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수론)] [목차] == 개요 == {{{+2 Division Algorithm}}} 처음 [[나눗셈]]을 배울 때 몫과 나머지가 당연히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나눗셈을 한다. 하지만 [[소인수분해]]의 존재성과 마찬가지로 몫과 나머지의 존재성은 당연한 결과가 아니며[* 당장 [[정수]]에서 [[유리수]]로만 올라가도 [[체(대수학)|나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수학적인 증명이 필요하다. 나눗셈 정리는 우리가 [[나눗셈]]을 통해 몫과 나머지를 자연스럽게 구하게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정리이다. 자세한 정리는 아래와 같다. >임의의 양의 정수 [math(a,b)]에 대하여, [math(b=aq+r,\,\left(0\leq r0)]이므로 [math(r-a임의의 두 가우스 정수 [math(\alpha, \beta\left(\beta\neq 0\right))]에 대하여, [math(\alpha=\beta\gamma+\rho)]이며 [math(N(\rho)[math(\alpha=14+13i, \beta=3+i)] 이 경우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5.5+2.5i)]이기에 가장 가까운 격자점에 해당하는 가우스 정수는 [math(5+2i)], [math(5+3i)], [math(6+2i)], [math(6+3i)]의 4개가 존재하며, 그 모두가 위의 나눗셈 정리를 만족하는 [math(\gamma)]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math(\rho)]가 정해지며, 그 모두가 [math(\displaystyle N(\beta)=10>5=\frac{1}{2}N(\beta)=N(\rho))]를 만족한다. >[math(\gamma=5+2i, \rho=1+2i)] >[math(\gamma=5+3i, \rho=2-i)] >[math(\gamma=6+2i, \rho=-2+i)] >[math(\gamma=6+3i, \rho=-1-2i)] 비슷한 경우로 [math(\alpha=23+65i, \beta=6+6i)]인 경우는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frac{22}{3}+\frac{7}{2}i)]이므로 가장 가까운 격자점은 [math(7+3i, 7+4i)]의 2가지가 있으며, 각각에 대해서 [math(\gamma, \rho)]는 다음과 같다. 역시 [math(\displaystyle N(\beta)=72>\frac{1}{2}N(\beta)=36>26=N(\rho))]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ath(\gamma=7+3i, \rho=-1+5i)] >[math(\gamma=7+4i, \rho=5-i)] 이와 같이 격자점의 정 중앙에 위치한 경우는 극단적인 케이스지만,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a+bi)]에서 [math(a=\lfloor a\rfloor+0.5)]이거나 [math(b=\lfloor b\rfloor+0.5)]인 경우라면 유일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라는 말이 사용되는 것. 일반적으로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a+bi)]의 실수부나 허수부중 하나라도 '''정수+0.5'''의 형태일 경우, 그 외의 상황에서는 유일하던 가우스 정수쌍은 2배로 늘어나며, 둘 모두 '''정수+0.5'''의 형태라면 최대 4개까지 공존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의 [math(r)] 근방을 잡았을 때, 이 [math(r)]근방에 격자점이 들어가는 최소의 [math(r)]에 대하여 근방에 들어가는 격자점의 수가 가우스 정수쌍의 수와 같아지는 것. 또한 [math(r)]근방에 연관된 또 다른 특징으로는 [math(\rho)]는 [math(r^2\beta)]가 되는데, 만약 [math(r)]근방에 격자점이 4개 들어가는 경우. 즉 격자의 정 중앙에 위치한 경우의 나머지의 가우스 노름은 제수의 가우스 노름의 '''정확하게 절반'''이 된다. 위의 예시에서는 제수의 가우스 노름은 10이지만 나머지의 가우스 노름은 정확하게 그 절반인 5가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의 증명은 간단한데, 격자점 정사각형의 중앙에서 꼭지점까지의 거리가 [math(\displaystyle \frac{1}{\sqrt 2})]이므로 가우스 노름에 의해 격자점과 중앙점의 차이의 노름이 [math(\displaystyle \frac{1}{2})]임과 유클리드 노름의 제곱인 가우스 노름이 곱에 대하여 보존된다는 것을 이용하면 쉽게 보일 수 있다. 즉, 가우스 정수에서의 나머지의 노름은 제수의 노름의 절반을 넘을 수 없다. 정확하게는 격자점에서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a+bi)]까지의 거리와 비율이 같으며, 그 최대값은 정중앙에 해당하는 [math(\displaystyle \frac{1}{2})]가 되는 것.][*증명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에 가장 가까운 격자점을 [math(\delta)], 그리고 그 차이를 [math(\epsilon)]이라고 하면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delta+\epsilon)]이 되는걸 이용한다. [math(\displaystyle \frac{\alpha}{\beta}=\delta+\epsilon)]이기에 [math(\displaystyle \alpha=\beta\cdot\delta+\beta\epsilon)]이 되고, [math(\delta)]는 가우스 정수이므로 [math(\delta=\gamma, \beta\epsilon=\rho)]라고 둔 뒤, [math(\beta\epsilon=\rho)]만 남기고 이항하여 노름을 씌우면 증명이 끝난다. [math(\epsilon)]이 격자점 내부의 점이기 때문에 격자점과의 최대 거리는 [math(\displaystyle \frac{1}{\sqrt 2})]이라는 것은 앞 각주에서 보였기 때문.] == 관련 문서 == * [[유클리드 호제법]] * [[나머지 정리]] * [[최대공약수]] [[분류:정수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