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깨알벌레}}}[br]Featherwing bee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깨알벌레.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Ptiliidae'''[br]Erichson, 1845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깨알벌레과(Ptiliidae) || ||<-3> 언어별 명칭 || ||<-2> [[영어]] || Featherwing beetle[* 깨알벌레과의 특징인 깃털과 유사한 형태의 뒷날개가 반영된 이름이다.] || ||<-2> [[독일어]] || Zwergkäfer, Federflügler || ||<-2> [[일본어]] || ムクゲキノコムシ || [목차][clearfix] == 개요 == 깨알벌레과는 [[딱정벌레목]]의 [[반날개]]상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 특징 == 몸 길이가 일반적으로 2 mm 이하이며 가장 작은 종은 0.3 mm 정도로[* cm가 아니다! 다른 곤충들은 [[밀리미터]]~[[센티미터]] 단위로 크기를 비교하지만 깨알벌레과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길이를 잰다.] 수많은 딱정벌레 중에서도 몸 크기가 가장 작은 분류군이다. 습한 곳을 좋아하며 균류의 자실체([[버섯]])나 [[포자]]를 먹고 산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딱정벌레 분류군들과 구분되는 깨알벌레과의 가장 큰 특징은 마치 [[깃털]] 같은 형태의 뒷날개이다. 이는 영어 명칭인 featherwing beetle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깨알벌레뿐만 아닌 미소곤충 일부도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 종류 == 전 세계에 100여속, 900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에는 40종 이상 기록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근까지 아예 연구된 적이 없었고 [[2020년]]에야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8067800530|처음으로 보고되었다]]. 2023년 기준 국내에는 5속 8종이 기록되어 있다. * 깨알벌레속 (''Acrotrichis'') * 깨알벌레아속 (''Acrotrichis'') * 큰가슴깨알벌레 - ''Acrotrichis'' (s. str) ''thoracica'' (Waltl, 1838) * 긴털깨알벌레아속 (''Ctenopteryx'') * 긴털깨알벌레 - ''Acrotrichis'' (''Ctenopteryx'') ''grandicollis'' (Mannerheim, 1844) * 넓적깨알벌레아속 (''Flachiana'') * 넓적깨알벌레 - ''Acrotrichis'' (''Flachiana'') ''lewisii'' (Matthews, 1884) * 곰보가슴깨알벌레속 (''Baeocrara'') * 곰보가슴깨알벌레 - ''Baeocrara japonica'' (Matthews, 1884) * ''Baeocrara variolosa'' (Mulsant & Rey, 1861) * 호리병깨알벌레속 (''Cissidium'') * 긴호리병깨알벌레 - ''Cissidium elongatum'' Sawada, 2008 * ''Dipentium''속 * 깃날개깨알벌레 - ''Dipentium japonicum'' (Sawada, 1965) * 엷은깨알벌레속 (''Ptinella'') * 장님엷은깨알벌레 - ''Ptinella mekura'' Kubota, 1943 [[분류:깨알벌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