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 혼자만 레벨업)] ||<-2>
{{{#ffffff,#dddddd '''{{{+1 나 혼자만 레벨업}}}'''[br]Solo Leveling (Only I Level U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업.jpg|width=100%]]}}} || || '''{{{#ffffff,#dddddd 장르}}}''' ||[[현대 판타지]], [[액션]], [[헌터물|헌터]] || || '''{{{#ffffff,#dddddd 작가}}}''' ||[[추공]] || || '''{{{#ffffff,#dddddd 출판사}}}''' ||[[디앤씨미디어]]([[파피루스(동음이의어)#s-5|파피루스]]) || || '''{{{#ffffff,#dddddd 연재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카카오페이지]] [[https://page.kakao.com/content/48787313|▶]][br][[리디]] [[https://ridibooks.com/books/777034313|▶]][br][[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nhn?productNo=3207276|▶]][br][[톡소다(웹사이트)|톡소다]] [[https://www.tocsoda.co.kr/product/productView?brcd=76M1802122622|▶]][br][[원스토리]] [[https://onestory.co.kr/detail/H033017601|▶]][br][[북큐브]] [[https://www.bookcube.com/novel/detail.asp?serial_num=se3935|▶]][br][[스낵북]] [[https://snackbook.net/snack/12376/info/|▶]][br][[조아라(웹사이트)|조아라]] [[https://www.joara.com/book/1430230|▶]][br][[미스터블루]] [[https://www.mrblue.com/novel/E000073052|▶]][br][[무툰]] [[https://www.mootoon.co.kr/nov/nov_list.mg?tcode=g4dx|▶]][br]애니툰 [[https://www.anytoon.co.kr/novel/episode/8301|▶]]}}} || || '''{{{#ffffff,#dddddd 연재 기간}}}''' ||2016. 07. 25. ~ 2018. 03. 13. || || '''{{{#ffffff,#dddddd 단행본 권수}}}''' ||개정 전: 14권 ,,(2018. 04. 18. 完),,[br]개정 후: 8권 ,,(2019. 08. 19. 完),, || || '''{{{#ffffff,#dddddd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현대 판타지]]·[[헌터물]] 웹소설. 작가는 [[추공]]. 제목처럼 현실에서 레벨업 시스템을 이용하여 성장하는 주인공이 특징인 작품이다. 연재 당시 [[카카오페이지]] 최고의 인기를 자랑하던 작품이었다. 웹툰화의 인기와 카카오페이지의 잦은 이벤트로 완결 후 3년이 지나도 상위 랭크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2022년 2월 4일 기준 3,023,659명 이상이 보았다.[* 3년 간 인기 검색어 순위 1위, 하락하더라도 최소 3위 이내에는 군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신작 출시 및 여러 이벤트 등으로 1위에서 내려오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1위를 탈환하는 것도 부지기수다. 2021년 11월 첫째 주에 신작 출시 등으로 순위가 5위까지 내려갔다가 연재일에 2위, 그 다음날 1위를 다시 탈환했다.] == [[나 혼자만 레벨업/줄거리|줄거리]] == >재능 없는 만년 E급 헌터, 성진우. >기이한 던전에서 죽음을 목전에 두지만 >위기는 언제나 기회와 함께 찾아오는 법! > >[플레이어가 되실 자격을 획득하셨습니다.] >"플레이어? 내가 레벨업을 할 수 있다고?" > >전 세계 헌터 중 유일무이, 전무후무 >시스템과 레벨업 능력을 각성한 진우. >세상을 향해 자유를 선포한다! >---- >― 카카오페이지 작품 소개 {{{#!wiki style="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color: #000; padding: 10px 0 10px 0; width: 600px; max-width: 100%; color: #fff; text-align: center; float: center" '''{{{+1 나 혼자만 레벨업 목차}}}'''[b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50%; max-width: 100%" {{{#!folding [ 시즌1 ] ||
'''범위''' || '''에피소드''' || '''제목''' || || 1화 || 에피소드 0 || 프롤로그 || || 1 ~ 2화 || 에피소드 1 || E급 헌터 || || 2 ~ 3화 || 에피소드 2 || 이중 던전 || || 3화 || 에피소드 3 || 시작된 공격 || || 4 ~ 5화 || 에피소드 4 || 세 가지 규율 || || 5 ~ 7화 || 에피소드 5 || 마지막 시험 || || 7 ~ 10화 || 에피소드 6 || 패널티 || || 10 ~ 12화 || 에피소드 7 || 일일 퀘스트 || || 12 ~ 15화 || 에피소드 8 || 레벨 업! || || 15 ~ 16화 || 에피소드 9 || 보스전 || || 16 ~ 18화 || 에피소드 10 || 급한 불 || || 18 ~ 22화 || 에피소드 11 || 도마뱀들 || || 22 ~ 25화 || 에피소드 12 || 긴급 퀘스트 || || 25화 || 에피소드 13 || 정리 || || 26 ~ 28화 || 에피소드 14 || 거래 || || 28 ~ 29화 || 에피소드 15 || 악마성 || || 29 ~ 31화 || 에피소드 16 || 우연 || || 32 ~ 34화 || 에피소드 17 || B급 강태식 || || 34 ~ 36화 || 에피소드 18 || 톱니바퀴 || || 36 ~ 39화 || 에피소드 19 || 이상한 레이드 || || 39 ~ 43화 || 에피소드 20 || 대박의 예감 || || 43 ~ 45화 || 에피소드 21 || 전직 퀘스트 || || 46 ~ ?화 || 에피소드 22 || 시스템 던전 || || ? ~ ?화 || 에피소드 23 || 핏빛의 이그리트 || || ? ~ ?화 || 에피소드 24 || 진짜 시험 || || ? ~ ?화 || 에피소드 25 || 전직의 결과 || || ? ~ ?화 || 에피소드 26 || 상위 클래스 || || ? ~ ?화 || 에피소드 27 || 그림자 군주 || || ? ~ ?화 || 에피소드 28 || 묘한 부탁 || || ? ~ ?화 || 에피소드 29 || 당돌한 여고생 || || ? ~ ?화 || 에피소드 30 || 레드 게이트 || || ? ~ ?화 || 에피소드 31 || 김철의 문노 || || ? ~ 64화 || 에피소드 32 || 백귀 사냥 || || 65 ~ ?화 || 에피소드 33 || 이상한 오해들 || || ? ~ ?화 || 에피소드 34 || 인간인가, 마수인가? || || ? ~ ?화 || 에피소드 35 || 악마성 공략 || || ? ~ ?화 || 에피소드 36 || 순조로운 시작 || || ? ~ ?화 || 에피소드 37 || 탐욕스런 볼칸 || || ? ~ ?화 || 에피소드 38 || 보상 아이템 || || ? ~ ?화 || 에피소드 39 || 등급 심사 || || ? ~ ?화 || 에피소드 40 || 심사 결과 || || ? ~ ?화 || 에피소드 41 || 헌터 협회장의 제안 || || ? ~ ?화 || 에피소드 42 || 견학 || || ? ~ 82화 || 에피소드 43 || 채굴 팀의 신성 || || 83 ~ ?화 || 에피소드 44 || B팀의 레이드 || || ? ~ ?화 || 에피소드 45 || S급 짐꾼 || || ? ~ ?화 || 에피소드 46 || 하이오크의 습격 || || ? ~ ?화 || 에피소드 47 || 역습 || || ? ~ ?화 || 에피소드 48 || 어금니 || || ? ~ ?화 || 에피소드 49 || 재측정 || || ? ~ ?화 || 에피소드 50 || 10번째 S급 헌터 || || ? ~ ?화 || 에피소드 51 || 헌터옥션 || || ? ~ ?화 || 에피소드 52 || 악마성, 두 번째 도전 || || ? ~ 101화 || 에피소드 53 || 수상한 몬스터들 || || 102 ~ ?화 || 에피소드 54 || 동행 || || ? ~ ?화 || 에피소드 55 || 다가오는 위협 || || ? ~ ?화 || 에피소드 56 || 감사의 마음으로 || || ? ~ ?화 || 에피소드 57 || 진정한 보상 || || ? ~ ?화 || 에피소드 58 || 한일 연합팀 || || ? ~ ?화 || 에피소드 59 || 고토 류지 || || ? ~ ?화 || 에피소드 60 || 시작되는 작전 || || ? ~ ?화 || 에피소드 61 || 불길한 기운 || || ? ~ ?화 || 에피소드 62 || 구원자 || || ? ~ 119화 || 에피소드 63 || 개미들의 왕 || || 120 ~ ?화 || 에피소드 64 || 개미 사냥 || || ? ~ ?화 || 에피소드 65 || 수확의 시간 || || ? ~ ?화 || 에피소드 66 || 개미왕의 그림자 || || ? ~ ?화 || 에피소드 67 || 진우를 향하는 시선들 || || ? ~ ?화 || 에피소드 68 || 이건 뭐야? || || ? ~ ?화 || 에피소드 69 || 의외의 접근 || || ? ~ 132화 || 에피소드 70 || 업그레이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50%; max-width: 100%" {{{#!folding [ 시즌2 ] ||
'''범위''' || '''에피소드''' || '''제목''' || || 133 ~ ?화 || 에피소드 71 || 가입 희망자 || || ? ~ ?화 || 에피소드 72 || 입단 테스트 || || ? ~ ?화 || 에피소드 73 || 솔플 길드는 어때? || || ? ~ 138화 || 에피소드 74 || 공교로운 타이밍 || || 139 ~ ?화 || 에피소드 75 || 인간 사냥 || || ? ~ ?화 || 에피소드 76 || 최고 속도로 || || ? ~ ?화 || 에피소드 77 || 상황 종료 || || ? ~ ?화 || 에피소드 78 || 제안 || || ? ~ ?화 || 에피소드 79 || 으허허헛! || || ? ~ ?화 || 에피소드 80 || 우진철의 시선 || || ? ~ ?화 || 에피소드 81 || 업그레이드 컴플리트 || || ? ~ ?화 || 에피소드 82 || 멸망의 조짐 || || ? ~ ?화 || 에피소드 83 || 일본의 대책 || || ? ~ 155화 || 에피소드 84 || 들어가는 자와 나오려는 놈들 || || 156 ~ ?화 || 에피소드 85 || 마지막 시험 || || ? ~ ?화 || 에피소드 86 || 설계자 || || ? ~ ?화 || 에피소드 87 ||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 || ? ~ ?화 || 에피소드 88 || 불청객들 || || ? ~ ?화 || 에피소드 89 || 헌터스 대 석상들 || || ? ~ ?화 || 에피소드 90 || 검은 심장 || || ? ~ ?화 || 에피소드 91 || 의외의 접근 || || ? ~ ?화 || 에피소드 92 || 결심 || || ? ~ ?화 || 에피소드 93 || 1억의 후퇴, 1인의 반격 || || ? ~ 174화 || 에피소드 94 || 보스급 거인 || || 175 ~ ?화 || 에피소드 95 || 거인들의 왕 || || ? ~ ?화 || 에피소드 96 || 불길한 기류 || || ? ~ ?화 || 에피소드 97 || 한국에서의 비보 || || ? ~ ?화 || 에피소드 98 || 기적 || || ? ~ ?화 || 에피소드 99 || 드리우는 그림자 || || ? ~ ?화 || 에피소드 100 || 영역 확장 || || ? ~ ?화 || 에피소드 101 || 미국으로 || || ? ~ ?화 || 에피소드 102 || 꺼지지 않는 불꽃 || || ? ~ ?화 || 에피소드 103 || 분노한 사자 || || ? ~ ?화 || 에피소드 104 || 좁혀 가는 포위망 || || ? ~ ?화 || 에피소드 105 || 맹수들의 조우 || || ? ~ 192화 || 에피소드 106 || 맹수의 급 || || 193 ~ ?화 || 에피소드 107 || 신병 || || ? ~ ?화 || 에피소드 108 || 국제길드 컨퍼런스에서 || || ? ~ ?화 || 에피소드 109 || 헌터관리국의 속내 || || ? ~ ?화 || 에피소드 110 || 시기상조 || || ? ~ ?화 || 에피소드 111 || 헌터들의 밤 || || ? ~ ?화 || 에피소드 112 || 습격 || || ? ~ ?화 || 에피소드 113 || 혹한의 군주 || || ? ~ ?화 || 에피소드 114 || 부고 || || ? ~ ?화 || 에피소드 115 || 교차하는 생각들 || || ? ~ ?화 || 에피소드 116 || 새로운 헌터협회장 || || ? ~ ?화 || 에피소드 117 || 베르의 요구 || || ? ~ ?화 || 에피소드 118 || 토마스의 호의 || || ? ~ ?화 || 에피소드 119 || 한국, 대위기 || || ? ~ 211화 || 에피소드 120 || 각자의 준비 || || 211 ~ ?화 || 에피소드 121 || 데이트 || || ? ~ ?화 || 에피소드 122 || 짐승들의 왕 || || ? ~ ?화 || 에피소드 123 || 함정 || || ? ~ ?화 || 에피소드 124 || 군주들의 협공 || || ? ~ ?화 || 에피소드 125 || 알수없음 || || ? ~ ?화 || 에피소드 126 || 다시 한 번 || || ? ~ ?화 || 에피소드 127 || 그림자 군주의 기억 || || ? ~ ?화 || 에피소드 128 || 진화 || || ? ~ ?화 || 에피소드 129 || 진정한 힘 || || ? ~ ?화 || 에피소드 130 || 사냥 || || ? ~ ?화 || 에피소드 131 || 왕의 분노 || || ? ~ ?화 || 에피소드 132 || 게이트가 열리다! || || ? ~ 228화 || 에피소드 133 || 전대 군주의 유산 || || ?229 ~ ?화 || 에피소드 134 || 정비 || || ? ~ ?화 || 에피소드 135 || 게이트들 || || ? ~ ?화 || 에피소드 136 || 각자의 준비 || || ? ~ ?화 || 에피소드 137 || 각오 || || ? ~ ?화 || 에피소드 138 || 세계에 고하는 경고 || || ? ~ ?화 || 에피소드 139 || 오만과 망상 || || ? ~ ?화 || 에피소드 140 || 용제의 강림 || || ? ~ ?화 || 에피소드 141 || 출전 || || ? ~ ?화 || 에피소드 142 || 함정 || || ? ~ ?화 || 에피소드 143 || 유인 || || ? ~ ?화 || 에피소드 144 || 모든 것을 걸고 || || ? ~ 243화 || 에피소드 145 || 싸움의 끝 || || 244화 || 외전 1 || 나는 헌터협회 직원입니다 || || 245 ~ 246화 || 외전 2 || 재회 || || 247화 || 외전 3 || 귀환 || || 248화 || 외전 4 || 이그리트의 기억 || || 249 ~ 254화 || 외전 5 || 너의 일상은 || || 255화 || 외전 6 || 결심 || || 256화 || 외전 7 || 어금니의 하루 || || 257화 || 외전 8 || 나 혼자만 만렙 || || 258 ~ 261화 || 외전 9 || 지금 만나러 갑니다 || || 262 ~ 264화 || 외전 10 || 12년 후 || || 265화 || 후일담 1 || 베르의 기억 || || 266화 || 후일담 2 || 다시 만날 때가지 || || 267화 || 후일담 3 || 접근 || || 268화 || 후일담 4 || 전지! 전진! || || 269화 || 후일담 5 || 결론 || || 270화 || 후일담 6 || goodbye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줄거리)] == 연재 현황 == 원래 2016년 경 [[문피아]]에서 무료연재를 하였으나 이후 [[카카오페이지]](KakaoPage)로 연재처를 옮겨 2016년 7월 25일부터 정식 연재를 시작하였다. 2018년 3월 13일 완결됐다. 소설이 완결될 무렵[* 2018년 3월 4일] [[나 혼자만 레벨업(웹툰)|웹툰판]]이 카카오페이지에서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소설 완결 이후 [[네이버 시리즈]], [[리디]], [[조아라(웹사이트)|조아라]]에 연재본이 풀렸다. [[나 혼자만 레벨업(웹툰)|웹툰판]]은 2021년 12월 29일 완결됐다. 2023년 1월 23일 외전으로 연재가 재개되었다. 2023년 4월 10일에 나 혼자만 레벨업의 스핀오프인 [[나 혼자만 레벨업 : 라그나로크]]의 연재가 시작되었다.[* 다만 작가는 추공이 아닌 [[던전리셋]]의 작가인 [[다울]]이다] === 해외 연재 === ==== 미국 ==== 정식 영어 번역본은 영미권에서 유명한 웹소설 연재 및 구입 플랫폼 [[Webnovel]](웹노벨)에서 [[2018년]] [[12월 21일]]부터 연재되기 시작했고 [[2019년]] [[6월 24일]]에 완결되었다.[[https://www.webnovel.com/book/only-i-level-up-(solo-leveling)_12507348206677105|(링크)]] ==== 일본 ==== 일본 픽코마의 나 혼자만 레벨업의 [[나 혼자만 레벨업(웹툰)|웹툰판]] 인기에 힘입어 소설도 일본어 번역이 제공되었다. [[https://piccoma.com/web/product/18836|(링크)]] 배경이 일본으로 로컬라이징되었으며, 그에 따라 작중 인물들도 일본식 이름이 지어지게 되었다. 일부 인물들의 경우 이름에 한국 이름 혹은 작중 행적을 떠올리게 하는 한자가 들어가 있다. || '''한국 이름''' || '''일본 이름''' || '''한국 이름''' || '''일본 이름''' || || [[성진우]] || [ruby(水篠, ruby=みずしの)][ruby(旬, ruby=しゅん)][br]{{{-1 미즈시노 슌}}} || [[차해인]] || [ruby(向坂, ruby=こうさか)][ruby(雫, ruby=しずく)][br]{{{-1 코사카 시즈쿠}}} || || [[유진호]] || [ruby(諸菱, ruby=もろびし)][ruby(賢, ruby=けん)][ruby(太, ruby=た)][br]{{{-1 모로비시 켄타}}} || [[우진철(나 혼자만 레벨업)|우진철]] || [ruby(犬飼, ruby=いぬかい)][ruby(晃, ruby=あきら)][br]{{{-1 이누카이 아키라}}} || || 성일환 || [ruby(水篠, ruby=みずしの)][ruby(潤, ruby=じゅん)][ruby(一, ruby=いち)][ruby(郎, ruby=ろう)][br]{{{-1 미즈시노 준이치로}}} || [[고건희]] || [ruby(後, ruby=ご)][ruby(藤, ruby=とう)][ruby(清臣, ruby=きよおみ)][br]{{{-1 고토 키요오미}}} || || 백윤호 || [ruby(白川, ruby=しらかわ)][ruby(大虎, ruby=たいが)][br]{{{-1 시라카와 타이가}}} || 최종인 || [ruby(最, ruby=も)][ruby(上, ruby=がみ)][ruby(真, ruby=しん)][br]{{{-1 모가미 신}}} || || 성진아 || [ruby(水篠, ruby=みずしの)][ruby(葵, ruby=あおい)][br]{{{-1 미즈시노 아오이}}} || 박경혜 || [ruby(水篠, ruby=みずしの)][ruby(聡, ruby=さと)][ruby(子, ruby=こ)][br]{{{-1 미즈시노 사토코}}} || || 민병구 || [ruby( 美濃部, ruby=みのべ)][ruby(剛, ruby=ごう)][br]{{{-1 미노베 고}}} || 송치열 || [ruby(馬, ruby=ま)][ruby(渕, ruby=ぶち)][ruby(勲, ruby=いさお)][br]{{{-1 마부치 이사오}}} || || 이주희 || [ruby(観, ruby=み)][ruby(月, ruby=づき)][ruby(絵里, ruby=えり)][br]{{{-1 미즈키 에리}}} || 한송이 || [ruby(朝, ruby=あさ)][ruby(比, ruby=ひ)][ruby(奈, ruby=な)]りん[br]{{{-1 아사히나 린}}} || || 유수현 || [ruby(諸菱, ruby=もろびし)][ruby(明, ruby=あき)][ruby(菜, ruby=な)][br]{{{-1 모로비시 아키나}}} || 유진희 || [ruby(諸菱, ruby=もろびし)][ruby(美希, ruby=みき)][br]{{{-1 모로비시 미키}}} || == [[나 혼자만 레벨업/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등장인물)] == 설정 == * '''[[마수(나 혼자만 레벨업)|마수]]''' 게이트 속 던전에서 출몰하는 괴수들. 게이트의 등급이 높을 수록 강한 마수들이 출현한다. * '''헌터''' 마수들을 사냥하는 이능력자. 마력량에 따라 E,D,C,B,A,S 등급으로 구분된다. 다만 마력량으로 구분되는 등급은 A급 까지이고, S급은 측정기로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높은 등급을 말하기 때문에 S급 헌터 개개인의 역량이 많이 차이가 난다. 그리고 과거 헌터 대강국이었던 미국을 거의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최초의 드래곤 몬스터, 카미쉬를 토벌하고 살아남은 5명의 헌터를 국가권력급 헌터[*스포일러 추후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국가권력급 헌터들과 일부 추가 헌터들은 사실 지배자들의 파편을 지닌 헌터들이며 그 때문에 타 S급 헌터들과 비교해도 더 강한 전력을 가진 것이라고 평가받았다.]라고 칭하며 이들은 S급조차 뛰어넘는 강자들이며 말 그대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닌 사람들이다. 또한 처음으로 특정 헌터 등급을 판정받고 난 후엔 어떤 노력을 해도 상위 등급의 헌터를 이길 수 없으며 승급조차 거의 불가하다. 다만 아예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고, 재각성을 하거나 노마 셀너에게 강화 혜택을 받는 방법이 있다. * '''[[던전(나 혼자만 레벨업)|던전]] ''' 10년 전 갑자기 지구에 열린 이([[異]])차원과 연결된 통로. 마수들이 있으며 일주일 내 던전을 클리어하지 못하면 던전 브레이크가 일어나며 마수들이 게이트 바깥으로 나올 수 있다. * '''레드 게이트''' 레드 게이트는 한번 들어가면 보스를 잡거나 일주일이 지나 던전 브레이크가 일어날 때까지 나오지 못하는 게이트, 일반적인 게이트는 동굴 같은 곳인데 반면 레드 게이트는 지형이 변한다. 들어가는 순간. 들어가면 배경이 사막처럼 되거나 밀림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들어갈 때는 마음대로지만 나올 때는 아닌지라]] 사망자가 자주 나온다. B등급 이상 게이트에서만 발생한다. 일단 게이트가 붉어지면 게이트가 막히면서 마력도 새어나오지 못해 등급 측정도 불가능하다. * '''헌터협회''' 헌터들의 활동을 총괄 관리하는 기관. * '''감시과''' 헌터협회에서 헌터들의 행동을 감시하며 헌터범죄를 담당하는 부서. 때문에 전투방식 자체가 대인전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 '''길드''' 헌터들을 모아 던전에서 마수들을 처치하는 단체. 대표적으로 한국에는 헌터스, 백호, 사신, 명성, 기사단 길드가, 미국에는 스케빈저 길드가 있다. * '''시스템''' * '''레벨업''' * '''상점''' 성진우가 원하는 것이 있을 때, 구입할 수 있는 곳. 가상의 시스템. * '''전직''' 직업을 선택하는 것. 일반적인 RPG의 그것과 비슷하다. * '''인벤토리''' RPG의 그것이다. 성진우가 습득한 아이템을 보관할 수 있다. * '''일일퀘스트''' 성진우에게 매일 주어지는 퀘스트. 이를 달성하지 못할 시, 패널티 존으로 이동한다. 퀘스트 내용은 [[달리기]] 10km,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스쿼트]] 각 100회. 초기에는 달성하지 못하고 패널티 존에서 쫓겨나는 일이 부지기수였지만 점차 이에 적응한 후에는 오히려 일부러 패널티 존으로 들어가서 패널티 몬스터를 이용해 성장하기도 한다. 물론 그렇게 해서 패널티 존을 클리어했을 시 이후에 출입하게 되는 패널티 존의 난이도는 수직상승한다. * '''군주''' 절대자가 태초에 존재하던 어둠을 여덟개로 쪼개 만든 존재들로, 절대자의 명령으로 모든 것을 파괴하는 행동을 하고 다니는 인물들이다. 또한 작중 주인공 성진우와 적대하게 된 최종 보스들이다. 과거 지배자들이 절대자를 배신하고 나서부터 전세가 급격히 기울어졌으며, 급기야 군주의 일원이었던 레기아가 붙잡히면서 전력의 차이가 벌어짐에 따라 결국 전쟁에서 패배하였다. 그렇게 군주들은 지배자들을 피해 도주하다 지구라는 행성을 발견하고 이곳을 2차 전쟁의 전쟁터로 쓰기 위해 각자의 그릇을 찾아 강림하기 시작했으며, 작품 내 메인 빌런 중 한 명이자 최종 보스인 용제가 포함된 세력이다. 앞서 서술했듯이 본래는 여덞 명이었으나, 아스본이 절대자의 안배에 따라 지배자에서 군주가 된 후 이쪽으로 넘어왔기에 총 아홉 명이 되었다. 이후 제 2대 그림자 군주인 성진우가 이들을 모두 토벌하며 사실상 에필로그 시점에서 남은 유일한 군주는 성진우 한 명이 된다. * '''지배자''' 절대자가 태초에 존재하던 빛을 여덟개로 쪼개 만든 인물들로, 절대자의 명령으로 모든것을 파괴하고 다니는 군주들을 저지하고 토벌하는 명령을 받은 인물들이다. 처음엔 그들의 창조주인 절대자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쟁에 진척은 없고 희생만 늘어나자 그들은 절대자에게 고난을 이겨낼 힘을 부탁했으나, 절대자가 묵묵부답하는 것을 보고 자신들이 하고 있는 전쟁은 절대자에게 그저 유희임을 깨닫게 되고 이내 절대자를 죽이기로 한다. 다만 이때 충성심이 높았던 단 한 명의 지배자만큼은 반역을 급격히 반대했으나, 나머지 7명의 지배자들이 그를 죽이고 절대자를 죽이러 향했다. 허나 절대자도 바보는 아니었기에 절대적인 충성심을 보였던 그 지배자에게 안배를 심어놓았고, 마침내 그 안배가 발동하며 탄생한 인물이 바로 제 1대 그림자 군주, 아스본이다.[* 이렇듯 아스본은 지배자이며 군주인 존재이기에 군주들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는 비기인 '''영체화'''를 쓸 수 없다. 대신 죽음의 힘을 본인과 합일시켜 그에 필적하는 힘을 내는 기술은 있기에 문제는 없는 듯.] 그 직후 아스본은 지배자들을 막기 위해 다시 절대자에게 향했으나, 이미 절대자는 죽은 상태였고 그는 군주의 편으로 넘어갔다. 허나 지배자들은 아스본이 바란과 송곳니 군주를 상대로 싸운 직후 찾아와 용서를 구하는 등 아직까지도 그에게 존경심과 미안함을 품고 있었다. 더 이상의 희생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결국 작중 완결 직전까지 가서야 주인공 측의 세력임이 확인된 세력이다. 작중에선 마지막 전투에서 성진우와 용제가 전투를 하다가 그 충격으로 생긴 균열로 등장했으며, 용제를 죽여버린다. 직후 소중한 사람들을 너무 많이 잃어 그들을 되찾겠다는 성진우의 결심을 확인하고 윤회의 잔으로 시간을 되돌려준다. 엔딩에서 이제 다시 만날 일은 없을거라고 말하며 본편이 완결된다. 에필로그에선 지배자들의 전령이 나오나, 지배자들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 '''절대자''' 태초에 빛과 어둠과 함께 존재했던 자로, 각각 여덟 명의 군주들과 지배자들을 창조한 창조주이다. 그 두 세력을 전쟁에 붙이며 본인의 유희로 즐기다가 끝내 지배자들의 반역으로 죽었다.[* 인간으로 따지면 그들이 만든 기계에 의해 죽은 것.] 다만 본인도 나름의 대비책으로 자신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하던 한 지배자에게 검은 심장이라는 안배를 남겨 놓아 그림자 군주를 탄생하게 하였으나 본인이 죽은 후에야 발동한다. * '''광휘의 파편''' == 평가 ==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 code=3207276, 별점=9.35, 조회수=1291, 날짜=2022. 05. 01.)] [include(틀:평가/소설넷, code=3343, 별점=3.59, 참여자수=910, 날짜=2022. 05. 01.)] [include(틀:평가/리디, code=777035894, 별점=4.4, 참여자수=4210, 날짜=2022.05.01.)] 작품 내적으로 고증오류가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2023년 기준으로 주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에 연재된 모든 작품을 통틀어 원작 소설과 웹툰 모두 누적 조회 순위가 3손가락 안에 드는'''[* 원작소설은 [[템빨(소설)|템빨]](10.9억), [[닥터 최태수]](10.1억)에 이어 3위(4.4억)를 달성했고 웹툰에서는 [[왕의 딸로 태어났다고 합니다|왕딸]](4.8억)에 이어 2위(3.8억)를 달성했다.] 인기작으로 이름 날릴 만큼 기본적인 최소한의 스토리 자체의 [[기승전결]], 개연성, [[핍진성]] 등등의 완성도는 갖췄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모난곳 없는 현대적 양판소라고 볼 수 있다. 최소한의 필력도 되지 않아 온갖 괴작이 나오는 시대임을 고려하면 필력 문제도 없고 양판소 자체의 문제는 둘째치고 작품 자체로는 연재 타이밍도 좋았던데다가 스토리가 무난하고 호불호 갈릴 내용이 아니었다는 게 특징. [[양산형|다만 딱히 특출난 장점이라고 할 만한 게 없어서 웹툰을 보고 유입된 독자들이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거꾸로 생각해보면 호불호 없이 무난한 스토리 때문에 웹소설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의 입문용으로 추천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 때문에 카카오페이지에서는 원작 소설과 웹툰의 누적 조회수가 그다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몇 안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템빨과 함께 카카오페이지를 대표하는 간판작. 본작의 흥행은 이후 한국 웹소설에서 본작의 제목인 '나 혼자만 레벨업'과 유사한 [[나 혼자 네크로맨서]], [[나 혼자 소드 마스터]], [[나 혼자 만렙 뉴비]], [[나 홀로 주문 사용자]] 등 나 혼자 XXX 제목 유행을 가속화 및 장르 갈라파고스화 시키기도 했으며 일본에서도 비슷한 장르의 웹소설이 나오는 추세다. 작품 외적으로는 [[빠가 까를 만든다]] 기질 또한 보인다. 사용 연령대가 다양한 카카페인데다가 홍보를 대대적으로 하다보니 과도할 정도의 카카오측의 푸시에 인기에 편승한 빠가 합쳐져서 닉네임을 작품에 대한 찬양문구로 바꾸고 다른 작품까지 가서 그 작품을 까내리고 '이딴거 말고 나 혼자만 레벨업이 훨씬 재밌음.' 같은 광고글이나 도배하는 질 떨어지는 빠들의 행보 때문에 까들도 다수 생기기도 한다. == 단행본 == === 한국 === {{{#!wiki style="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color: #000; padding: 10px 0 10px 0; width: 720px; max-width: 100%; color: #fff; text-align: center; float: center"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inline-block; min-width: 50%; max-width: 100%" {{{#!folding 개정 전 ||
'''01권''' || '''02권''' || '''03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3.jpg|width=100%]]}}} || || '''에피소드 0. ~ 11.''' || '''에피소드 12. ~ 21.''' || '''에피소드 22. ~ 32.''' || ||<-2> '''2016년 11월 4일,,종이책,,''' || '''2016년 12월 21일,,종이책,,''' || ||<-3> '''2018년 02월 12일,,전자책,,''' || ||<-3> || || '''04권''' || '''05권''' || '''06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6.jpg|width=100%]]}}} || || '''에피소드 33. ~ 43.''' || '''에피소드 44. ~ 53.''' || '''에피소드 54. ~ 63.''' || || '''2017년 1월 25일,,종이책,,''' || '''2017년 2월 23일,,종이책,,''' || '''2017년 3월 20일,,종이책,,''' || ||<-3> '''2018년 02월 12일,,전자책,,''' || ||<-3> || || '''07권''' || '''08권''' || '''09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9.jpg|width=100%]]}}} || || '''에피소드 64. ~ 74.''' || '''에피소드 75. ~ 84.''' || '''에피소드 85. ~ 94.''' || || '''2017년 4월 24일,,종이책,,''' || '''2017년 5월 24일,,종이책,,''' || '''2017년 6월 22일,,종이책,,''' || ||<-3> '''2018년 02월 12일,,전자책,,''' || ||<-3> || || '''10권''' || '''11권''' || '''12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2.jpg|width=100%]]}}} || || '''에피소드 95. ~ 106.''' || '''에피소드 107. ~ 120.''' || '''에피소드 121. ~ 133.''' || || '''2017년 7월 20일,,종이책,,''' || '''2017년 8월 24일,,종이책,,''' || '''2017년 9월 21일,,종이책,,''' || ||<-3> '''2018년 02월 12일,,전자책,,''' || ||<-3> || || '''13권''' || '''14권''' ||<|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 표지_웹소설 단행본14.jpg|width=100%]]}}} || || '''에피소드 134. ~ 외전 4.''' || '''외전 5. ~ 후일담 6.''' || || '''2017년 10월 27일,,종이책,,''' || '''2018년 4월 18일,,종이책,,''' || || '''2018년 02월 12일,,전자책,,''' || '''2018년 06월 14일,,전자책,,'''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inline-block; min-width: 50%; max-width: 100%" {{{#!folding 개정 후 ||
'''01권''' || '''02권''' || '''03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3.jpg|width=100%]]}}} || || '''에피소드 0. ~ 19.''' || '''에피소드 20. ~ 37.''' || '''에피소드 39. ~ 55.''' || ||<-3> '''2019년 08월 19일''' || ||<-3> || || '''04권''' || '''05권''' || '''06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6.jpg|width=100%]]}}} || || '''에피소드 57. ~ 73.''' || '''에피소드 75. ~ 92.''' || '''에피소드 93. ~ 115.''' || ||<-3> '''2019년 08월 19일''' || ||<-3> || || '''07권''' || '''08권''' ||<|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혼렙소설단행8.jpg|width=100%]]}}} || || '''에피소드 116. ~ 140.''' || '''에피소드 141. ~ 후일담 6.''' || ||<-2> '''2019년 08월 19일''' || }}}}}}}}} [[디앤씨미디어]]의 판타지 장르의 소설 브랜드, '파피루스'에서 [[2016년]]에 대여점 판형 종이책으로 출판되기 시작했고, 전 13권으로 완결 출판되었다. 이후 [[2019년]]에 [[디앤씨미디어]] 파피루스에서 소장판 단행본으로 전 8권 완결로 재출간되었다. 단행본 표지에는 웹소설 표지와 다르게 일러스트가 없다. === 일본 === ||
'''{{{#ffffff,#dddddd 01권}}}''' || '''{{{#ffffff,#dddddd 02권}}}''' || '''{{{#ffffff,#dddddd 03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렙소설일본단행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 || {{{#!wiki style="margin: -6px -10px" [[]]}}} || || '''{{{#ffffff,#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1월 22일}}}''' || '''{{{#ffffff,#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정}}}''' || '''{{{#ffffff,#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정}}}''' || [[2021년]] [[1월 22일]]부터는 일본에서도 소설 단행본이 발매되기 시작했다. 한국판과는 다르게 일본 시장 분위기에 맞추어 캐릭터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는 게 차이점. == 미디어 믹스 == === [[나 혼자만 레벨업(웹툰)|웹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웹툰))] === [[나 혼자만 레벨업/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애니메이션)] === 드라마 === 미국의 몇몇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에서 드라마화에 관심이 있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https://m.mk.co.kr/news/it/view/2021/04/354877/|(링크)]] === OST === [[https://youtu.be/atWdrCO_N-o|뮤비]] [youtube(atWdrCO_N-o)] 2022년 3월 2일 공식 OST가 공개되었다. 담당한 가수는 [[더보이즈]]. ===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 기타 == * 소설 연재가 마무리 지어질 때 쯤 웹툰 연재가 시작되었는데, 소설 연재가 끝나가면서 잠잠해진 공식 및 팬 홍보가 웹툰을 중심으로 재개되면서 너무 잦은 노출에 의한 이미지 소모와 이로 인한 피로감으로 홍보가 과하다며 여전히 작품 외적으로 불평하는 사람이 종종 보인다. * 웹소설 연재 갤러리에 본인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글을 올렸다. 대충 자기 소설 폄하에 대한 반박과 [[헌터×헌터]] 키메라 엔트편 표절 논란에 오마주라고 대답한 내용. 작가의 주장에 약간 정정을 가하자면 레이드물(헌터물) 대유행의 수혜를 받은 것도 맞고 '나 혼자만 레벨업'이 끝나가던 레이드물의 인기를 다시금 끌어올리며 더 견인한 것도 맞다. 레이드물이 한창 대세이던 시절의 인기를 100이라 두고 그 외의 판타지 장르가 각각 10~30정도 차지하고 있다가 시간이 지나며 레이드물의 범람으로 인해 전체적인 질적저하와 신선함이 떨어지게 되면서 나 혼자만 레벨업이 나올 쯤에는 반절밖에 안되는 50정도까지 떨어졌더라도 소설 매니아 층이 아닌 일반 독자들에게는 타 장르에 비해 여전히 인기가 높은 시점이었기에 어느정도 수혜를 받고 시작했다고 보는 게 맞다. * 이런저런 이야깃거리가 많지만 그래도 작품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기도가 상당하기 때문인지 'X 혼자만 XXX' 등의 파생된 제목의 작품들이 종종 생겨나는듯 하다. 물론 제목만 파생되었을 뿐 작품 내적으로는 나혼렙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의 그림을 담당했던 만화가 [[장성락]](37)씨가 2022년 7월 23일 별세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https://www.fnnews.com/news/202207251820376436|#]] 평소 지병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있었는데, 그로 인한 뇌출혈이 생겨 타계했다고 한다. * 2023년 4월 10일 카카오페이지에 '나 혼자만 레벨업'의 스핀오프 작품인 '나 혼자만 레벨업: 라그나로크' 가 연재되기 시작하였다. 작가는 [[던전리셋]]의 작가인 [[다울]]이며 주인공은 성진우의 아들인 성수호가 대학생 나이에 그림자 군주의 힘을 각성하면서 싸워나가게 된다. 여담으로 성수호는 성진우와는 달리 마력을 회복하지 못하여 작아진 베르가 곁에서 이런저런 조언을 해준다. [[분류:나 혼자만 레벨업]][[분류:웹소설/목록]][[분류:나무위키 웹소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