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0px -5px" [[나고야 임해고속철도|[[파일:Meirinko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나고야 임해고속철도|{{{#ffffff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2><:>{{{#009cc9,#36d2ff {{{+1 '''[ruby(西名古屋港線, ruby=にしなごやこうせん)]'''}}}[br]West Nagoya Port Line | 니시나고야항선}}}|| ||<-2> [[파일:Meirinko-1000.png|width=100%]] ----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통칭''' ||아오나미선 (あおなみ線) || || '''기점''' ||[[나고야역]] || || '''종점''' ||[[킨죠후토역]] || || '''역 수''' ||11 || || '''노선기호''' ||{{{#009cc9,#36d2ff {{{+1 '''AN'''}}}}}} || || '''개통일''' ||[[1950년]] [[6월 1일]] (화물운송)[br][[2004년]] [[10월 6일]] (여객영업) || || '''소유자''' ||[[나고야 임해고속철도|[[파일:Meirinko_logo.gif|width=200]][br]{{{#4344a3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 || '''운영자''' ||[[나고야 임해고속철도|[[파일:Meirinko_logo.gif|width=200]][br]{{{#4344a3 나고야 임해고속철도}}}]][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40]][br]{{{#477897,#6ca7c9 JR 화물}}}]] || || '''사용차량'''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 || '''차량기지''' ||시오나기 차고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5.2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복선자동폐색식 || || '''신호방식''' ||ATS-ST || || '''최고속도''' ||100km/h || || [youtube(c6kahcjYj3o)] || || {{{#ffffff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고야 임해고속철도]]가 운영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정식 명칭은 '''니시나고야항선(西名古屋港線)'''이나, 일반적인 경우 '아오나미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JR 화물]]의 차량이 [[나고야역]]에서 [[나고야 화물터미널역]]까지 제2종 철도사업자로써 화물차량을 운행한다. 이 노선 연선의 주요 시설로는 나고야 [[경마장]]과 [[출입국재류관리청|나고야 출입국재류관리국]]이 있다. 또, 종점역인 킨죠후토역에는 JR 도카이의 철도박물관[* 참고로 [[JR 동일본]]은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 인근, [[JR 서일본]]은 [[우메코지쿄토니시역]] 인근, [[JR 큐슈]]는 [[모지코역]] 인근에 철도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인 [[리니어 철도관]]와 [[레고랜드 재팬]]이 있다. 2021년 2월부터 4개국어[* 일본어, 영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한국어 대신 포르투갈어가 들어간 것이 특이한데, 그 이유는 나고야가 일본에서 거주하는 [[일본계 브라질인]]이 많은 도시이기 때문.]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 역사 == 원래는 나고야항의 확장에 따라 수송력을 확충하기 위해 부설된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지선이었으며, 통칭 니시나고야항선(西名古屋港線)이었다. 원래 구간은 [[사사지마역|사사지마]]~[[니시나고야항역|니시나고야항]]이었으나 1986년에 사사지마역이 폐역되어 기점이 [[나고야역]]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에는 [[나고야 화물터미널역|나고야 화물터미널]]~니시나고야항 구간이 폐선되었다. 한편 1990년대 초반에는 철도 음영지역이었던 [[미나토구(나고야)|미나토구]] 남부로의 여객철도 진입을 위해 이 노선을 정비하는 것이 결정되었고, 1997년에 제3섹터 철도회사인 [[나고야 임해고속철도]]가 출범했다. 이후 노선에 여객역을 설치하고 킨죠후토역까지 연장하는 등의 정비를 거쳐 2004년에 정식 개업했다. 개업 이후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까지 연장하려는 계획도 있었으나 '''2,000억 엔'''이 넘는 비용이 예상되어 백지화되었고, [[메이테츠 토코나메선]]의 [[신마이코역]]까지 이으려는 계획이 나오고 있다. 이쪽은 예산이 800억 엔이다. == 운행 형태 == 평시에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1인 승무]] 보통열차만 운행하며, 타 노선에는 직결운행하지 않는다. 한 시간에 왕복 각각 RH 5~6회, NH 3~4회 운행한다. 화물열차가 아오나미선을 거쳐 [[나고야 화물터미널역]]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논스톱 킨죠후토, 논스톱 나고야는 킨죠후토역 인근에 행사가 있는 경우 운행한다. 나고야~킨죠후토 사이의 모든 중간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역 목록 == * 전구간 [[아이치현]] [[나고야시]]내 소재. * 임시급행 논스톱은 정차역이 나고야, 킨죠후토밖에 없기에 우등 서술을 하지 않기로 한다. ||<-5> {{{#ffffff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니시나고야항선 (아오나미선)'''}}} || || {{{#ffffff 번호}}}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소재지}}} || || AN01 || [[나고야역|나고야]][br](名古屋) || 0.0 ||¶[[JR 도카이]] [[파일:JRC-SKS.svg|width=17]][[도카이도 신칸센]],[br][[파일:JRC-CA.svg|width=17]][[도카이도 본선/JR 도카이|도카이도선]] (CA68), [[파일:JRC-CF.svg|width=17]][[츄오 본선]] (CF00), [[파일:JRC-CJ.svg|width=17]][[간사이 본선]] (CJ00)[br]¶[[나고야 시영 지하철]] [[파일:NGYSub-H.svg|width=17]][[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히가시야마선]] (H08), [[파일:NGYSub-S.svg|width=17]][[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사쿠라도리선]] (S02)[br]¶'''[[메이테츠나고야역]]''' : [[나고야 철도]] [[파일:MT-NH.svg|width=25]][[메이테츠 나고야 본선|나고야 본선]] (NH36)[br]¶'''[[킨테츠나고야역]]''' : [[킨키 일본 철도]] [[파일:KT-E.svg|width=17]][[킨테츠 나고야선|나고야선]] (E01) ||<|3> 나카무라구 || || AN02 || [[사사시마라이브역|사사시마라이브]][br](ささしまライブ) || 0.8 || || || || [[사사시마 신호장]][br](笹島信号場) || 1.8 || || || AN03 || [[코모토역|코모토]][br](小本) || 3.3 || ||<|5> 나카가와구 || || AN04 || [[아라코역|아라코]][br](荒子) || 4.3 || || || || [[나고야 화물터미널역|나고야 화물터미널]][br](名古屋貨物ターミナル) || 5.1 || || || AN05 || [[미나미아라코역|미나미아라코]][br](南荒子) || 5.2 || || || AN06 || [[나카지마역|나카지마]][br](中島) || 5.9 || || || AN07 || [[코호쿠역(아이치)|코호쿠]][br](港北) || 7.1 || ||<|6> 미나토구 || || AN08 || [[아라코가와코엔역|아라코가와코엔]][br](荒子川公園) || 8.2 || || || AN09 || [[이나에이역|이나에이]][br](稲永) || 9.8 || || || || [[시오나기 신호장]][br](潮凪信号場) || 11.0 || || || AN10 || [[노세키역|노세키]][br](野跡) || 12.1 || || || AN11 || [[킨죠후토역|킨죠후토[br]{{{-2 (포트 멧세 나고야)}}}]][br](金城ふ頭)[br]{{{-2 (ポートメッセなごや)}}} || 15.2 || || === 옛 노선 (화물전용선: ~2001) === ||<-4> {{{#ffffff '''국철 도카이도 본선 화물지선 (니시나고야항선)'''}}} ||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비고}}} || {{{#ffffff 소재지}}} || || [[사사지마역|사사지마]][br]笹島 || 0.0 || (1986년 폐역) ||<|2> [[나카무라구]] || || [[사사시마 신호장]][br]笹島信号場 || ''1.8'' || || || ([[시오나기 신호장]])[br](潮凪信号場) || - ||<2004년 개통=None> ||<|2> [[미나토구(나고야)|미나토구]] || || [[니시나고야항역|니시나고야항]][br]西名古屋港 || 12.6 || (2001년 폐역)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고야 임해고속철도, version=48)]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분류:1950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2004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아오나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