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깨어있는 시민연대당 로고.svg|width=200]] || ||<-2> {{{#ffffff '''깨어있는시민연대당'''}}} || || '''등록 약칭''' ||깨시연당|| || '''창당일''' ||[[2020년]] [[3월 24일]]||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6길 19, 너비=10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6길 19[br]여의도프리베로오피스텔 605호 ([[여의도동]])|| || '''대표''' ||[[이민구(정치인)|이민구]][* 팟캐스트 및 유튜브 등에서는 김어죽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다.]|| || '''대변인''' ||[[유재호(정치인)|유재호]]|| || '''사무총장''' ||최윤정||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6 0%, transparent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 || '''광역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6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기초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6 0%, transparent 0%)" {{{#fff '''0석 / 226석 (0%)'''}}}}}} || || '''광역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6 0%, transparent 0%)" {{{#fff '''0석 / 872석 (0%)'''}}}}}} || || '''기초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6 0%, transparent 0%)" {{{#fff '''0석 / 2,988석 (0%)'''}}}}}} || || '''당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56; border: 1px #000056;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fff 남색 {{{-2 (#000056)}}}}}}}}} || || '''정당원 수''' ||6,490명[br],,(2021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2),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89513|2021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2년 11월 13일 확인), p23. ] || || '''SNS''' ||[[https://www.facebook.com/awakecitizenpart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lovemoonpa, 크기=24)] | [[https://blog.naver.com/kgs8029/|[[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친문]] [[민주당계 정당]]. 깨어있는시민연대당은 [[더불어민주당]] 내 [[친문]] 세력들이 탈당하여 만든 [[민주당계 정당]]으로, [[21대 총선]]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정되자 더불어민주당의 비례 [[위성정당]]을 자칭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윤석열]] 후보에 대한 지지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2066#home|선언했다.]] == 당명과 로고 == * [[한국어]]: 깨어있는시민연대당 ---- 당명은 [[깨시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름이 [[더불어민주당]]보다 특이한데다, 존재감 없는 원외정당이라서 굳이 [[외국어]]로 번역할 일이 없다 보니 외국어 명칭은 없다. ||<-2> {{{#fff {{{+1 '''깨어있는시민연대당의 로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3897099_104317171138738_1335878882259107840_o.jpg|width=200]]}}}||창당 당시의 로고. || || [[파일:깨어있는 시민연대당 로고.svg|width=150]] ||현재 로고.|| == 역사 == === 창당 배경 === [[문재인]] 지지자 중 [[이재명]]을 혐오하는 [[극문|강성 친문]] 성향의 정당으로 스스로를 ‘문재인 대통령님의 개혁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든든하게 수호할 목적으로 깨어있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순수 시민정당’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해찬]] 대표 등의 퇴진,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출당을 요구하며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등에 대해 비판을 하는 소위 '[[오소리]]'[* 어원은 비하어지만 본인들도 '오소리'로 지칭한다. 그 밖에 '문파', '극문', '[[똥파리(정치)|똥파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계열 중에서도 SNS, 특히 트위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원이 만든 정당이다. 그러나 이들이 트위터 상에서만 활발하며 인지도가 낮다. 발기 취지문에서 “검찰 개혁, 경찰 개혁, 언론 개혁, 사법부 개혁을 완수하고 미래로 나아가 조국(祖國) 수호를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이민구 대표는 친문 성향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sgbn3nQIbc0SIohzR64uGw|깨시연TV]]를 진행하고 있다. 유튜브 방송에서 "(당시 기준) 36개 정당과 18개 창당준비위원회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탐내며, 침 흘리며 달려드는 마당에 [[친문|문파]] [[깨시민]]들도 준비는 해야 되지 않는가 해서 창당을 신고했다"라고 밝혔다. 창당준비위원회는 신당을 민주당과 관계없이 [[더불어민주당]]의 비례 위성정당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http://naver.me/xdm68POK|#]] 깨어있는시민연대당 대변인을 맡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유재호(정치인)|유재호]] 성남시의원[*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때 [[황의조]] 선수가 와일드카드로 발탁될 때 인맥축구라고 비난했던 그 [[축사국]] 시의원이 맞다. 그리고 [[황의조]]는 이에 대한 비난을 걷어차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었고 2연속 금메달이라는 결과를 만드는데 기여함으로써 자신의 실력을 증명했다. 바레인전 직후 [[스포츠니어스]] 측은 유재호에게 문자로 인맥축구 발언에 대한 해명을 요청했으나 이를 묵살했다.]은 자신의 SNS를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에서는 진보 진영의 선택지를 넓힐 필요가 있다며 보수 진영에 다 빼앗길 수는 없지 않겠냐고 옹호했다. 비례도 아니고 지역구인만큼 차라리 탈당해서 그 당에 합류하는 편이 낫다는 비판이 있다. 결국 2월 25일 합류했다. 2020년 3월 24일에 선관위로부터 정당 등록이 완료되었다. 위에 나오다시피 창당 당시의 공식 로고에 '깨어있는' 부분이 [[신영복]]체로 되어 있다. 참고로 민선 7기 동안 [[민생당]], [[진보당(2020년)|진보당]]과 함께 국회에 의석이 없는 원외정당이지만 지방의회에는 의석이 있는 미묘한(?) 상태에 있었다.[* 상대적으로 한국보다 지방 분권 성향이 강한 [[호주]]에서는 이런식으로 원외정당이지만 지방의회에만 의석이 있는 정당이 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리즌당]].] 다만 민생당과 진보당은 기존의 모태가 되었던 정당이 지난 지방선거에서 당선시킨 지방의회 의석을 승계했고, 또 20대 국회 때엔 원내정당이었다가 선거 패배로 밀린 것이라는 점에서 이 당과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3월 27일]]에 [[https://www.klpga.co.kr/web/player/moverDetail.do?pr01=7672|프로골퍼 김민선(金旼宣)]][* 1990년 4월 6일생. 나무위키에 등록된 [[김시원(골프선수)|1995년생 프로골퍼 김민선]]과는 동명이인이다.]을 1번으로, [[문상필]]을 2번으로 각각 공천하며 후보자 공천을 마무리했고, 기호는 20번을 부여받았다. 결과는 14,242표를 얻는데 그쳐 0.05%의 매우 저조한 득표율로 원내 진입에 실패하였다.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 한달여간 집회신고를 하고 [[이해찬]] 당대표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트위터에 '역대최악무능대표'라는 실트를 올렸는데 180석이라는 역대급 대승을 거둔 이해찬보고 최악무능이라고 욕하는 게 말이 되냐며 조롱당하고 있다. === [[제20대 대통령 선거]] === 2021년 12월 18일 부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를 규탄하는 집회를 열면서 이른바 ‘이 후보 형수 녹음’ 파일을 대형 앰프와 스크린을 동원해 대중 앞에서 틀었다. 주최 측은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2021년 12월 16일 중앙선관위는 "후보자의 욕설이 포함된 녹음파일 원본을 유포하는 것만으로는 공직선거법 251조(후보자비방죄)에 위반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었다.]에 따른 것으로, 문제 없다”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660575|주장하기도 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측 서영교 민주당 선대위 총괄상황실장은 19일 기자회견을 하고 "14분 통화 녹음 파일 중에 욕설 부분만 자의적 편집해 적시하는 행위는 공직선거법상 후보 비방죄(251조)에 해당함으로 위법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하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결국 공식적으로 비슷한 신세의 [[민생당]]의 일부 세력과 함께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게 되었다. 당 지도부가 개점휴업인 민생당에 비해 비교적 질서있게 윤석열 지지선언을 했다는 것이 차이점.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이민구(정치인)|이민구]] 당 대표가 [[김은혜]] 경기도지사 후보 지지선언을 했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4/19/2022041900210.html|#]] 다시금 반이재명-친윤석열 포지션을 잡은 것. * 당내 유일한 선출직 공직자인 [[유재호(정치인)|유재호]] 의원은 같은 지역구에서 재선에 도전하는데, 워낙 당세가 약해서 진지하게 당선을 노리기보다는 정당 해산을 방어하기 위한 형식적 출마에 가깝다.[* 4년 동안 어떠한 공직선거에도 공천하지 않은 정당은 자동으로 등록이 취소되므로, 해산을 피하려면 4년 이내에 어떤 종류의 공직선거든 1명의 후보라도 공천해야 한다.] * 한편, 4월 27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최대 업적인 판문점 선언을 국회에서 비준하지 않았다며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서 이해찬을 해골찬이라고 비난하였다. * 이재명 전 대선 후보 부인 [[횡령궁 김씨|김혜경씨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을 폭로한 제보자 전 경기도청 공무원 A씨가 2022년 6.1 지방선거 운동 기간 중 국민의힘 김은혜 경기지사 후보의 유세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95664|#]] * 선거 결과, 유재호 후보는 867표(1.76%)를 얻어 전체 7명의 후보 중 6위로 낙선했다. * 지방선거 이후, [[더불어민주당/2022년 전당대회|2022년 민주당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8월 23일]] [[박용진]]&[[윤영찬]]이 주최한 긴급토론회에 [[이민구(정치인)|이민구]] 당 대표가 참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eejaemyung&no=940533|#]] === 2023년 === 2023년 5월 10일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 [[장기표]] 특권폐지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 등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장동 게이트와 관련해 [[박영수(법조인)|박영수]] 전 특검의 구속을 촉구했다. [[https://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4335|#]] == 성향 == 일단 계파상으로만 봤을때는 [[민주당계 정당]]의 방계쯤 되는 위치인데다, [[친문]] 성향을 가지고 있어 겉으로는 [[꼬마민주당]] 같은 군소 민주당으로 보일 수 있겠으나, [[국민의힘]] 정치인들과 지지자들보다도 [[이재명]] 비토 성향이 매우 강한데다, 이재명에 대한 반감 하나만으로 [[친윤]] 성향을 가지게 되어버렸다. 이렇게 [[반명]], [[친윤]]등 민주당 지지층에서 싫어할만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보니, 일부 극성 친문에서만 지지를 받고, 기존의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변절자, 혹은 아예 보수정당 취급을 받을 정도로 매우 혐오하는 편이다. 이들은 이재명을 비토하는 정서가 매우 강해서 '반이재명'에 이어 '반민주당'[* 이재명이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반민주당으로 돌아섰다.], 급기야 '반[[조국(인물)|조국]]' 성향까지 가지게 되었고(조국이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이 당선된 이후 이재명을 지지했기 때문), [[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의 당선을 막는다면서 윤석열 지지를 선언했다. 윤석열도 이들의 자신에 대한 지지가 반이재명에서 비롯된 것임을 아는지, 지지까진 바라지 않고 견제를 바란다고 이들 집회에서 직접 참여해 메시지를 냈다. 심지어 이 당의 대표 이민구는 윤석열 정권에서 [[자유총연맹]] 자문위원으로 위촉되면서 [[보수정당]]계로 사실상 전향한 것으로 보인다. == 대표 == [include(틀:깨어있는시민연대당 대표)] == 주요 인물 == * [[유재호(정치인)|유재호]] == 정당 활동 == 원외정당이기에 국회 활동은 없으며 유재호 시의원이 주로 성남시 의회 활동을 하고 있었다. 원외적으로 [[이낙연 지지자 민주당 경선 선관위 결정 불복 시위]]의 파생 집회인 "대장동 고발사주 수사 촉구 집회" 막산아 학교가자 를 주최 중에 있으며 서울 서초동에서 광주, 부산, 대전, 대구 등 전국 순회 집회를 진행중이다. 2021년 12월 부산 순회까지 마쳤다. 그러나 2022년 6.1 지방선거 이후 완전한 비 제도권 정당이 되면서 이러한 정당 활동도 불투명해졌다. == 논란 == * [[나무위키]]의 이 문서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고 있으며 깨시연당은 이 문서에 허위사실과 날조, 선동이 계속 추가되니 자기들도 고치려는 중이지만 결국 손을 쓸 수 없다고 주장했다. [[https://blog.naver.com/kgs8029/221906672691|#]] == 관련 문서 == * [[문재인]] * [[친문]] * [[친윤]] * [[깨시민]] * [[뮨파]] * [[똥파리(정치)]]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 [[분류:2020년 정당]][[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