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바둑 용어 == [[바둑]]에서, '''상대가 잘못 대응할 것을 가정하고''' 두는 수. 상대가 제대로 대응하면 손해를 보게 된다. 프로들의 대국에서는 [[실수]]나 의도적인 흔들기를 제외하면 거의 나오지 않지만, 아마추어들의 대국에서는 사람에 따라 자주 쓴다. 그 중에서는 실패했을 때의 손해보다 성공했을 때의 이득이 압도적으로 큰 꼼수도 있으니 주의. 하지만 프로 밑의 연구생 상위권 정도만 되어도 꼼수에 면역이 되어 쓰는 족족 다 잡아낸다. 물론 같은 의도를 가지고 둔 수라고 하더라도 상대가 적절히 대응했을 때의 리스크가 크지 않은 경우는 꼼수로 칭하지 않는다. == 국어 단어 ==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바둑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나는 꼼수다]]의 어원이다. [[상상플러스]]의 [[세대공감 OLD & NEW]]에서 발굴되기 전에는 'ㅇ' 받침의 '꽁수'로 잘못 쓰는 사람들이 많았다. 참고로 '꽁수'는 '연의 방구멍 밑부분'을 뜻하며, 전혀 다른 말이다. 게임에선 [[버그]] 이용이나 [[창발적 플레이]], 혹은 제작진이 의도하지 않은 방식[* 예를 들어 [[이탈 방지의 법칙]]을 깨는 것이다.]이나 [[인공지능]]의 헛점을 이용하여 하는 플레이를 꼼수라고 한다. 이런 것을 영어로는 exploit라고 한다. 90~00년대 초딩들 사이에선 [[얍삽이]]라는 은어와 합쳐져서 얍세, 꼼세, 꼼시 등으로 변형되기도 했다. 일본 게임 은어에 비슷한 의미의 [[하메]]가 있다. == 관련 문서 == * [[결혼의 꼼수]] * [[꼼수 개봉]] * [[나는 꼼수다]] * [[매직은 꼼수다]] * [[민사행정경찰]] [각주] [[분류:동음이의어]][[분류:바둑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