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2> '''{{{+1 나기브 마푸즈}}}[br]Naguib Mahfouz | محفوظ نجي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guib-Mahfouz.jpg|width=100%]]}}}||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문학상|{{{#fff 198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나기브 마푸즈 압둘아지즈 이브라힘 아흐메드 알 바샤[br]Naguib Mahfouz Abdelaziz Ibrahim Ahmed Al-Basha|| ||<|2> '''출생''' ||[[1911년]] [[12월 11일]]|| ||[[영국 치하 이집트|이집트 케디브국]] [[카이로]]|| ||<|2> '''사망''' ||[[2006년]] [[8월 30일]] (향년 94세)|| ||[[이집트]] [[기자(이집트)|기자]] 주 아구자||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 '''학력''' ||[[카이로 대학교]] {{{-2 (철학 / 학사)}}}|| || '''배우자''' ||아티야툴라 이브라힘 ^^(1954년 결혼)^^|| [목차] == 개요 == [[이집트]]의 소설가. 198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현재 [[아랍어]]권 작가 중 유일한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 생애 == 나기브 마푸즈는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 태어났다. 나깁이라는 이름[* 표준 아랍어에서는 ‘나지브’라고 해야 하지만 [[이집트 아랍어]]에서는 표준 아랍어의 j 발음을 g로 읽어 ‘나깁’ 혹은 ‘나기브’라고 읽는다.]은 출산을 도왔던 의사 나깁 바퍄 마푸즈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 마푸즈는 부동산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한 뒤 예술 관련부처 검열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훗날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종교적 ‘검열’ 때문에 오랜 세월 고통받았던 마푸즈가 원래 검열관 출신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아이러니다]. 뒤에 영화제작 지원 업무도 맡아 했었고[* 이집트는 중동 전체에 영화를 만들어파는 영화수출국이다.] 공직생활 마지막은 문화부 자문위원으로 마감했다. 마푸즈는 소설 34편을 냈고 단편 350편 이상을 발표했다. 또 작가생활 70년 동안 영화زب수십편과 희곡 다섯 편을 남겼다. 그의 작품 중 상당수가 아랍어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마푸즈는 항상 거칠다 싶을 정도로 솔직하고 명료하게 생각을 표현하는 작가였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동성애]]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지만 언제나 그의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는 ‘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집트는 물론이고 다른 아랍 국가들에서도 신([[알라]])에 대해 감히 논하는 것은 금기시됐으나 마푸즈는 예외였다. 그가 노벨문학상을 받는데 영향을 준 ‘게벨라위의 아이들 أولاد حارتنا)’이나 훗날 영화로 만들어졌던 ‘미다크 골목[* زقاق المدق·[[셀마 헤이엑]]이 주연한 멕시코산 영화 제목은 El callejon de los milagros]’ 같은 것들이 그런 예들이다. 1959년작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그야말로 마푸즈 문학세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 종교 세력으로부터 신성모독이라는 비난을 받고 사실상 출판·판매가 금지됐던 이 작품은 ‘[[아브라함계 종교]]’라고 불리는 세 유일신교, 즉 [[유대교]]와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의 세계관을 다루고 있다. 1989년 [[이란]]의 [[라흐바르]]인 [[호메이니]]가 [[악마의 시]]의 작가 [[살만 루시디]]를 살해하라는 파트와[* 파트와 자체는 이슬람 율법학자의 견해를 뜻한다. 그러나 이란의 이슬람 최고 지도자이자 국가최고지도자인 [[라흐바르]]의 파트와는 이란 같은 신정 국가에서 명령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이를 지키지 않거나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경우 생명권과 같은 기본적 인권마저 위태로워진다.]를 내린 뒤 이집트 맹인 신학자 오마르 압둘 라흐만은 한 기자에게 “마푸즈가 ‘게벨라위의 아이들’로 진작 벌을 받았더라면 루시디가 감히 그따위 책을 낼 엄두를 못 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집트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행사해왔던 오마르는 훗날 이 발언이 문제가 되자 “파트와를 내린 것”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1994년 이슬람 근본주의자 그룹이 오마르의 발언을 이집트 이슬람 지도부의 ‘공식 파트와’라고 해석하고 마푸즈를 공격하는 일이 발생했다. 당시 82살이었던 마푸즈는 자택 앞에서 칼에 찔렸고, 목숨은 건졌지만 오른손 신경이 끊어져 불구가 됐다. 마푸즈는 이 일이 있은 뒤 사망할 때까지 경호원들의 보호 속에 살아야 했다.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2006년 초에야 비로소 공식 출간될 수 있었다. 잡지에 연재됐던 것 외에 이 소설이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이집트에서는 처음이었다고 한다. 마푸즈의 또다른 대표작 '나일 강변 한담 ثرثرة فوق النيل'(1966)도 수난을 당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이 소설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절 영화로도 만들어졌는데, [[가말 압델 나세르]] 정권 시절 이집트 사회의 데카당스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덕택에 사다트 정권으로부터 바로 금지처분을 당했고 1990년대 말이 될 때까지 이 작품은 이집트에서 출판될 수 없었다. 영화도 상영금지된 것은 물론이다. 마푸즈를 또다른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게 만든 것은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이었다. 사다트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이스라엘 측과 악수를 나누고 [[노벨평화상]]을 받은 것. 사다트 대통령은 결국 이슬람 과격파 조직원에게 암살당함으로써 ‘목숨으로 값을 치른’ 셈이 됐는데, 마푸즈는 이 평화협정을 드러내놓고 지지했었다. 마푸즈는 2006년 8월 30일 카이로 시내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심장마비로 숨을 거뒀다. 워낙 고령이었던 데다가, 심장 질환과 신장병을 앓고 있던 차였다. 마푸즈의 장례식은 다음날 국장으로 치러졌다. 카이로 교외 나스르시티에 있는 알라슈단 모스크에서 열린 장례식은 [[이집트군]] 의장대가 도열한 가운데 엄숙하게 이뤄졌지다. 하지만 생전의 마푸즈 자신은 ‘카이로 빈민을 비롯해 이집트의 모든 이들이 애도해주는 것’을 바랐다고 한다. 2005년 내내 이집트에서는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장기집권에 저항하는 반독재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었다. 그 해 9월 극히 비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5선 연임’에 성공한 무바라크 정권은 마푸즈가 가진 영향력을 의식했는지, 그의 장례식에 극소수 각료들만 참석토록 제한해버렸다. 마푸즈가 사랑했던 ‘민중들’은 철저히 배제된 채 장례식이 치러짐으로써 아쉽게도 그의 마지막 꿈은 이뤄질 수 없었다. [[분류:이집트의 소설가]][[분류:노벨문학상 수상자]][[분류:1911년 출생]][[분류:2006년 사망]][[분류:카이로 출신 인물]][[분류:이집트의 무슬림]][[분류:카이로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