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식용 버섯]][[분류:꽃송이버섯과]] ||<-2> '''{{{#fff {{{+1 꽃송이버섯}}}[br]Cauli Flower Mushroo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꽃송이버섯.jpg|width=100%]]}}} || || [[학명|{{{#fff '''학명'''}}}]] || ''' ''Sparassis crispa'' '''[br]Wulf.:Fr, 1819 || ||<-2> [[생물 분류 단계|{{{#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균|균계]](Fungi)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담자균문(Basidiomyco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꽃송이버섯과(Sparassid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꽃송이버섯속(Sparassi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꽃송이버섯(''S.crispa'')''' || [목차] [clearfix] == 개요 == 꽃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 동아시아 지역과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 분포한다. == 상세 == 여름~가을 사이에 살아 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나 죽은 줄기, 그루터기 등에 뭉쳐서 자란다. 버섯의 자실체는 꽃잎이 다수 모인 것 같은 모양이며 전체의 지름은 10~30cm이고, 하얀 양배추를 닮아 아름답다는 평이 있다. 근부는 덩이 모양인 공통의 자루로 되어 있고 자실층은 꽃잎 모양의 얇은 조각이 아래쪽에 발달한다. 꽃잎같은 조각의 두께는 0.1cm 정도로 얇다. 살은 연하지만 치아를 자른 것 같은 모양이다. 버섯의 표면과 뒷면의 구별이 있다. 자실체의 색은 백색 혹은 엷은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두께는 0.1 cm 정도 된다. 이름과 같이 꽃잎이 여러 개 모여서 뭉친 듯한 모양을 하고 있다. 얼핏 보면 [[양배추]] 혹은 [[수국]], [[산호]] 등을 닮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생김새 덕에 서양권에서는 '컬리플라워 머쉬룸 (Cauli Flower Mushroom)'이라고 부른다. 식용과 약용 둘 다 가능하다. 이 버섯에는 '베타글루칸'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베타글루칸은 항암 효과 및 면역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때문에 이 버섯을 이용한 과립, 효소, 화장품 등 다양한 가공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 재배가 가능해져서 대량 생산을 하고 있다 한다.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436|관련기사]] 재배는 가능하지만 실패 확률이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8329|30%]] 정도로 높다. 모습이 비슷한 흰목이버섯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생물 분류 단계#s-3.4|강]]부터 다른 버섯이다.[* 참고로 흰목이버섯 역시 [[목이버섯]]과는 다르다.] == 맛과 향 == 말려놓은 모습이 라면사리를 연상시킨다. [[샥스핀]]의 대용품으로도 사용된다. 맛 자체는 별 맛이 느껴지지 않는다. 향과 식감 때문에 식재료로 쓰지만 버섯의 맛 자체를 살리는건 안된다. (심지어 그 향마저도 별로 없는 경우가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식용 버섯, version=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