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언어]] [목차] == 개요 == Halfway. 어떤 정해진 기간의 [[절반]]이 지났다는 표현으로 쓰이는[* 사실 이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표준어가 아닌 속어에 불과하다.'''] [[형용사]] '꺾이다'의 관형어 꼴. == 주요 용례 == 보통은 [[군대]]에서 많이 쓰이게 된다. [[이등병]]이 이 말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애초에 이등병은 복무기간도 2~3개월이고, 입대하는 그 날 0시부터 자동으로 이등병 계급을 달게 되는 입영장정, 훈련병때부터 시작이라 월초군번이 아니라면 훈련소에서 이미 꺾여있다. 거기다 후반기교육까지 정상적으로 받고 왔다면 자대배치 이전에 반드시 꺾이며, 심지어 후반기교육 중 '''일병으로 진급'''하고 자대배치를 받는 경우도 있다.] [[일등병]]만 돼도 자신들끼리 있을 때 일꺾, 즉 꺾인 일병이라는 말을 꽤 많이 쓰게 된다.[* 부조리가 있던 시절에 일꺾부터 이것저것 할 수 있는 부대도 있었다.] 물론 압도적인 용례는 꺾인 [[상등병]]이다. 꺾인 일병은 '''일꺾''', 꺾인 상병은 '''상꺾''', 꺾인 병장은 '''병꺾'''이라고 많이 부른다.[* 사실 병꺾 개념은 병장 기간이 3~4개월로 짧은 육군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병장 기간이 5~6개월인 해군이나 특히 7개월인 공군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 그리고 [[말년병장]]이라는 표현을 하지, 말꺾, 병말 등의 표현은 잘 쓰지 않는다.] [[홀수]]개월이면 계산이 좀 복잡해진다. 귀찮으니 홀수 개월이면 그냥 (N/2+0.5)개월 지나는 걸 꺾이는 걸로 세는 경우도 많다. [[짝수]]개월은 그냥 (N/2)개월.[* 즉, [[복무단축]]이 시행되기 전 육군은 이병-일병-상병-병장이 3-7-7-4(혹은 4-7-7-3)개월이었는데, 일병과 상병 기간의 4개월 이상이 지나기 시작한 5호봉(5개월차)부터를 꺾으로 부른다. 2019~2020년 군번들은 일병과 상병도 6개월로 단축되어 4개월차 일병/상병부터 일꺾/상꺾으로 부른다.] 또한 군꺾이라는 용어도 있는데, 군생활을 절반 했다는 뜻이다. 육군은 상병 달고 거의 바로 되기에 거의 안 쓰나 해공군의 경우는 상병 2~3호봉쯤 되면 군꺾이 되므로 종종 사용한다. 상병이나 병장이 막강한 권력을 누릴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진급하자마자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꺾인 단계에 들어와야 제대로 된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병의 경우가 더욱 그러한데, 적어도 상병 3호봉은 되어야 확실한 상병 대접을 받는 편이다. 그나마 병장의 경우 복무일수가 21개월로 줄어들고부터는 꺾임의 개념이 무의미해져[* 24개월이던 시절에는 6-6-7-5개월(2003년 10월 ~ 2004년 군번의 경우 6-6-8-4개월) 씩이었는데, 21개월로 줄어들자 병장 계급의 복무일수만 불과 2개월로 확 줄어들었으니 꺾임의 개념이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 그러나 18개월로 또 줄어든 이후 다시 4개월로 늘어나긴 했다.] 사실상 사라졌지만, 군생활 기간이 긴 해군, 특히 공군은 아직 개념이 남아있다. 그리고 꺾인 병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병장과 상꺾 이상의 짬 차이가 줄어들어 과거에는 권력만큼이나 가혹행위와 내리갈굼에 시달리던 상병 계급은 꺾이기만 해도 병장과 맞먹을 수 있는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직업군인의 경우 꺾였다라는건 진급 실패를 뜻하며 계속 꺾이면 전역해야 하므로 꺾였다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짬○○으로 쓴다. 단 준사관은 준위 하나라 정년까지 복무하므로 꺾임이 다른 뜻으로 적용된다. 나이에서도 '''꺾인다'''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시로 10대가 꺾였다는건 10대의 한가운데를 지났다는 뜻으로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금이 풀리는 각각 15세-19세이며 30대가 꺾였다는 30대의 한가운데를 지났다는 뜻으로 35~39살을 의미한다. == 함께 보기 == * [[물#s-9.1]] * [[호봉]] * [[말#s-2.1]] - 접미사로 쓰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