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나 혼자만 레벨업)] [include(틀:나 혼자만 레벨업)]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1 나 혼자만 레벨업}}}''' (2024)[br]俺だけレベルアップな件[*직역 나만 레벨업인 건][br]SOLO LEVEL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혼자만레벨업 애니 2차 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현대 판타지]], [[액션]], [[헌터물|헌터]] || || '''{{{#ffffff,#ffffff 원작}}}''' ||[[추공]] 《[[나 혼자만 레벨업]]》[br][[장성락]][* DUBU.] 《[[나 혼자만 레벨업(웹툰)|나 혼자만 레벨업]]》[br]현군[* h-goon.] || || '''{{{#ffffff,#ffffff 감독}}}''' ||[[나카시게 슌스케]]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키무라 노보루]]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스도 토모코(須藤智子) || || '''{{{#ffffff,#ffffff 서브 캐릭터 디자인}}}''' ||후루즈미 치아키(古住千秋) || || '''{{{#ffffff,#ffffff 몬스터 디자인}}}''' ||[[토쿠다 히로타카]]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시라이시 소타로(白石創太郎)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오쿠무라 야스히로(奥村泰浩)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나카노 나오미]]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이세키 다이치(井関大智) || || '''{{{#ffffff,#ffffff CG 감독}}}''' ||모리오카 토시타카(森岡俊宇) || || '''{{{#ffffff,#ffffff 모션 그래픽스}}}''' ||오오시로 마사무네(大城丈宗) || || '''{{{#ffffff,#ffffff 편집}}}''' ||콘도 유지(近藤勇二)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ffffff 음악}}}''' ||[[사와노 히로유키]] || || '''{{{#ffffff,#ffffff 제작 총괄}}}''' ||○○ || || '''{{{#ffffff,#ffffff 프로듀서}}}''' ||○○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네코 아츠시(金子敦史)[* 프로듀서 대표작: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War of Underworld]]]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A-1 Pictures]] || || '''{{{#ffffff,#ffffff 제작}}}''' ||Solo Leveling Animation Partner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4년 1월|2024. 01.]] ~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요일) 시간 || || '''{{{#ffffff,#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분 || || '''{{{#ffffff,#ffffff 화 수}}}''' ||○○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미정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sololeveling-anim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loLevelingDNC)]^^한국^^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loleveling_pr)]^^일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성진우|나]]는,''' >'''{{{#000000,#dddddd 최약체였다.}}}''' 대한민국의 작가 [[추공]]의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을 원작으로 하는 일본의 [[TV판|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나카시게 슌스케]],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4년 1월|2024년 1분기]]. == 공개 정보 == * 2021년 2월 1일 디엔씨미디어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제작을 추진 중이라는 동아일보에 기사가 올라왔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201/105206708/1|#]] * 2022년 6월 20일 일본 애니 관련 사이트에서 [[도메인]] 등록이 확인됐다. [[https://theqoo.net/2492749838|#]] 도메인 등록자가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소드 아트 온라인]]의 도메인 등록자와 같아서 팬들은 제작사를 [[A-1 Pictures]]로 추정하고 있다. * 2022년 7월 3일, 트위터에 한 유출 전문 유저에 의해서 애니화 여부가 확정되었다.[[https://twitter.com/SugoiLITE/status/1543601001625800705?t=21ipyPcbhy4AMOQjDtXgRg&s=19|#]] * 2022년 7월 4일 해금 PV가 뜨며 공식적으로 애니화가 발표되었다. * 일본 공식 사이트에서 [[성진우(나 혼자만 레벨업)|성진우]]의 이름이 일본판 이름인 '미즈시노 슌'으로 공개된 것으로 보아 일본 현지화 버전이 나오는 것은 확정적이며 한국의 디앤씨미디어에서 기획하고 일본 제작사와 스태프가 제작하는 작품인 만큼 원작 베이스로 한국어 버전도 나올 가능성이 높다. 나혼렙의 웹툰 원작의 경우 일본판을 제외하면[* 일본의 애니메이션 향유층은 한국 색이 느껴지는 것에 반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갓오하 애니]]의 경우 일본 방영 버전도 일본 현지화를 하지 않고 한국 명칭과 지명이 그대로 나와서 일본 시청자들이 거부감을 보였지만, 서구권 시청자들은 신경쓰지 않았고, 일본에서는 상업적으로 재미를 못 봤으나 서구권에서는 제법 인기를 끌었다.][* 게다가 나혼렙은 원작에서 일본 헌터들이 기회주의적이고 교활한 인물로 등장하는 만큼 일본에서 한국판 원작 그대로 내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 경우 원작 일본 헌터들은 웹툰 일본어판 로컬라이징의 설정을 따라서 가공의 국가 출신으로 각색될 확률이 높다.] 한국 배경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서구권 방송국은 미정인 상황이라 다른 나라에 공개될 때는 [[노블레스(TVA)|TV판 노블레스]]처럼 일본 배경으로 로컬라이징 된 채로 나올 수도 있고,[* 노블레스의 영어 더빙판도 지명이 일본으로 나왔으며,([[https://m.dcinside.com/board/korea_ani/77810?page=1&s_pos=-76395|근거]]) 국가 색이 중요한 작품은 아니지만 한때 한국 웹툰의 대표 격으로 평가받은 작품이었던지라 한국에서는 고깝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라인 웹툰 영어판에 등장한 한국어 명칭을 따라서 나온 갓오하나 [[신의 탑(애니메이션 1기)|애니판 신의 탑]]처럼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세한 것은 공개되기까지는 불명. 서구권에서는 성진우라는 이름이 훨씬 익숙하기에 한국어 명칭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 * 2022년 9월 24일에 열리는 애니플렉스 온라인 페스트 2022에 오후 3시경 참여가 확정되었다. [[https://twitter.com/sololeveling_pr/status/1554029166399348736?s=20&t=7wdQf9VrEobniFiseo4u4w|#]] * 애니플렉스 온라인 페스트 2022에서 성진우의 대략적인 작화가 공개되었다.[br][br]{{{#!folding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64002386.jpg|width=100%]] [[파일:1664002386_20220925_025555.jpg|width=100%]] [[파일:1664002387.jpg|width=100%]]}}} ||}}} * 2022년 12월 3일부터 4일까지 한국에서 개최된 [[Anime X Game Festival 2022]]에 참여했다. 애니메이션의 프로듀서인 카네코 아츠시(金子敦史)도 행사 참여를 위해서 한국을 방문했다. 해당 부스에서는 애니플렉스 온라인 페스트에서 공개했었던 성진우의 캐릭터 디자인을 포함한 새로운 작화들이 추가로 공개되었다.[br][br]{{{#!folding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차해인 애니작화.jpg|width=100%]] [[파일:성진우 애니작화1.jpg|width=100%]] [[파일:성진우 애니작화2.jpg|width=100%]]}}} ||}}} *2023년 2월 16일, 트위터에 방영이 연기될 것이라는 내용이 유출되면서 사실상 연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2023년 3월 21일 23시, 키 비주얼 1탄과 동시에 방영 시기가 공개되었다. 여기서 NEXT WINTER라는 말을 쓰면서 방영 시기가 [[애니메이션/2024년 1월|2024년 1월]]로 연기되었다. [[https://twitter.com/SoloLevelingDNC/status/1638178660749393920|#]] * 2023년 7월 4일, PV [[https://www.youtube.com/watch?v=9vIxi5XkQ8Y|2탄]]이 공개되었다. [[크런치롤]]에서 공개되었기 때문인지 캐릭터 명칭이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다. * 2023년 9월 3일, [[애니플러스]]의 한국 방영과 1주일 뒤인 9월 10일 추가 정보가 있을 것을 암시했다.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698259541446779169|#]] * 2023년 9월 10일, Aniplex Online Fest 2023에서 키 비주얼 3탄과 PV 제1탄, 그리고 추가 스태프들이 공개되었다. [[크런치롤]]에 업로드된 PV에서는 [[성진우]]의 이름이 한국어인 그대로, 일본 [[애니플렉스]] 채널에서 업로드된 PV에서는 성진우의 일본판 이름인 '미즈시노 슌'으로 불리는 것으로 미루어 봤을 때 로컬라이징 된 일본 현지 방영본과 로컬라이징이 없는 크런치롤 방영본으로 나뉘어서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갓 오브 하이스쿨(TVA)|갓 오브 하이스쿨 애니]]나 [[노블레스(TVA)|TV판 노블레스]]와는 다른 이례적인 방식이다. * 2023년 12월 2일부터 3일까지 한국에서 개최된 [[Anime X Game Festival 2023]]에 참여한다.[* 12월 2일 토요일 11:00~11:45 / 레드 스테이지에 출연한다. ] === PV === ==== 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w4q1qbaiTA,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해금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rnpK54nRBk,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2QNfPkattao,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캐릭터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gCYutJYVvI?si=UxzuQtL5WzILD1q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1차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olDQJouQ6o,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애니플러스 더빙 1차 PV'''}}} || ==== 일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2kID3hNeHw,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해금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qtIagL463A,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zyacw81AVo,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캐릭터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ca7dy1Hntc,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58hwaR4QTk,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애니플러스 PV'''}}}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YvGSK8mIlt8,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해금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qy85AL70PU,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vIxi5XkQ8Y, 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캐릭터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24l9gvM3XM?si=GHjLTOeidwMyOJ0j)]}}}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1차 PV'''}}}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나 혼자만 레벨업 KV.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나혼자만레벨업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 '''{{{#ffffff,#ffffff 티저 비주얼}}}''' || '''{{{#ffffff,#ffffff 1차 키 비주얼}}}''' || == 줄거리 == == [[나 혼자만 레벨업/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등장인물)] ||
'''등장인물''' || '''성우''' || || '''[[성진우]][br](미즈시노 슌)'''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민승우]][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반 타이토]] || || '''[[유진호]][br](모로비시 켄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심규혁]][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무라 겐타]] || || '''성진아[br](미즈시노 아오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신나리(성우)|신나리]][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미카와 하루나]] || || '''[[차해인]][br](코사카 시즈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유영(성우)|유영]][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우에다 레이나]] || || '''최종인[br](모가미 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재헌(성우)|정재헌]][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히라카와 다이스케]] || || '''백윤호[br](시라카와 타이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한복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치 히로키]] || || '''[[고건희]][br](고토 키요오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준석(성우)|송준석]][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긴가 반조]] || || '''[[우진철(나 혼자만 레벨업)|우진철]][br](이누카이 아키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신범식(성우)|신범식]][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루카와 마코토]] || == [[나 혼자만 레벨업#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 혼자만 레벨업,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OP[br]LEv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SawanoHiroyuki[nZk]:[[TOMORROW X TOGETHER]] || || '''작사''' || [[사와노 히로유키]][br]Benjamin || || '''작곡''' ||<|2>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ED[br](원제목)[br](번역명)}}}'''}}}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b073b, #5e043f, #1a0b4c, #060d48, #04114d, #002779)"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 감독''' || '''총작화 감독''' || '''방영일''' || || {{{-2 제1화}}} || || || || || || || {{{-2 日: 2024.01.[br]韓: 2024.01.}}}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ANIPLUS, code=,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 user=)] [include(틀:평가/IGN 코리아, code=, user=)]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Just Watch(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 user=)]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 press=,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 user=)]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 [include(틀:평가/크런치롤,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방송), code=, Heart=)] === 방영 전 === 도메인 등록 때 팬덤이 예측한 대로 제작사는 [[A-1 Pictures]]로 발표되었다. 감독으로는 [[여신 기숙사의 사감군/애니메이션|여신 기숙사의 사감군 애니]]로 감독 데뷔한 [[나카시게 슌스케]] 감독으로 발표됐다. 원작 자체가 엄청난 액션으로 유명한 작품인데 나카시게 감독 또한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War of Underworld]] 오프닝 1, 2 연출을 통해 액션 연출 실력을 증명한 전력이 있어 팬들은 일단 만족하는 분위기다. 다만 감독 경력이 그리 길지 않아 업계 인맥풀이 좁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이는 본작의 제작 프로듀서 카네코 아츠시(金子敦史)가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소드 아트 온라인 시리즈]]의 참여 인맥들을 다수 불러올 것으로 보여 우려보다는 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오히려 각본가 [[키무라 노보루]]의 근래의 각본 작품의 평이 안 좋아서 각본에 대한 우려가 많다. 원작도 스토리가 그렇게 중요한 작품은 아니지만 잘못된 각색이나 분량 압축으로 작품을 망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북미권에서 인기가 꽤 있는 만큼 애니메이션을 기대하는 반응이 많다. 일본에서도 웹툰판 단행본이 100만 부가 팔릴 만큼 인기가 있던 작품이라 기대하는 반응이다. 반대로 제주도 편과 같이 일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이 나오는 작품이다보니 일본 제작사인 A-1이 반일 애니를 만들고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 역시 많이 보이는 편이다. 한편으로는 제작사 [[A-1 Pictures]]와 모회사인 배급사 [[애니플렉스]]가 2021년부터 상황이 좋지 않다는 폭로들이 나오고 또 스케줄 파탄으로 방영 연기와 중단을 택한 작품들이 속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도 있다. 특히 애니플렉스가 출자한 타 제작사 애니들도 똑같은 현상이 다발하고 있어 제작사 뿐 아니라 스폰서 차원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자칫하면 본작도 방영 시기가 더 밀리거나 방영 중 중단 및 퀄리티 문제를 맞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2023년 2월 16일, 트위터에 방영이 연기될 것이라는 내용이 유출되면서 사실상 연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트윗은 이후 삭제되었으나 실제로 방영 일자가 1년 연기되면서 현실화되었다.] 티저 PV가 공개됨과 동시에 2023년에 방영 예정이었던 것이 [[애니메이션/2024년 1월|2024년 1분기]]로 연기되었는데, 앞의 서술된 A-1 Pictures의 회사 상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티저 PV에 대한 반응도 "웹툰이 워낙 넘사여서 그렇지 잘 뽑혔다" VS "무난 이상으론 보기 힘들고 솔직히 실망스럽다"로 갈리는 중이라 어떻게 애니메이션이 공개될지는 지켜봐야할 듯하다. 캐릭터 PV가 공개된 이후 전체적으로 무난하다는 평을 받고있다. 첫 티저 PV보다 원작 웹툰과의 싱크로율이 상승했다는 평이 대다수이며, 유혈 묘사도 순화하지 않고 그대로 묘사한 점이 호평받고 있다. 주요 등장인물들의 성우진도 공개되었는데, 주인공 성진우를 맡은 [[반 타이토]]와 유진호를 맡은 [[나카무라 겐타]] 등 비교적 조연 중심으로 활동한 신인 성우들과 [[긴가 반조]], [[히라카와 다이스케]], [[우에다 레이나]] 등 이름이 알려지고 경력이 있는 성우들 모두 위화감이 없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전 PV와 같이 대부분의 장면이 극초반이기 때문에 이후에도 좋은 작화가 유지될지는 아직도 확실하지 않은 것이 불안한 요소. 1차 PV가 공개된 이후에도 반응은 두 번째 PV 때와 비슷하다. 세부적으로는 저번보다 낫다는 평과 이번이 더 별로라는 평으로 갈리지만, 전체적으로는 나쁘지 않은 퀄리티라는 평. 물론 웹툰이 워낙 넘사벽의 작화와 연출을 보여주었기에 그 정도를 기대하고 본다면 실망할 순 있지만 앞서 공개된 PV로 대부분의 팬덤이 어느정도 적응한 참이라 그런 반응은 소수이다. 그와 별개로 일본 성우진들의 연기는 감정을 잘 실었다며 굉장히 호평받고 있다. === 방영 후 === == 원작과의 차이점 == == 기타 == * 애니화 발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2022년 7월 23일에 웹툰 그림 작가인 [[장성락]]이 [[뇌출혈]]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http://www.red-ice.me|#]] * 키 비주얼 중 처음으로 공개된 티저 비주얼에서 성진우가 들고 있는 무기는 나이트 킬러이다. * 키 비주얼 중 3번째로 공개된 2차 키 비주얼에서 머리가 긴 성진우[* 상태창 각성 이전의 모습으로 추측된다.]가 들고 있는 무기는 작중 짧게 언급된 50만 원짜리 단검으로 추측된다. 뒤의 머리가 짧은 성진우[* 상태창 각성 이후의 모습으로 추측된다.]가 들고 있는 무기는 티지 비주얼에서 들고 있는 것과 같은 나이트 킬러이다. [[분류:나 혼자만 레벨업]][[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4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웹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A-1 Pi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