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끄덕새우과]][[분류:애완동물/십각목]] ||<-2> '''{{{#fff {{{+1 끄덕새우}}}[br]Dancing shrimp}}}''' || ||<-2> [[파일:camel-shrimp.jpg|width=100%]][br]''Rhynchocinetes durbanensis'' || || [[학명|'''{{{#000,#fff 학명}}}''']] || '''Rhynchocinetidae''' (Ortmann, 1890)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생이하목]](Caride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끄덕새우과'''(Rhynchocinetidae)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끄덕새우 || || '''[[영어]]''' ||Dancing shrimp[* "춤새우"], hinge-beak shrimp[* "돌쩌귀부리새우"], camel shrimp[* "낙타새우". 끄덕새우속 한정.] || || '''[[프랑스어]]''' ||Crevette danseuse[* "춤새우"] || [목차] [youtube(G6OpUhgqW_g, width=480px, height=270px)] == 개요 == 넓게는 끄덕새우과의 총칭이며, 좁게는 끄덕새우속의 끄덕새우(''Rhynchocinetes uritai'')를 의미한다. 청소부 새우이기도 하다. == 상세 == 크기는 10cm 이하. 전반적으로 반투명한 외골격에, 몸 전체에 길게 늘어지고 점점이 박힌 붉고 흰 [[무늬]]와, 두껍게 하얀 선이 그어진 이마뿔이 인상적이다. 끄덕새우과의 특징으로 이마뿔은 갑각과 따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있고, 평상시에 위를 향하고 있어서 고개를 든 듯한 인상을 가졌다. 배의 일부가 등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점 또한 특징이다. 암설, [[플랑크톤]], 동물성 [[사료]] 등 동물성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저서성 물고기들이 천적이다. 사육 시에는 바닥재의 모래에 섞이거나 묻은 사료 조각을 긁어내서 먹는데, 이 과정에서 모래를 약간씩 뒤엎어주기까지 해서 비바리움의 오염도를 낮춰준다. 다른 [[물고기]]나 [[새우]]를 건들지 않지만, [[산호]]와 [[말미잘]]을 먹는다고 알려졌으니 합사 시 주의가 필요하다. 얕은 바다의 암초 지대나 산호초 등[[포식자]]에게서 숨을 수 있는 지형을 좋아하며 [[한국]]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보통 다른 끄덕새우와 함께 집단생활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