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전 하나 시티즌/로스터/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현태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7.1|{{{#ffffff '''K리그 베스트 11'''}}}]]}}} ||<-3>[[틀:1985 K리그 베스트 11|1985]] · [[틀:1986 K리그 베스트 11|1986]]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38392_346546_4535.jpg|width=100%]]}}} || ||<-3> '''{{{#ffffff 대전 하나 시티즌 전력강화실장}}}''' || ||<-3> '''{{{#ffe900 {{{+1 김현태}}}[br]金顯泰 / Kim Hyun-Tae}}}''' || ||<-2> ''' 출생 ''' ||[[1961년]] [[5월 1일]] ([age(1961-05-01)]세) || ||<-2> ''' 신체 ''' ||180cm, 74kg || ||<-2>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 직업 ''' ||[[축구선수]] ([[골키퍼]]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코치]][br][[축구행정가]] || ||<-2> ''' 학력 ''' ||[[영등포공업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 ||<|3> ''' 소속 ''' || {{{#fff,#e5e5e5 ''' 선수 ''' }}} ||'''[[FC 서울/역사|럭키금성/LG 치타스]] (1984~1991,1994,1997~1998)''' || || {{{#fff,#e5e5e5 ''' 지도자 ''' }}} ||[[FC 서울|LG 치타스]] (1991~1998 / ^^트레이너&GK 코치^^) [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1998~2002 / ^^GK 코치^^) [br] [[FC 서울/역사|안양 LG 치타스]] (2002~2003 / ^^GK 코치^^) [br] [[부천 SK]]-[[제주 유나이티드]] (2004~2007 / ^^수석 코치^^) [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2007~2011 / ^^GK 코치^^) [br] [[인천 유나이티드]] (2012~2013 / ^^GK 코치^^) [br] [[베트남 축구 연맹]] (2020~2021 / ^^전임 GK 코치^^) || || {{{#fff,#e5e5e5 ''' 기타 ''' }}} ||[[FC 서울]] (2014~2018 / ^^스카우트 팀장^^) [br][[한국프로축구연맹]] (2019 / ^^기술위원장^^)[br] [[대전 하나 시티즌]] (2020 / ^^전력강화실장^^)[br] [[대전 하나 시티즌]] (2023~ / ^^전력강화실장^^) || ||<-2> ''' 서명 ''' ||[[파일:김현태서명.png|height=7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인]]. 현역 시절에는 [[FC 서울]]의 [[원 클럽 플레이어]]였으며,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한국에서 흔치 않았던 GK 코치 영역을 넓힌 제1 세대 GK 코치로 꼽힌다. == 축구인 경력 == === 선수 경력 === 중학교 1학년에 축구선수를 시작했다고 한다. 영등포공고 시절 작은 운동장으로 인해 주로 [[연세대학교]]에서 훈련했지만, 정작 대학은 [[김정남(축구인)|김정남]]이 감독으로 있는 [[고려대학교]]로 진출했다. 1학년부터 주전 골키퍼로 나서며 4년 내내 주전이어서 김현태의 1년 선배는 축구를 관뒀다고 한다.... 연세대에는 특히 강했는데, [[고연전]]에서 단 하나의 실점도 허용하지 않았다. 동기인 [[정용환]]과 [[정종수(축구인)|정종수]] 등과 함께 대학 무대를 평정했으며 특히 4학년인 1983년 '''고려대의 7관왕'''과 추계대학축구리그 MVP를 수상하는 등 대학 최고의 골키퍼로 성장했다. K리그의 두 번째 시즌인 1984년, 당시 신생팀이자 현재 [[FC 서울]]의 전신인 럭키 금성 황소의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럭키금성에서도 꾸준히 주전으로 뛰며 창단 2년 만인 1985년 리그 우승에 기여하고 최우수 GK상을 수상했다. 이듬해에도 최우수 GK상을 수상하며 국내 프로 축구 '''역대 최초로 2년 연속 GK상'''을 수상한 키퍼가 됐다. 1987년 유공 코끼리와의 경기 중 손가락이 골절되는 부상을 당하며 [[차상광]]에게 밀려 점차 출전기회가 줄어들었다. 그러던 1991년 [[정해성]] 코치가 불의의 사고를 당해 팀을 장기간 이탈하는 일이 발생했고, [[고재욱(축구인)|고재욱]] 당시 LG 치타스 감독은 팀내 최고참인 김현태에게 플레잉 코치를 제안했고, 김현태가 이를 받아들였다. 결국 1991년 8월 31일, 당시 LG 치타스의 홈구장이라고 할 수 있는 [[동대문운동장]]에서 은퇴를 하게 됐다. === 지도자 경력 === 그렇게 자연스럽게 LG 치타스에서 GK 코치로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1993년을 앞두고 새롭게 부임한 [[조영증]] 감독 체제에서도 팀에 잔류해 1996년 안양 LG로 팀명이 바뀔 때까지 팀에 남았다. 그러다 잠시 심판 자격증을 따는 등 잠시 외도를 거쳐 박병주 감독 체제의 안양에서도 지도자로 활약했다. 그러다 1998년 말, [[허정무]] 감독의 부름으로 대한민국 대표팀의 GK 코치로 부임했다. 대표팀 코치로서 [[2000 시드니 올림픽]]과 [[2000 AFC 아시안컵]]에 참가했다. 이 기간부터 본격적인 [[김병지]]와 [[이운재]]의 넘버원 경쟁이 펼쳐졌고, 김현태는 그런 둘을 코칭했다.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02 한일 월드컵))] 2001년을 앞두고 부임한 [[거스 히딩크]] 감독 아래서 대표팀에 남았으며,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대회에서 [[히딩크호]]의 GK 코치로서 한국의 4강 진출에 공헌하였다. 특히 16강 진출 이후 [[승부차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운재]]가 가장 잘한다는 점을 [[거스 히딩크]] 감독에게 어필했다고 한다. 월드컵 직후 친정팀 [[안양 LG 치타스]]의 GK 코치로 복귀했다. 두 시즌 동안 안양에서 [[조광래]] 감독 아래서 GK 코치로 근무했다. 2004 시즌을 앞두고 선수 시절 럭키금성에서 한솥밥을 먹었고 2년 전 월드컵을 지도자로 함께 준비한 [[정해성]]이 감독으로 부임한 [[부천 SK]]에 '''수석 코치'''로 임명됐다. 이로써 K리그에서 처음으로 친정팀이 아닌 팀으로 이적했다. 부임 3년차인 2006년에는 팀이 제주로 연고 이전하며 제주에서 2년을 보냈다. 2007년 말, [[정해성]]과 함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부임, [[허정무]] 감독과 재회했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참가해 한국의 원정 첫 16강 진출을 이끌어냈다. 이로써 '''지도자로서 대한민국 월드컵 역사상 두 번의 토너먼트 진출에 모두 기여한 유일한 축구인'''이 됐다. 허정무 감독이 떠나고 부임한 [[조광래]] 감독과 안양 시절 이후 약 8년 만에 재회하며 [[2011 AFC 아시안컵]] 3위에 기여했다. 이후 얼마안가 조광래 감독이 대표팀에서 경질되면서 함께 대표팀을 떠났다. 2012 시즌을 앞두고 허정무 감독의 부름을 받아 인천 유나이티드의 코치로 가며 K리그에서는 처음으로 허정무 감독과 한솥밥을 먹게 됐다. 친정팀의 [[경인 더비|라이벌 팀으로 이적했다.]] [[김남일]], [[설기현]], [[이천수]] 등 2002년 제자들과 재회했다. 그러나 허정무 감독은 김현태 부임 후 얼마 안돼 팀을 떠났다. 2014년부터 친정팀 FC 서울에 스카우트 팀장으로 복귀하며 약 10년 만에 친정으로 돌아왔다. 서울에서 5시즌 동안 스카우트 팀장으로 일했다. 5시즌 동안 [[최용수]], [[황선홍]] 등 감독직에 있던 2002년 당시 제자들의 우승을 도왔다. 2020년 10월 21일, [[박항서]]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추천으로 [[베트남 축구 연맹]] 전임 GK코치로 임명되어 2021년 11월 15일, 계약 기간까지 해당 역할을 수행하였다. === 프런트 경력 === 2019년에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경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20시즌을 앞두고 또 다시 [[허정무]] 이사장의 부름을 받아 [[대전 하나 시티즌]]의 전력강화실장으로 취임하였으며, 유소년 축구와 선수 영입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담으로, 대전 감독 [[황선홍]] 감독과 서울 시절 이후 2년 만에 재회하게 됐다. 하지만 대전에선 약 반 년 만에 팀을 떠나며 서술했 듯 베트남 무대로 향했다. 2023년 [[대전 하나 시티즌]]의 전력강화실장으로 재취임하며 허정무와 5번째 재회를 하게 됐다.[[https://naver.me/5UGBId2B|#]] == 여담 == * 럭키금성 황소-LG 치타스-안양 LG 치타스 시절을 거쳐 FC 서울까지 몸담으며 팀의 모든 명칭과 함께한 인물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1961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1998년 은퇴]][[분류:골키퍼]][[분류:FC 서울/은퇴, 이적]][[분류:동신중학교(서울) 출신]][[분류:영등포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원클럽맨/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