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현수(1988)/선수 경력/두산 베어스)] ||<-5>
'''[[김현수(1988)|{{{#ffffff 김현수}}}]]{{{#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김현수(1988)/선수 경력/2013년|2013년]] || → || '''{{{#ffffff 2014년}}}''' || → || [[김현수(1988)/선수 경력/2015년|2015년]] || [목차] == 시즌 전 == [[송일수]] 신임 감독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90285|'김현수빼고는 주전 무한경쟁' 이라고 표현한 만큼 제 역할을 다할 것이 기대대고 있다]] 3월 8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시범경기에서 2점 홈런을 쳤다. == [[페넌트레이스]] == === 3월 === ||<-16>
'''{{{#FFFFFF 3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9 || 8 || 1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00 || .111 || .000 || .111 || === 4월 === ||<-16>
'''{{{#FFFFFF 4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89 || 79 || 25 || 4 || 0 || 3 || 11 || 15 || 9 || 6 || 2 || 0 || .316 || .382 || .481 || .863 || 하지만 4월 중순까지 죽을 쑤고 있다.. 쳤다하면 아웃 아니면 병살이니... 1할대 타율 유지중. ~~포스트시즌 지났다 현수야~~ 4월 19일 [[송승준]]을 상대로 마수걸이 3점홈런을 쳤다. ~~송일수 감독의 표정은 덤~~ 4월 22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쓰리런 홈런을 쏘아올렸다. 시즌 2호. 그 다음날에도 5타수 3안타 3타점 1득점으로 [[홍성흔]]과 함께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4월 25일 NC전에서 5타수 3안타 3타점으로 15:5 대승에 공헌했다. 간만에 클린업들이 모두 3안타씩 쳐준 경기. 그리고 타율도 어느새 .254로 3할을 향해 달리고 있다. 4월 26일 상대 투수 [[태드 웨버]]를 상대로 '''통산 100호 홈런'''을 때려냈다! 4회초 선두타자로 때려냈으며 시즌 3호. 홈런포함 멀티히트를 치면서 확실히 물오른 타격감을 자랑하고 있다. 4월 29일 [[손승락]]을 상대로 '''통산 1000호 안타'''를 때렸다! ~~역시 승락극장~~ 이로써 김현수는 만 26세에 1000안타 100홈런 500타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대로 계속 간다면 2000안타 200홈런 1000타점이라는 대기록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KBO 리그|KBO]]에서 이 기록을 수립한 선수는 [[양준혁]]과 [[장성호]] 단 둘 뿐이며 ~~역시 꾸준甲 오오~~ 새로운 후보 중 가장 근접한 선수는 [[홍성흔]]이다. ~~물론 일본 기록을 합한다면 이승엽도 포함된다.~~ 4월 30일 덕아웃에서 [[오재일]]을 가르쳐주는 모습으로 ~~1000안타 타자의 위엄~~ 보던 사람들을 빵터뜨렸다. [[오재일]]은 그 후 타석에서 귀신같은 안타로 출루, 과외선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덕아웃에서 흐뭇해하는 건 덤~~ ~~작년 포스트시즌에는 반대 아니었나?~~ 더 놀라운 것은 오재일은 김현수가 원포인트 레슨을 해준 직후 빼고는 안타를 치지 못해서 해설위원이 오재일은 매타석 김현수에게 레슨을 받아야 겠다고 말했다. ~~타격코치 김현수?!?!?!~~ === 5월 === ||<-16>
'''{{{#FFFFFF 5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108 || 95 || 34 || 7 || 0 || 5 || 21 || 31 || 12 || 12 || 2 || 0 || '''.358''' || '''.435''' || '''.589''' || '''1.025''' || 5월 5일 [[LG 트윈스]]와의 어린이날 더비에서는 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맹활약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5월 8일 롯데 전에서 선발 ~~또다시~~ [[송승준]]을 상대로 시즌 4호 쓰리런 홈런을 때려냈다. 그리고 9회에는 [[심수창]]을 상대로 시즌 5호 솔로포를 때려냈다. 이날 무려 6타석 5타수 4안타 5타점을 터뜨리며 3할 타율에도 복귀했다.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올라갈 타율은 올라간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775387|기사]]에서 비슷하게 인용했다.] 5월 10일 삼성 전에서 선발 [[마틴]]을 상대로 시즌 6호 투런포를 뽑아냈다. 이 날 [[니퍼트]]도 각성하여 17:2 완투승을 거두면서 팀은 승리. 5월 16일 NC 전에서 상대투수 [[손정욱]]을 상대로 시즌 7호 투런포를 때려냈다. 그리고 오랜만에 이어진 [[칸투]]의 백투백홈런까지 터지면서 팀은 8:3으로 6연승을 달렸다. 현재 타율 .322. 5월 29일에는 기아와의 원정경기에서 구원투수 [[박성호(야구선수)|박성호]]를 상대로 오랫만에 시즌 8호 홈런을 쏘아올렸다. 김현수의 홈런으로 팀은 선발 전원 안타를 기록하였다. 이날까지 타율 .324, 45타점으로 타점 선두를 고수하는 중. === 6월 === ||<-16>
'''{{{#FFFFFF 6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73 || 68 || 18 || 1 || 0 || 3 || 8 || 14 || 5 || 11 || 3 || 0 || .265 || .315 || .412 || .727 || 6월 17일 LG와의 홈 3연전 첫 경기에서 선발투수 [[류제국]]을 상대로 시즌 10호 투런 홈런을, 구원투수 [[이동현(1983)|이동현]]을 상대로 시즌 11호 쓰리런 홈런을 때려냈다. 멀티홈런에 둘 다 잠실 좌측 담장을 '''밀어서''' 넘긴 홈런이며, 이 홈런 두 개로 5타점 추가, 60타점에 선착했다. 결국 팀은 7:6으로 역전승. === 7월 === ||<-16>
'''{{{#FFFFFF 7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64 || 55 || 18 || 4 || 0 || 2 || 11 || 8 || 7 || 6 || 1 || 0 || .327 || .422 || .509 || '''.931''' || 18일 열린 올스타전 [[홈런 더비|홈런 레이스]]에서 예선 6개, 결승 '''14개'''로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민병헌은 혹사당했다~~ 동시에 홈런 20개를 때려내 천만 원의 기부금을 적립하는 등 맹활약했다. 본 경기에서는 7년만의 첫 올스타전 안타를 신고하기도. 하지만 이스턴 팀은 웨스턴 팀에게 5홈런을 적선하며 13:2로 대패... === 8월 === ||<-16>
'''{{{#FFFFFF 8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89 || 81 || 30 || 7 || 0 || 2 || 13 || 12 || 5 || 4 || 2 || 0 || '''.370''' || .405 || .531 || '''.935''' || === 9월 === ||<-16>
'''{{{#FFFFFF 9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36 || 29 || 10 || 3 || 0 || 1 || 4 || 3 || 5 || 1 || 0 || 0 || '''.345''' || '''.444''' || '''.552''' || '''.996''' || === 10월 === ||<-16>
'''{{{#FFFFFF 10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59 || 47 || 14 || 0 || 0 || 1 || 6 || 8 || 9 || 5 || 0 || 2 || .298 || .424 || .362 || .785 || === 인천 아시안 게임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처음으로 국가대표에 승선한 것을 기억하는 팬들에게는 놀랍게도 어느덧 국가대표 베테랑이 되었다. 역대 국가대표 타율이 4할이 넘는 것을 반증이라도 하듯, [[민병헌]]과 함께 두산표 타자로 대활약, 우승에 일조하였다. ~~그러나 두산 팬들로부터 팀에서 좀 잘하라는 소리를 듣기도~~ === 시즌 후 === ||<-18>
'''{{{#FFFFFF 2014시즌 기록}}}''' ||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ffffff wRC+}}}''' || '''{{{#ffffff sWAR*}}}''' || || 122 || 463 || 149 || 23 || 0 || 17 || 75 || 90 || 53 || 45 || 10 || 2 || .322 || .396 || .488 || .884 || 132.2 || 4.13 || 2014 시즌이 전설적인 타고투병 시즌이라 타율 .322와 17홈런, 90타점은 그렇게 눈에 띄는 성적은 아니지만 그래도 팀의 중심타선에서 변함없는 클래스를 보여주었다. 팀 최고의 타자는 [[민병헌]]이었지만, 그 뒷받침을 해주는 클린업의 일원으로서 ~~비록 후반기에 좀 처지긴 했지만~~ 최선을 다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 타격기계 소리를 듣던 08, 09 시즌에 비하면 조금 아쉬운 성적이긴 하다. 스토브리그 중 [[SK 와이번스|SK]]의 [[3루수]] [[최정]]이 '''4년 86억'''이라는 ~~미친~~ 가격에 FA 계약을 맺음으로써[* 심지어 추후 밝혀진 바로는 기본 연봉 외에도 총 4억의 옵션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 내년에 FA가 되는 [[김현수(1988)|김현수]]는 그 이상을 바라볼 수도 있게 생겼다. 물론 김현수는 여태껏 연봉협상에 크게 잡음을 일으키지 않은 선수지만, 다른 구단에서 템퍼링이나 제의가 온다면 받아들일 수도 있는 상태. 두산 팬들은 두산 구단이 외부 FA 대신 [[김현수(1988)|김현수]]와 [[오재원]]을 잡기를 원하고 있지만... 그리고 두산은 기어이 [[장원준|외부 FA]]를 잡았다. 그리고 김태룡 단장은 김현수를 꼭 잡겠다는 약속을 하는데...마침내 1월 5일에 7억 5천만원에 두산과 계약했다. 이는 작년 4억원에서 66.7% 상승한 금액으로 전날 오재원이 기록한 역대 팀내 최다 연봉인상폭과 FA 및 해외복귀선수를 제외한 선수중 최고연봉기록을 동시에 갱신하였다. == 관련 문서 == * [[두산 베어스/2014년]] [각주] [[분류:김현수(1988)/선수 경력]][[분류:두산 베어스/2014년]]