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95959 20%, #595959)" {{{#FFFFFF '''나연숙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극본상'''}}} || || '''제20회[br]([[1984년]])''' || {{{+1 →}}} || '''제21회[br]([[1985년]])''' || {{{+1 →}}} || '''제22회[br]([[1986년]])''' || || [[이은성(작가)|이은성]][br]([[개국(드라마)|개국]]) || {{{+1 →}}} || '''{{{#000 나연숙[br]([[보통 사람들|{{{#000 보통 사람들}}}]])}}}''' || {{{+1 →}}} || [[신봉승]][br]([[조선왕조 오백년]]) || ||<-5> || ---- }}} || |||| '''{{{+1 나연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연숙.jpg|width=100%]]}}} || || '''본명''' ||나연숙 || || '''출생''' ||[[1944년]] [[9월 30일]] || || '''사망''' ||[[2022년]] [[6월 2일]] (향년 7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서라벌예술대학교]] {{{-1 (문예창작학과)}}} || || '''가족''' ||나인봉[* 영화감독으로, 2015년에 사망했다.] || || '''데뷔''' ||1972년 사랑의 훈장 극본 || || '''직업''' ||드라마 작가, 각본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1965년 소설가로 등단한 뒤 1971년에 [[한국방송공사|KBS]] 드라마 '사랑의 훈장'으로 데뷔했다. 1979년 [[동양방송|TBC]] 드라마 '야, 곰례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이중 도시 속 실향민들의 일상을 그린 TBC, KBS 드라마인 달동네는 1980년부터 1981년까지 방영하며 평균 시청률이 60%까지 육박할 정도로 많은 인기를 끌었다. 2022년 6월 2일 사망했다. 향년 77세 == 작가 == * 드라마 * 사랑의 훈장 (1972) * [[달동네(드라마)|달동네]] (1980~1981) * [[약속의 땅(드라마)|약속의 땅]] (1982) * [[보통 사람들#s-5|보통 사람들]] (1982~1984) * [[고향(드라마)|고향]] (1985) * [[은빛여울]] (1985~1986) * [[도시의 얼굴]] (1987) * [[사랑의 기쁨(드라마)|사랑의 기쁨]] (1988~1979) * [[야망의 세월]] (1990~1991) * [[정든 님]] (1992) * [[남자는 외로워]] (1994) * [[에덴의 동쪽(드라마)|에덴의 동쪽]] (2008~2009) * [[폭풍의 연인]] (2010~2011) * [[끝없는 사랑]] (2014) * 영화 * 대답해 주세요 (1970) * 약속은 없었지만 (1970) * 일요일 밤과 월요일 아침 (1970) * 석화촌 (1972) * 방년 18세 (1973) * 여고 졸업반 (1975) * 빗속의 여인들 (1976) [[분류:대한민국의 드라마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1944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서라벌예술대학 출신]][[분류:청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