는 [[베가 대왕]]에게 세뇌를 당해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듀크를 모성을 버리고 유일한 수호신인 그렌다이저를 타고 도망간 배신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렌다이저를 폭파하려다가 걸리고 듀크에게 배신자라고 폭언을 쏟아붓는데[* 오타 고사쿠 원작에선 이 배신자라고 폭언을 한 뒤에야 세뇌 장치 스위치가 켜진다. 사랑하면서도 배신자라고 원망하면서 증오하는 건 '''진심'''이었다는 것이다.] 이때 "[[원반수]]에는 프리드 성인의 뇌가 인공지능으로 쓰이고 있다." 라고 말하며 1화에 나왔던 원반수 기루기루 에는 자신의 동생인 시리우스의 뇌가 있었으니 듀크가 시리우스를 죽인 것이라고 말하고 몽둥이로 듀크를 두드려 패서 기절시킨다. 듀크는 큰 부상은 입지 않았지만 옛날 여자친구에게 배신자라는 소리를 듣고, 여자친구 동생까지 죽였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해 정신이 붕괴되어 폐인이 된다.[* 이때 당시의 정신의학이 별로 발달하지 않아서 폐인이 된 듀크 프리드의 정신치료를 전기쇼크로 하는 장면은 압권이다.] 나이다는 [[우몬 겐조]]와 [[카부토 코우지]]의 도움으로 세뇌 장치를 풀어내고 제정신이 돌아오지만 사랑하는 듀크가 폐인이 된 것을 보고 큰 충격을 받고 [[마키바 히카루]]에게 듀크를 잘 부탁한다는 말을 남기고 폭탄을 싣고 적 군단에 들어가 자폭해 듀크를 구한다.[* 이 때문에 이 에피소드에 나오는 원반수 다리다리는 채 1분도 나오지 않는다.] 듀크는 우몬 박사의 치료로 정신을 차리고 전장으로 달려가지만 이미 그녀는 죽은 뒤였고 듀크는 하늘을 바라보며 절규한다. 참고로 에피소드 제목의 사랑의 꽃은 폭발할 때 나온 [[버섯구름]]을 의미한다. 이 에피소드에서 나이다는 원반수에는 프리드 성인의 뇌가 쓰이고 있다고 했는데 TV판에선 세뇌당한 나이다가 듀크 프리드의 정신 붕괴를 일으키기 위해서 한 거짓말로 여겨지고 있다. 그 전에는 [[브라키]]나 베가 병사가 조종하는 원반수도 있었고 이런 게 있으면 듀크 프리드의 정신을 압박할 좋은 수단이 되는데 이후로 그런 짓은 베가 군단도 안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타 고사쿠]]의 만화판에선 진짜로 뇌를 써서 이 이후로도 그런 원반수가 나온다.''' 애초에 이 에피소드는 오타 고사쿠의 만화를 거의 그대로 옮긴 것이라 이런 오류가 생긴 셈. 뭐 세뇌해서 한 거짓말이라고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은 되지만. [[파일:나이다2.jpg]] 1회성 게스트 캐릭터지만 [[오타 고사쿠]]의 충격적인 하드 드라마, [[카츠마타 토모하루]]의 연출력, [[아라키 신고]]의 빼어난 작화, [[토미야마 케이]]와 [[스기야마 카즈코]]의 명 연기가 합쳐져 그렌다이저 최고의 에피소드로 꼽는 사람들이 많은 명작 에피소드의 주연이라 인기가 많다. 그렌다이저 DVD VOL3의 자켓 그림도 나이다이다. 위에 있는 저 일러스트로 그린 사람은 [[아라키 신고]]로 보이지만 실은 [[오치 카즈히로]]. 프리드 성인인데 왜 듀크 프리드랑 다르게 머리도 초록색이고 피부색도 초록색 톤이냐면 [[듀크 프리드]]도 원래 머리카락 색깔은 초록색이다. 지구인으로 있어야 되니까 숨기고 있을 뿐이지. [[슈퍼로봇대전]]에도 나온 적이 있다. [[제3차 슈퍼로봇대전]]과 [[슈퍼로봇대전 64]]로 꽤 적지만. 먼저 3차에서는 DC소속으로 한번 듀크와 교전하면 이벤트가 발생해 이후 듀크로 설득할 수 있다. 다만 설득전에 아수라 남작을 격추해놨다면 동생이 세뇌되었다는걸 모르게 되어서 설득이 실패한다. 설득시 아군 NPC로 남아서 그 맵에서 일시적으로 협력해주지만 동료 캐릭터로는 남지 않는편. 단 최후까지 생존시키면 [[사자비]]를 손에 넣을수 있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지켜줘야한다. 설득만 안하면 적인 채로이니 안전을 위해 아수라 남작과 나이다만 남겨서 안전을 확보한뒤 설득하면 된다.[* 슈패판은 반격설정 관계상 적 턴에서 나이다를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게 좀 귀찮을 것이다. 단 컴플리트박스판에서는 나이다를 직접 조작 가능하니 안전한 곳으로 대기시켜주면 된다.] 탑승기인 원반(명칭불명. 미니포가 아니다)는 재현되지 않고 원반수 고즈고즈에 탄다. 4차에서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로봇대도감의 기루기루 항목을 통해 언급 자체는 된다. 64에서는 [[에리카(마징가 Z)|에리카]]와 함께 슈퍼계 주인공 한정 캐릭터로, 중반에 은하제국군의 파일럿으로 [[즈루 황제]]에게 세뇌되어 등장. 얼굴 그래픽이 꽤 잘 뽑혔다. 원작의 동생의 건을 의식했는지 적으로 나올때는 원반수 기루기루를 타고 나온다. 그렌다이저를 폭파시키려하는 씬도 재현되었고, 이번엔 설득하는데 성공하면 마징가 계통 갈아태우기 파일럿으로서 계속 쓸 수 있다. 단! 설득후 시나리오에서 그런건 나중으로 미루자(そんなことは後回し)를 선택하면 원작처럼 특공해서 사망해버린다. 또한 동 작품에서의 독립군 루트 "여제 [[쟈네라]]의 인간사냥" 시나리오에서 대사를 보면 붙잡은 사람들을 원반수의 두뇌로 사용한다는 내용이 본 작품에 한해 진짜인것으로 되어있고, 괴이하게도 특공 이벤트때 사용하는 탑승기의 맵 그래픽은 겟트머신용 그래픽(…)이다. [[슈퍼로봇대전 D]]의 경우 좀 특이하게도 본인은 등장도 언급도 없으나, 마지막 분기를 기신성으로 갈 경우 저항군 리더인 루이를 통해 [[기신성간 제국군]]의 주둔혹성에서 강제노역에 거역하는 자들을 원반수로 개조하기도 한다는, 그녀의 남동생을 연상케하는 설정이 나온다. [[분류:UFO로보 그렌다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