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www.cha.go.kr/1630637.jpg|width=300]]|| ||||||||||<:>'''[[쇠비름|{{{#black 꽝꽝나무}}}]]'''[* 이미지 출처는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240000,35|문화재청 홈페이지]]]|| ||||||Japanese holly, Box-leaved holly||||이명 : '''-'''|| ||||||||||<:><#BDFF12>''' ''Ilex crenata'' ''' Thunb.|| ||<|8><#D7FFCE> 분류 || || [[계]] ||||||'''식물계'''|| || [[문]] ||||||속씨식물문(Angiospermae) || || [[강]]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목]] ||||||감탕나무목(Aquifoliales)|| || [[과]]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 [[속]] ||||||감탕나무속(Ilex)|| || [[종]] ||||||'''꽝꽝나무'''||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3~5m 높이까지 자라는 상록관목이다. 주로 해안가에 서식한다. 잎은 어두운 녹색이며 관상용 식물로 많이 기른다. 열매는 핵과로 10월에 검게 익는다. 암수딴그루로서 초여름에 작은 꽃이 피는데, 수꽃은 여러 개가 뭉쳐나며 암꽃은 1개씩이 달린다. [[꽃말]]은 '참고 견디어 낼 줄 아는'.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이며, 10월경에 까맣게 익는다. [[참새]]들이 즐겨 먹는다. == 활용 == 남부지방에서는 [[회양목]]처럼 정원수로 자주 이용되며 '''기구재와 빗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정원수로 사용될 경우 보기와 같이 잎이 많고 촘촘하게 나는 [[관목]]이라 무언가를 가리는 차폐식재나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식재로 좋다. 그만큼 공원이나 유원지 등지에서 생울타리로 사용되는 걸 많이 볼 수 있다. == 기타 == 이름이 많이 특이한데, 이 나무를 태우면 잎이 꽝꽝하는 소리를 내며 불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http://m.tv.naver.com/v/888801|이런 소리가 난다.]] 1분 41초 참고. 소리 자체는 '꽝꽝'보다는 '짜자작'스럽지만 그만큼 큰 소리가 난다는 의미로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그냥 식물에 관심있는 사람만 종종 언급하는 흔한 관목이었으나, 이런저런 매체를 통해 어느순간부터 제법 알려졌다. 비교적 젊은 세대에서는 [[귀귀]]가 웹툰 [[열혈초등학교]]에서 언급한 이후로 많이 알려졌고, 귀귀 만화 덕분에 이런 이름의 나무가 진짜 존재한다는 걸 안 사람들도 있다. 웹툰 세대보다 더 높은 연령대의 경우 [[스펀지(KBS)|스펀지]], [[VJ특공대]] 등 다양한 TV 프로그램에서 다룬 적이 있어 이를 통해 알게 된 경우가 제법 있다. [[분류:나무]][[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