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나루히토)]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나루히토/헤이세이 시대, top2=나루히토/레이와 시대)]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루히토]]가 어린 시절이었던 [[쇼와 시대]]^^(1960-1989)^^ 때 행보. == 생애 == || [[파일:4B8A6D32-D773-4735-BF8D-45E3B6E5B195.jpg|width=100%]] || ||어머니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의 품에 안겨 궁내청 병원에서 퇴원하는 모습.[* 옆에 있는 심술궂은 표정의 여자는 [[아카사카 어소|아카사카 동궁어소]]의 [[시녀|시녀장]](侍女長) 마키노 스미코(牧野純子)인데, 큰며느리 미치코 황태자비를 몹시 미워한 [[나가코 황후]]가 손수 임명한 인물이다. 또한 이때 차창을 열어둔 일로 나가코 황후가 귀한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어쩔뻔했냐며 엄청 책망했다고.] || [[1960년]] [[2월 23일]] 16시 15분, [[도쿄]] [[치요다구]]의 [[궁내청]] 병원에서 [[아키히토|아키히토 황태자]]와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황태자 부부의 혼인 후 10달 만에 태어난 아이인데다 [[후계자]]인 첫 아들이라 황실은 물론 일본 전체가 경사였다고 한다. 최초의 평민 출신[* 말이 평민이지, 당시 [[아시아]] 최대 제분회사 닛신(日淸) 제분 회장의 장녀이자 [[재벌]] 2세로, 외가는 구 [[화족]] 가문이었다.] 어머니 미치코 황태자비는 '황족은 궁성 내 산전(宮中産殿)에서 아이를 낳는다'는 전통 관례를 깨뜨리고 [[궁내청]] 병원에서 출산했는데, 이로 인해 [[일본]] 역사상 병원에서 태어난 최초의 [[천황]]이 되었다. [[https://youtu.be.60beuZi71x0|영상]][* 아기를 보러 병원을 방문하는 황실 친인척들과 외가 식구들. 패전 이후 새롭게 시작하는 시대에서 황태자 부부의 첫자식이자 훗날 천황이 될 황손의 탄생(ご皇孫の誕生)을 기뻐하는 국민들로 축제 분위기가 된 일본 열도의 모습을 보여준다.] 생후 7일에 이름을 지정해주는 황실 의식인 「명명의식(命名意識の儀)」에서 할아버지 [[쇼와 덴노]]가 이름을 직접 지어주었다. 유래는 [[사서오경]]의 하나인 [[중용]] 제32장 구절인데, 이름은 '''나루히토(德仁)''', [[어칭호]]는 '''히로노미야(浩宮)'''였다. || [[파일:baby prince hiro.jpg|width=100%]] || || [[1960년]], 나루히토를 바라보고있는 [[아키히토|아키히토 황태자]]와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 || 아키히토 황태자 부부에게는 '나루쨩(ナルちゃん)' 이란 애칭으로 불렸다. 나루히토가 아기였을 때 아키히토 황태자는 취재진들에게 ‘아기님을 뭐라고 부르시냐’는 질문에 ‘나루 짱이라고 부른다’고 대답했다. 더불어 ‘그 애는 아직 자기 이름을 몰라요’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미치코 황태자비는 ‘비전하는 어떠시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자기 이름인지) 알고 있답니다.’라고 말한 후 미소를 지었다. === 유년 시절 === || [[파일:external/mainichi.jp/001.jpg|width=100%]] || '''밋치붐(ミッチーㆍブーム)'''[* [[아키히토]]와 평민 [[미치코 상황후|쇼다 미치코]]의 약혼과 결혼으로 인해 생긴 일본의 사회 현상이다. 이를 계기로 당시 아키히토 황태자 부부의 결혼식을 보기 위해 (흑백)텔레비전이 보급되는 등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경제|일본의 경제]], 패션, 매스컴, 미디어 등의 영역에서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더 자세한 것은 [[미치코 상황후]] 문서 참조.]이 정점에 달한 시절, 황태자 부부의 혼인 바로 이듬해 태어난 귀한 맏아들 나루히토는 '''엄격한 황실 후계자 교육, 즉 미래의 천황 교육'''에 순응하며 곧고 예의바르게 성장하였지만, 그 때문에 '사람들과 능숙하게 어울리지 못하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로이 표현하지 못한다'는 평도 받았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장래 [[천황]]이 될 후계자[* 아버지 [[아키히토]] 황태자가 1순위, 그 뒤를 이어 나루히토 친왕이 2순위이기 때문.]이기에 그는 5살 아래의 남동생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 9살 아래의 여동생 [[구로다 사야코]]에 비해 대단히 '''엄격'''하게 양육되었다고 한다.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는 [[미국인]] [[소아과]] [[의사]] [[벤저민 스포크]] 박사가 쓴 《The Common Sense Book of Baby and Child Care》라는 [[육아]] 서적을 [[영어]] 원서[* [[미치코 상황후]]는 [[세이신여자대학]] [[영문과]]를 '''수석'''으로 졸업했을 정도로 [[영어]] 실력이 우수했다. 따라서 원서를 읽는 데 전혀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로 읽으며 자녀교육에 대해 공부했고, 공무 때문에 아이들을 시종에게 맡길 때면 자신이 메모한 육아 지침을 주며 그에 따르도록 했다. 이 육아 지침은 '''나루 짱 헌법(ナルちゃん憲法)'''이라고 불리며 많은 [[일본]] 부모들의 많은 공감을 샀고, 《The Common Sense Book of Baby and Child Care》는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에서 더 많이 팔렸으며, [[베스트셀러]](육아 필독서)가 되었다. || [[파일:9008DFED-DC63-4AA1-B1F9-2C7CC811040F.jpg|width=100%]] || || 1960년 6월 1일, 생후 100일을 맞이한 기념사진. || || [[파일:94E12C11-EA2F-4115-93CB-5F2583F62058.jpg|width=100%]] || || 어머니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와 함께. || || [[파일:1679F57B-8C8E-45E4-86D5-12852C1A2FB7.jpg|width=100%]] || || [[1961년]], 첫 돌을 맞이한 나루히토 덴노. || || [youtube(O5msVcWtLug)] || || 첫 돌 기념 영상 || || [[파일:0AD5654D-A6B6-4319-8778-9C2B99432478.jpg|width=100%]] || || [[1962년]] 1월에 찍은 새해기념 가족사진. 온 가족에게 둘러싸여 애정과 귀여움을 한몸에 받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아버지 [[아키히토]], 작은아버지 [[마사히토]], 어머니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후]], 할머니 [[고준 황후]](나가코), 나루히토 본인, 할아버지 [[쇼와 덴노]](히로히토)이다.] || || [[파일:19BB3CE8-A7BF-4442-8906-EF0F52CF5549.jpg|width=100%]] || || [[파일:26FE30E3-0A3E-489B-9D7D-55FD45815AA4.jpg|width=100%]] || || 아버지 [[아키히토|아키히토 황태자]], 어머니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와 함께. || || [[파일:후미히토와 나루히토.jpg|width=100%]] || || [[파일:45AF1919-6FC7-4D47-B6D9-49311EE65D07.jpg|width=100%]] || || 5살 아래 남동생 아야노미야^^礼宮^^ [[후미히토]] 친왕(1965년생)과 함께. || || [[파일:prince hiro with grand parents.jpg|width=100%]] || || 부모님과 함께 외가 쇼다(正田) 가에 방문한 나루히토. 왼쪽 시계 방향부터 작은외삼촌 오사무(修), 외할아버지 히데사부로(英三郞), 외할머니 후미코(富美子)이다. || || [[파일:3E5428AF-7ED0-4BB7-9DD2-4D5E256A9670.jpg|width=100%]] || || [[1967년]] 4월, [[가쿠슈인]] 초등과에 입학하는 나루히토. 어머니 [[미치코 상황후|미치코 황태자비]]와 함께. || 이후 가쿠슈인 중등과([[남중]])와 고등과([[남고]])를 거쳐, 가쿠슈인대학에 진학한다. === 성년 시절 === 그동안 [[일본 황실]]의 관례로는 주로 [[생물학]] 등의 [[자연과학]] 전공이 대세였다. 나루히토의 할아버지인 [[쇼와 덴노]]와 큰고모 [[히가시쿠니 시게코]]는 [[생물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아버지 [[아키히토]] 덴노와 남동생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도 조류(새)를 연구했다.[* 후미히토 친왕은 조류 외에도 [[메기]]를 연구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의 별명은 '메기'이다.] 또한 여동생 [[구로다 사야코]]도, 시집가기 전 조류연구소에서 비상근 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루히토는 [[1982년]] 3월에 [[가쿠슈인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하였고, 가쿠슈인대학 [[대학원]]에 높은 성적으로 진학하였다. [[나루히토]]에게 [[사학과]] 진학을 적극 권유한 사람은 종조할아버지[* 아버지 [[아키히토]] 천황의 작은아버지.]인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이었다. 참고로 항목 보면 알겠지만, 다카히토 친왕 본인도 고대 [[오리엔트]]사를 전공한 [[역사학자]]였다. 이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나루히토]]의 육촌 여동생 [[아키코 공주]]도 [[옥스퍼드 대학교]]에 유학하여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황실]] 최초의 여성 박사)] 머튼 칼리지에 유학하여 [[템즈 강]]의 수운사에 대해 연구하였고, [[1988년]] 가쿠슈인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에서 박사 전기과정을 수료[* 일본에서는 석사를 수사, 혹은 박사 전기과정이라고 하며, 일본에서의 수료는 학위논문이 통과된 졸업 상태다. 한국에서 흔히 수료라고 하는 [[영구수료]]는 만기퇴학이라고 한다.]해 [[석사]]학위를 받았다. || [[파일:9E71696D-4CB3-4DDB-95A7-A063F5809C26.jpg|width=100%]] || || [[1980년]] [[2월 23일]], 갓 성년(만 20세)을 맞이해 [[고쿄]]에서 전통예복을 입고 '''성인식(加冠の儀)'''을 치르는 나루히토 친왕. || || [youtube(MYD008Gskv8)]|| || 성인식(加冠の儀 -浩宮さま成年式-) 영상 || 어느 가는 곳마다 [[나루히토]]를 알아보고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화제가 되는 [[일본]]과 달리, [[영국]]에서의 나루히토는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다른 학생들처럼 평범하게 생활할 수 있었다. 학교 [[기숙사]]에서 편히 지내고, [[학생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자유로이 외출하고[* 물론 [[궁내청]] 소속 [[경호원]]들이 몰래 숨어서 따라다니며 비밀 밀착 근접경호했겠지만.], 손수 [[청소]]를 하고 물건을 구입하는 등. 2년간의 [[영국]] [[유학]] 이후로, 어릴 적의 막연히 인내심이 깊던 성격에서 보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표현하게 되고, [[일본]] 내에서만 교육받아 형성되던 닫힌 세계관[* 기존 [[일본 황실]]의 보수적인 관념]이 확장되어 세계를 보는 「안목(慧眼)」, 즉 선진적인 새로운 사상과 진보적인 성품을 새로 배워왔다고 한다. [각주] [[분류:인물별/생애]][[분류:나루히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