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external/s20.postimg.org/doosan2001.pn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01년 한국시리즈|{{{#FFD700 2001}}}]]''' || ---- ||<-5>
'''{{{#000 [[쌍방울 레이더스|{{{#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5번}}}''' || || 팀 창단 || {{{+1 →}}} || '''{{{#ffc81e 김호[br](1990~1999)}}}''' || {{{+1 →}}} || 팀 해체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5번}}}''' || || 팀 창단 || {{{+1 →}}} || '''{{{#1e3466 김호[br](2000~2000.6.1.)}}}''' || {{{+1 →}}} || [[박계원]][br](2000.6.2.~2002)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9번}}}''' || || [[박계원]][br](1999.4.16.~2000.6.1.) || {{{+1 →}}} || '''{{{#ff0000 김호[br](2000.6.2.~2000)}}}''' || {{{+1 →}}} || [[김민철(야구)|김민철]][br](2001~2006)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0번}}}''' || || 함석원[br](1994~2000) || {{{+1 →}}} || '''{{{#000 김호[br](2001~2003)}}}''' || {{{+1 →}}} || 홍석균[br](2004)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76번}}}''' || || [[김재현(1979)|김재현]][br](1998~1999) || {{{+1 →}}} || '''김호[br](2006~2008)''' || {{{+1 →}}} || [[노찬엽]][br](2009)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1번}}}''' || || [[타네다 히토시|타네다]][br](2010) || {{{+1 →}}} || '''{{{#074ca1 김호[br](2011~2018)}}}''' || {{{+1 →}}} || 권오경[br](2020~)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81번}}}''' || || [[박종호(1973)|박종호]][br](2011~2018) || {{{+1 →}}} || '''김호[br](2019~2022)''' || {{{+1 →}}} || [[김정준]][br](202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호 LG 코치.jpg|width=100%]]}}} || ||<-2> '''{{{+2 김호}}}[br]金湖 | Kim Ho''' || ||<|2> '''출생''' ||[[1967년]] [[5월 3일]] ([age(1967-05-03)]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성호초등학교|성호초]] - 마산중 -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 - [[경성대학교 야구부|경성대]][* 86학번.]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s-3|1990년 신생팀 특별우선지명]]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 '''소속팀''' ||'''[[쌍방울 레이더스]] (1990~1999)''' [br][[SK 와이번스]] (2000) [br][[해태 타이거즈]] (2000) [br][[두산 베어스]] (2001~2003) || || '''지도자'''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2006~2008) [br][[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09~2010) [br][[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2011~2016) [br][[삼성 라이온즈]] 1군 작전코치 (2017) [br][[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수비코치 (2018) [br][[LG 트윈스]] 1군 주루코치 (2019~2020)[br][[LG 트윈스]] 1군 주루·외야수비코치 (2021~2022) [br][[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쌍방울 레이더스]], [[해태 타이거즈]], [[두산 베어스]] 소속으로 뛰었던 야구선수로 현역시절 포지션은 유격수. 現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타격은 평균 이하였지만, 가끔 뜬금포를 터뜨리는 장타력도 있었고 주루 플레이와 수비가 뛰어난 선수였다. [[김기태(1969)|김기태]]의 1년 선배로, 쌍방울의 처음과 마지막을 함께한 유일한 선수다.[* 1990년 [[쌍방울 레이더스]] 창단 멤버이며, 2000년 1월 쌍방울이 해체될 때까지 한 팀에서 쭉 뛰어왔다.][* 양면의 의미를 가지는데, 최초 지명 선수들 중 유일하게 주전급으로 도약하며 꾸준히 자리를 지킨 선수였다는 것과 동시에 구단 사정이 어려워진 이후 운영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박경완]], [[조규제]], [[김기태(1969)|김기태]], [[김현욱(야구)|김현욱]] 등 간판 선수들을 현금트레이드로 팔 때도 애매한 가치로서 팀에 남아있었다는 것이다. 다만 프랜차이즈로서 의미 있는 선수임은 분명하다.]로서 '프로야구 레전드 10인' 김기태 편에서 쌍방울 이야기를 많이 하기도 했다.[* [[1997년 외환 위기]]가 아쉽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다. 쌍방울이 IMF 없이 그 전력으로 계속 운영할 수 있었다면 우승이 가능했을 거라는 점에서..] 3000타석 이상 들어선 타자 중 통산 타율 최하위이다. == 선수 경력 == === [[쌍방울 레이더스]] === 1990년 신생 팀 특별우선지명으로 [[쌍방울 레이더스]]에 입단했다. 1991년 .233에 11홈런 22도루를 기록해 비록 타율은 낮았지만 알토란같은 활약을 했다. 그 이후로도 주전 유격수로 뛰면서 군 문제로 출전 못했던 1994년을 제외하면 계속 쌍방울의 핵심 내야수로 활동했는데, 비록 성적으론 [[김기태(1969)|김기태]], [[최태원(야구)|최태원]], [[박경완]]급은 안되었지만, 쌍방울에서 빠질 수 없는 선수였다. === [[SK 와이번스]] === 2000년 쌍방울이 해체된 뒤 선수단을 승계해 재창단한 [[SK 와이번스]] 소속이 되었다. === [[해태 타이거즈]] === 6월 [[해태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다가[* [[이호준]], [[박계원]] ↔ [[성영재]], 김호] 시즌 후 방출당했다. === [[두산 베어스]] === 해태에서 방출당한 이후 [[김인식]] 감독의 부름을 받고 [[두산 베어스]]에 입단해 백업 내야수와 대주자로 나오면서 [[2001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 반지도 하나 껴봤고, 2003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현역에서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이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김인식]] 감독과의 쌍방울, 두산 시절 인연으로 [[한화 이글스]]에서 수비코치직을 맡았다. 선수 시절에는 수비를 잘 했으나 한화 시절에는 신예들을 제대로 키우지 못했다. 결국 플레이오프 연속 진출 실패와 신인 육성에 미흡했던 책임을 물어 2008 시즌 후 경질되었다. 이후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가 2011년 [[김용국(야구)|김용국]]과 함께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진으로 합류해 2군 수비코치를 맡았다. 2017년 시즌 1군 작전코치를 맡게 되었다. 이후 2018 시즌은 육성군 수비코치로 있다가 2019 시즌 [[LG 트윈스]]로 옮기게 되었다. 2021 시즌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 중 9회말 무사 5점차에 주자에게 홈으로 달리라는 싸인을 줬고 주자인 [[채은성]]은 홈에서 아웃당했다. 무려 5점차인데 무리한 주루를 시킨 것이다 부임 이후 적극적인 주루를 강조하는 듯 보이며 실제로 도루 수는 많지 않지만 베이스러닝은 매우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각종 주루지표에서 내내 상위권을 차지하게 하는 등 반응이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22 시즌 종료 후 [[이종범]] 코치의 보직이 1군 주루코치로 변경되면서 보직이 불확실해졌다. 타팀으로 이적할 수도 있는 상황. 2023년 1월 4일에 코치진 명단이 발표 났는데 아쉽게 김호 코치의 이름은 보이지 않았다. 재계약을 안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젊은 선수들의 말 못할 고충을 잘 듣고 다잡아 주는 능력이 있어 행선지는 빠른 시일 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LG 트윈스]] 퇴단 이후 14년만에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로 돌아왔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91 ||<|9>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126 || 442 || .233 || 103 || 18 || 3 || 11 || 63 || 72 || 22 || 72 || .362 || .339 || || 1992 || 121 || 415 || .236 || 98 || 14 || 2 || 8 || 48 || 48 || 12 || 56 || .337 || .326 || || 1993 || 119 || 357 || .204 || 73 || 13 || 2 || 4 || 25 || 42 || 17 || 46 || .286 || .295 || || 1994 ||<-13> 1군 기록 없음 || || 1995 || 112 || 307 || .199 || 61 || 8 || 2 || 6 || 29 || 32 || 18 || 27 || .296 || .262 || || 1996 || 126 || 389 || .239 || 93 || 14 || '''6'''[br](2위) || 1 || 39 || 42 || 22 || 37 || .314 || .303 || || 1997 || 126 || 337 || .199 || 67 || 8 || 3 || 5 || 33 || 38 || 12 || 46 || .285 || .293 || || 1998 || 114 || 306 || .225 || 69 || 9 || 3 || 3 || 28 || 42 || 11 || 36 || .304 || .304 || || 1999 || 117 || 314 || .255 || 80 || 6 || 3 || 8 || 36 || 37 || 11 || 29 || .369 || .318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00 || [[SK 와이번스|SK]] / [[해태 타이거즈|해태]] || 92 || 199 || .236 || 47 || 13 || 0 || 3 || 17 || 32 || 4 || 27 || .347 || .32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01 ||<|2> [[두산 베어스|두산]] || 26 || 58 || .207 || 12 || 2 || 1 || 0 || 4 || 7 || 0 || 6 || .276 || .277 || || 2002 || 91 || 164 || .262 || 43 || 4 || 1 || 4 || 16 || 13 || 2 || 10 || .372 || .305 || ||<-2> '''[[KBO 리그|KBO]] 통산''' [br] (11시즌) || 1170 || 3288 || .227 || 746 || 109 || 26 || 53 || 338 || 405 || 131 || 392 || .324 || .308 || == 여담 == * 스탯티즈 기준 통산 11시즌 [[WAR]]가 12.15로서 특출나진 않지만 꾸준했던 성적을 인정받아 2022년, 온라인야구게임 [[마구마구]]의 블랙카드가 출시되었다! 이로써 [[김광림(야구)|김광림]], [[김기태(1969)|김기태]], [[박경완]], [[조원우]], [[최태원(야구)|최태원]]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 타율 등 통산 비율스탯 순위를 매길 때 최소 기준치인 3,000타석을 넘긴 선수 중 타율이 가장 낮다. [[권용관]], 김태균과 함께 .227인데, 김호는 .226886, 권용관은 .227362, 김태균은 .227365. ||
[[파일:kimhoblack.jpg|width=120%]]||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쌍방울 레이더스/선수단]] * [[SK 와이번스/선수단]] * [[KIA 타이거즈/선수단]] * [[두산 베어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분류:1967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분류:2003년 은퇴]][[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성호초등학교 출신]][[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경성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