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arch.pcgames.com.cn/pcgames1015rahxephon11.gif]] 金 湖月 (Hotaru Kimu) 성우는 [[오리카사 후미코]]/[[임미진]]/[[티파니 그랜트]]. [[시토 메구미]]의 가장 가까운 친구. 어렸을 때 부모가 호주에 여행을 갔는데 때마침 습격한 돌렘 공격에 사망했다. 부모의 죽음에 대한 뮤리언에 복수를 하기 위해 테라에 합류했다. 상사인 [[야구모 소이치]]와 비밀 연인 관계인데 메구미가 좋아하는 감정을 내비치자 모르는 척하다가, 나중에 둘의 관계를 메구미가 알게 되자 죄책감을 내비친다. 시리즈 끝부분의 두 개의 장면에서 임신을 암시하는 입덧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판에서는 직접적으로 본인이 임신을 했다고 밝히는 장면이 있다.] 나름대로 비중도 있고 성까지 한국식인 기념할 만한(?) [[한국인 캐릭터]]로 한글 메시지[* 부모님이 사망했을 때 호주에서 오르골과 부모님이 쓴 글이 적혀 있는 액자가 오는 장면. 이 액자에 한글 메시지가 적혀 있었다. 다만 이것도 "생일 촉해해 선물 많ㅇ 사가지리고 갈께 말 잘듣고 착하게 있어!"라고 적혀 있어서 좀 많이 미묘하다. 한국어 더빙판에선 "호린아, 생일 축하해. 선물 많이 사가지고 갈 테니까 어른들 말씀 잘 듣고 있어라"로 고쳐버렸다.][* 여담로 과거회상에서의 임시보호자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지인 중에 히로시마에 이 씨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뮤와 관련된 사업으로 꽤나 번창했다고.]도 나오는 등 나름대로는 공들인 티가 나는 캐릭터인데, 안타깝게도 제작진이 한국어에도 음독과 훈독이 있다고 착각해 버린 것인지 月(달 월)을 '월'이 아니라 '달'로 읽어서 달 [tal] → タル라는 식으로 한자는 호월(湖月)인데 읽는 건 '호타루'이다. 이것은 일부 재일교포의 작명 센스와 비슷한 점이 있는데 처음부터 '호타루'라는 일본 이름을 붙여주려고 했고 한자를 붙이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한국에서는 있을 수 없는 조합을 넣게 된 것일 수도 있다.[* 약간 다르지만 희철이란 한국 이름을 한자로 표기한 뒤 히라가나로 풀어서 쓰는 일본 야구선수 [[모리모토 히초리]] 같은 경우도 있다. 교포들의 감각이 한국 거주자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인 것 같다.] 억지로라도 제대로 된 한국 이름으로 대체한다면 발음을 살릴 경우 '김호달'이고, 한자를 살릴 경우 김호월(金湖月)이 되겠다.[* [[순우리말 이름]]이 흔치 않았을 때는 뜻이 통하게 한자 이름도 만들어 두는 경우가 왕왕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니까 이쪽은 어떻게 커버가 된다. 그래도 어떻게 커버가 안 되는 부분은 '호달'이라는 이름을 여자에게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이지만...]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결국엔 '김호린'이라는 그나마 정상적인 이름으로 바꿔 버렸다. 애니메이션에서의 모습을 보면 재일 교포처럼 보이는데, 관련 자료를 보면 오히려 국적이 호주라고 나온다. 한국계 호주인인 듯 하다.[* 어릴 때 살던 곳이 호주이고 부모님 돌아가실 때 간 것은 해외여행이 아니라 국내여행이었을 수도 있지만 호주의 8개 도시가 소멸되었는데도 살아남기는 힘들기 때문에 가능성은 낮다. 호주 국적이라는 정보 자체가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게임판에서는 알파 전대 소속의 중국인 도니 웡이 그녀를 동향 사람이라고 하는 장면이 있다. 게임 제작진의 실수로 보인다. [[분류:라제폰/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